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738/JAH.2017.26.2.007

A Study on the Use and Features of Bangyeon on the Seungtap  

Cho, Hyun-Jung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문화재학과)
Kim, Wang-Jik (명지대학교 건축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v.26, no.2, 2017 , pp. 7-1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Rafter is a member for roof and plays a role in protecting shaft members under rafter such as pillar, beam and girder from natural environment and to fix by supporting finished materials of roof. It is common in the Korean architecture that rafter cross-section is paired with circular form and Buyeon cross-section is paired with the square shape. However, while there are not many, some architectures have rafter end header in the square shap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quare shape cases of rafter end header with special reference to stone structure. As a result, among stone structure related to Bangyeon, the majority case is seen at Palgakwondang type Seungtap. It was shown in the Seungtap of monk of Gusanseonmun school in the later Unified Silla to the early Goryeo period that succeeded Seodang Jijang.
Keywords
Bangyeon; Square shape cases of rafter; Seungtap; Stupa of Buddhist Monk; Gusanseonmun; Seodang Jija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정동락, 新羅下代 禪僧의 現實認識과 對應,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 천득염, 인도 불탑의 의미와 형식, 심미안, 2013
3 강병희, 신라 말 고려 초 부도(浮屠)의 8각 평면에 나타나는 사상적 배경, 韓國思想史學, 54집, 2016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5 문경시,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실측수리조사보고서, 2010
6 權相老, 朝鮮佛敎略史, 新文館, 京城, 1917
7 李能和, 朝鮮佛敎通史, 新文館, 京城, 1918
8 金元龍, 唐朝의 舍利塔, 고고미술(현 미술사학연구), 4권, 4호, 1963
9 申榮勳, 澈鑒國師浮屠의 木造樣式, 고고미술(현 미술사학연구), 4권, 1호, 1963
10 崔柄憲, 新羅下代 禪宗九山派의 成立: 崔致遠의 四山碑銘을 中心으로, 한국사연구, 7호, 1972
11 정영호, 新羅 石造浮屠 硏究, 檀國大學校 大學院 박사학위논문, 1974
12 정영호, 한국의 미 15: 석등.부도.비, 중앙일보사, 1983
13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14 김향숙, 羅末.麗初의 八角圓堂形 石造浮屠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7
15 고유섭, 朝鮮塔婆의 硏究, 열화당, 2010
16 김향숙, 羅末 麗初의 八角圓堂形 石造浮層의 圖像 및 紋樣의 特徵에 관한 考察, 博物館紀要, 5호, 1989
17 高翊晋, 韓國古代佛敎思想史, 동국대학교출판부, 1989
18 朴春圭, 羅末 麗初의 浮屠에 관한 硏究: 八角圓堂型 石造浮屠의 樣式變遷을 中心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19 박경식, 통일신라 석조미술 연구, 학연문화사, 1994
20 윤희상.박언곤, 신라말.고려초기의 건축사료에 의한 건축요소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4권, 6호, 1998
21 윤희상, 9世紀 木造建築의 技法 硏究: 石造遺構의 建築要素를 中心으로, 건축역사연구, 7권, 1호, 1998
22 박경식, 한국의 석탑, 학연문화사, 2008
23 張馭寰, 中國塔, 山西人民出版社, 2000
24 문화재청, 文化財大觀(國寶編.建造物), 2001
25 소재구, 新羅下代 僧塔造營史 硏究, 미술자료, 67호, 2001
26 문화재청, 文化財大觀(寶物編.石造 I, 改訂版), 2004
27 소재구, 新羅下代와 高麗時代 僧塔 硏究,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박사학위논문, 2002
28 김버들, 韓國八角願堂石造浮屠와 日本八角願堂型建物과의 聯關性에 관한 硏究(大學院硏究論集, 33집), 東國大學校大學院, 2003
29 엄기표, 신라와 고려시대 석조부도, 학연문화사, 2003
30 조정식.김버들, 韓國八角圓堂(願堂)石造浮屠의 建築的 要素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1권, 6호, 2005
31 김신곤.김봉규, 佛脈: 한국의 선사들, 우리출판사, 2004
32 陳阿屛, 馬祖道一禪學思想之硏究, 南華大學 宗敎學硏究所 碩士論文, 2007
33 嚴基杓, 新羅末 高麗初 石造浮屠에 반영된 木造建築 要素 연구, 文化史學, 31호, 2009
34 국립문화재연구소, 석장: 중요무형문화재 제120호, 민속원, 2009
35 三國遺事
36 三國史記
37 高麗史
38 祖堂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