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738/JAH.2017.26.2.053

A Study on the Location and Architectural Features of Sauidang in the Late Joseon Period  

Park, Hye-Jung (경북대학교 건축학부)
Cho, Jae-Mo (경북대학교 건축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v.26, no.2, 2017 , pp. 53-6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location and space configuration of Sauidang(四宜堂), which is a house in the late Joseon period. Sauidang was built by Hong Man-hoe(洪萬恢), the last son of Princess Jeongmyeong(貞明公主), was used as a house for Pungsan Hong clan(豊山 洪氏) for approximately 150 years, and is now defunct. However, the existence was estimated through Sauidang-ji("四宜堂志") compiled by Gwan-am Hong Gyeong-mo(冠巖 洪敬謨) in 1824. Based on the mention that "Sauidang was located in Hundo-bang(薰陶坊) of Ihyeon-dong(梨峴洞)" and the literature referring to "the site of Myeongryegung Palace(明禮宮)", this study estimated the location of Sauidang. Maps and photographic data in the modern age enabled us to examine the utilization cases of medium- and large-sized lots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with the current Embass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the Republic of Korea.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estimate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Sauidang with a focus on words to clarify the detailed explanation of Sauidang mentioned in the literature and spatial relationship.
Keywords
Sauidang; Sauidang-ji; Hong Gyeong-mo; Princess Jeongmyeong; Myeongryegung Palace; Embass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the Republic of Korea;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홍경모, 四宜堂志(始有集), 1817
2 홍경모, 四宜堂志(耘石外史: 外史後編, 冠巖全書), 1824
3 홍경모, 사의당지, 우리 집을 말한다: 18세기 사대부가의 주거 문화, 이종묵 역, 휴머니스트, 2009
4 주남철, 궁집, 일지사, 2003
5 주남철, 한국건축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6
6 곽순조, 궁궐운영을 통하여 본 조선전기 경복궁의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7 강인선, 조선 후기 한성부 상류주택 안채의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8 강인선.홍승재, 조선 후기 한성부 상류주택의 반빗간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3권, 4호, 2012
9 신명호, 17세기 초반 명례궁의 연혁과 기능, 조선시대사학보, 67집, 2013.12.
10 신상섭, 조선 후기 상류주택 사의당의 공간체계와 조경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권, 2호, 2011.6.
11 유가현.성종상, 조선후기의 문헌 사의당지에 나타난 고택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고찰, 한국문화, 53집, 2011
12 유가현.성종상, 조선후기 사가원림의 해석과 재현 -남양홍씨 사의당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0.3.
13 이군선, 관암 홍경모의 가문의식, 한국학논집(현 동아시아 문화연구), 39집, 2005.12.
14 이군선, 관암 홍경모의 시문과 그 성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5 이종묵, 사의당을 통해 본 조선 후기 문화공간으로서의 한옥, 2012 auri 국가한옥센터 제1차 한옥포럼: 한옥, 미래 건축의 대안일 수 있는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 2012
16 이종묵,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주거문화와 사의당, 한문학보, 19집, 2008
17 이종서, 조선전기의 주거용 층루 건축 전통, 역사민속학, 22호, 2006
18 조영준, 조선후기 궁방의 실체, 정신문화연구, 31권, 3호, 2008
19 신명호, 화정, 정명공주, 생각정거장, 2015
20 이순우, 정동과 각국공사관: 근대서울의 역사문화공간, 하늘재, 2012
21 미상, 계축일기: 인목대비 서궁에 갇히다, 조재현 역, 서해문집,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