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738/JAH.2016.25.6.007

A Study on the Framework Schema of Jusimpo-Style Buddhist Halls of Goryeo Period  

Kang, Sun-Hye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Yoon, Chae-Shin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v.25, no.6, 2016 , pp. 7-1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ramework schema of early J usimpo-style Buddhist halls (Geungnakjeon Hall of Bongjeongsa Temple, 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and Daeungjeon Hall of Sudeoksa Temple). Though the halls are known as built in the late Goryeo Period, they show the influence of the architectural style of the early Unified Silla Period. To find the adopted modules and proportions of these halls, this study conceived a schematic diagram based on the whole frame structure taking reference from the Cai-Fen system in Yingzao Fashi. In these three halls, the heights of each cross-beam (Dori) are made up by the layers of member and member units. This study computes the values of Cai, Zhi, and Fen which can apply to both the section and the plan. The vertical section structure i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standard member heights (Cai) and the standard unit heights (CaiZhi). The bays of columns are made by multiples of the standard member width (Fen).
Keywords
Geungnakjeon Hall of Bongjeongsa Temple; 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Daeungjeon Hall of Sudeoksa Temple; Frame principle; Cai-Fen syst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문화재청, 봉정사 극락전 수리.실측 보고서, 2003.8.
2 안동시, 봉정사 대웅전 해체수리공사보고서, 2004
3 문화재청, 부석사무량수전실측조사보고서(본문), 2002.11.
4 문화재청, 수덕사 대웅전 실측조사보고서, 2005.11
5 문화재청, 영조규범 조사보고서, 2006
6 궈칭화, 중국 목조건축의 구조: 12세기 설계기준과 시공원리, 윤재신 역, 동녘, 2006
7 리원허, 중국 고전건축의 원리, 이상해.한동수.이주행. 조인숙 역, 시공사, 2000
8 전봉희.이강민, 3칸${\time}$ 3칸: 한국 건축의 유형학적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9 장기인, 한국건축사전(한국건축대계IV), 보성각, 1998
10 김동욱, 한국건축공장사연구, 기문당, 1993
11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봉정사 극락전 수리공사보고서, 1992
12 윤재신, 靈巖寺址금당의 목조 架構構造복원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9권, 5호, 2010.10.
13 윤재신.윤용집.강선혜, 鳳停寺極樂殿의 構造解釋을 통한 架構分析에 관한 硏究 I - 縱斷面構造解釋모델의 구축을 기반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0권, 9호, 2004.9.
14 김도경, 鳳停寺極樂殿의 平面과 架構計劃에 關한 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9권, 5호, 2003.5.
15 김도경, 건축설계 측면에서 본 수덕사 대웅전의 평면과 가구 특성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7권, 4호, 2008.8.
16 주상훈, 16세기 이전의 목가구조 도리결구재의 유형과 변천-중국건축과의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8.
17 이연노, 韓國傳統木造建築의 보에 關한 硏究-栱包와 지붕틀과의 結構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7.
18 이정국, 麗末鮮初監督과 大木의 役割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5권, 7호, 1999.7.
19 정연상.이상해, 봉정사 극락전의 목조 결구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2권, 4호, 2006.4.
20 성대철, 韓國傳統木造建築의 比例體系에 관한 硏究,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8.
21 김종훈.김왕직, 초익공집 주요 구조부재 단면치수 계획과 산출기준 연구, 건축역사연구, 20권, 4호, 2011.8.
22 황민혜, L.B. Alberti, Francesco di Giorgio, Leonardoda Vinci의 중앙형 건축평면 드로잉 원리에 관한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7.
23 Gombrich, E. H., Art and Illusion, Phaidon Inc Ltd,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