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738/JAH.2016.25.3.023

A Study on the Eaves Structure of Korean Jusimpo-type Architecture  

Yang, Jae-Young ((주)대신토건 문화재부)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v.25, no.3, 2016 , pp. 23-3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ypes of the eaves structure of buildings with the Jusimpo-type structure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aves structure. For this objective, forty buildings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in members of framework which handle a load burden on the long-rafter(長椽) are classified as the Jusim-dori(柱心道里) and the Oemok-dori(外目道里). Based on the method of handling a load, the eaves structure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Jusim-processing-type(柱心中心形), the Oemok-processing-type(外目中 心形), and the Oemok-processing-variant-type(外目中心變異形). The Jusim-processing-type is the set where the internal length of a long-rafter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eaves on the basis of the center of a column. The Oemok-processing-type is the set where the external length of a long-rafter is longer than the internal length of it. And the Oemok-processing-variant-type is the set where the internal length of a long-rafter is longer than the external length of it, but it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eaves which includes the extruded length of a Buyeon(浮椽). Second, the Jusim-processing-type had been generally adopted in the Jusimpo-type structure of the Goryeo Dynasty. But since the 17th century, the Oemok-processing-type had the highest application rate. Third, the change from the Jusimdori-processing-structure to the Oemokdori-processing-structure means that the long-rafter is moved to the direction of outside of the building, and thus the Jung-dori(中道里) is gradually moved to the column center. And, the change of the eaves with the Jusimpo-type structure was not a process for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eaves but a process for adopting the advantages of the Dapo-type structure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purlin. Fourth, the change from the Jusimpo-type structure to the Dapo-type structure c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for moving the main point for handling a load from the Jusim-dori to the Oemok-dori.
Keywords
Eaves; Jusimpo-type; Framed structure; Wooden structur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양재영, 朝鮮時代多包式建築의 架構發達過程에 關한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 양재영, 한국 목조건축 架構의 水平比例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4권, 9호, 2009.9
3 이경태, 韓國傳統家屋의 처마내밀기 硏究,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 정연상, 조선시대 목조건축의 맞춤과 이음방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5 최지혁, 韓國傳統木造建築 도리配置에 關한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6 강화군청, 江華 淨水寺 法堂 實測.修理報告書, 2004
7 공주시, 공주 마곡사 영산전 해체수리보고서, 2013
8 문화재관리국, 康津無爲寺極樂殿 修理報告書, 1984
9 문화재관리국, 羅州鄕校 實測調査報告書, 1991
10 문화재관리국, 道東書院 實測調査報告書, 1989
11 문화재관리국, 宗廟 正殿 實測調査報告書, 1989
12 문화재연구소, 鳳停寺 極樂殿 修理工事報告書, 1992
13 문화재연구소, 韓國의 古建築, 1979.1984.1996
14 문화재청, 江陵 客舍門 實測.修理報告書, 2004
15 문화재청, 江陵文廟 大成殿 實測調査報告書, 2000
16 문화재청, 개목사 원통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07
17 문화재청, 京畿道指定文化財 實測調査報告書, 1998
18 문화재청, 경주향교 대성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4
19 문화재청, 觀德亭 實測修理報告書, 2007
20 문화재청, 觀龍寺 大雄殿 修理報告書, 2002
21 문화재청, 廣寒樓 修理報告書, 2002
22 문화재청, 廣寒樓 實測調査報告書, 2000
23 문화재청, 논산 노강서원 강당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4
24 문화재청,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1
25 문화재청, 달성 도동서원 중정당.사당.담장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2
26 문화재청, 道岬寺 解脫門 實測調査報告書, 2005
27 문화재청, 無爲寺 極樂殿 實測調査, 2004
28 문화재청, 密陽 嶺南樓 實測調査報告書, 1999
29 문화재청, 法住寺 圓通寶殿 實測.修理報告書, 2010
30 문화재청, 鳳停寺 極樂殿 修理.實測報告書, 2003
31 문화재청, 鳳停寺 화엄강당.고금당 정밀실측보고서 상.하, 2010
32 문화재청, 浮石寺 無量壽殿 實測調査報告書, 2002
33 문화재청, 浮石寺 祖師堂 修理.實測調査報告書, 2005
34 문화재청, 社稷壇 正門 實測調査報告書, 2005
35 문화재청, 洗兵館 實測調査報告書, 2002
36 문화재청, 송광사 중요목조건축물 정밀실측보고서 상.중.하, 2007
37 문화재청, 修德寺 大雄殿 實測調査報告書, 2005
38 문화재청, 崇烈堂 實測調査報告書, 2000
39 문화재청, 永川鄕校 大成殿 實測調査報告書, 2001
40 문화재청, 銀海寺居祖菴靈山殿 實測調査報告書, 2004
41 문화재청, 長谷寺 상.하대웅전 정밀실측보고서, 2010
42 문화재청, 長水鄕校 大成殿 實測調査報告書, 2001
43 문화재청, 全州客舍 修理.精密實測報告書, 2004
44 문화재청, 鎭南館 實測調査報告書, 2001
45 문화재청, 淸風寒碧樓 實測調査報告書, 2003
46 문화재청, 豊南門 實測調査報告書, 2004
47 문화재청, 洪城 高山寺 大雄殿 實測調査報告書, 2005
48 삼척시, 三陟竹西樓 精密實測調査報告書, 1999
49 안동시, 개목사 원통전 해체수리보고서, 2013
50 장기인, 木造, 재판, 보성각, 1998
51 장기인, 韓國建築辭典, 재판, 보성각, 1998
52 고영훈.박언곤, 韓國木造建築物의 처마내밀기의 比例技法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 7권, 5호, 1991.10
53 김도경, 朝鮮時代營造儀軌의 栱包用語에 關한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54 김도경, 한국건축 공포연구의 문제점과 몇 가지 제안 , 건축역사연구, 11권, 4호, 2002.12
55 김동욱, 주심포 다포라는 용어는 언제부터 쓰였을까? , 건축역사연구, 17권, 5호, 2008.10
56 김영성, 韓國傳統建築의 처마깊이와 지붕물매에 관한 硏究,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7 김태곤, 중국 <營造法式>을 토대로 한 韓國木造建物의 처마분석에 관한 硏究,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8 박진기.조재모.최무혁, 조선시대 사찰 불전의 처마내밀기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3권, 5호, 2007.05
59 서효원.전봉희, 전통목조건축물의 중도리 위치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7권, 9호, 2011.9
60 성대철.박강철, 전통 목조건축의 처마부 특징과 치수 추정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6권, 12호, 2010.12
61 성대철.박강철, 전통목조건축 처마 단부구조의 유형별 특징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7권, 5호, 2011.5
62 성대철, 한국전통사찰건축의 유형별 도리배치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8권, 12호, 2012.12
63 양재영.주남철, 朝鮮時代多包建築의 出目과 도리配置에 關한 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9권, 10호, 20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