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Flora of Coastal Dune Area in Shinduri, Korea  

Seo Byeong-Soo (Faculty of Forest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ark Woo-Jin (Department of Fores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ark Seong-Hak (Department of Fores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i Chung-Ho (Department of Fores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v.19, no.2, 2006 , pp. 209-21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vascular flora and injury status in Shinduri coastal dune area $(N36^{\circ}\;49, where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and the result are as follows. The vascular plants identified and surveyed were 125 taxa including 108 species, 14 varieties, 2 forms and 1 hybrid of 92 genera of 40 families and there are 20 taxa including 17 species, 2 varieties and 1 hybrid of 15 genera of 10 families for woody plants, while 105 toxa including 91 species, 12 varieties and 2 forms of 78 genera of 34 families for the herbaceous plants at the . study sites. Seventeen taxa including 17 species of 15 genera of 9 families were investigated for naturalized plants and ratio of naturalization was 13.6 percents at the study sites. Glehnia littorolis Fr. Schm. and Lilium callosum S. et Z. appeared as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in Korea Forest Service. Nine taxa in degree 1, 2 taxa in degree 2, 4 taxa in degree 3, 2 taxa in degree 4 and 2 taxa in degree 5 were represented for especialized species.
Keywords
Castal dune; Vscular flora; Nturalized plants; Rare and endangered plant; Especialized spec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류완상. 2002. 해안사구의 바람과 비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박수현,신준환,이유미,임종환,문정숙.2002.우리나라 귀화 식물의 분포.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임업연구자료 제 193호. pp. 39-53
3 변무섭, 박준모. 2002. 우이도 사구의 식물상 및 비오톱 보전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 94
4 서종철. 2002. 원격탐사와 GIS 기법을 이용한 신두리해안사구 지대의 지형 변화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8: 98-109
5 이우철, 전상근. 1983. 한국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 남해안의 사구식물군락의 종조성과 현존량.한국생태학회지6: 177-186
6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 3-990
7 최정권. 1992. 해안사빈 및 사구의 환경생태학적 고찰. 경원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논문집 10: 585-599
8 환경부. 2002. 해안사구 보전.관리 지침. 환경부. pp. 1-20
9 김종근. 1998. 도시 하천변의 식물생태계 특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경. 1987. 천리포사구내의 적황색 퇴적층에 관한 연구.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Pethick, J. 1984. An Introduction to Coastal Geomorphology. Edward Arnold
12 안동만. 2000. 해안생태계 경관복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 4: 274-279
13 이우철, 전상근. 1984. 한국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 서해안의 사구식생에 관하여. 한국생태학회지 7: 74-84
14 임성구. 2001. 건지산 일대의 식생조사. 전북대학교 농업개발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5 방광자, 이동근, 강현경. 1998. 연안습지의 자연현황 분석 및 그 활용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7: 72, 74
16 안영희. 2003. 신두리 해안사구지 식생의 식물사회학적인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 29-40
17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18 환경부. 2001. 우리나라 사구 실태 파악과 보전,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환경부. pp. 37
19 최지현. 1998. 신두 해안사구 학습원 환경설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 69-83
21 박동원, 유근배. 1979. 우리나라 서해안의 사구지형. 지리학논총 6: 1-10
22 전승훈. 1997. 제 2차 자연환경 전국기초조사 지침. 환경부. pp. 217-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