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2672/ksis.2012.20.2.093

The Spatial Variation Measurement of Multi-Centric Structure in Busan Metropolitan City  

Kim, Ho-Yong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Recently metropolitan cities pursue multi centric urban spatial structur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fficient urban management. Thus, this study calculated population potential using data on population distributed among road nodes for the last 50 years, and based on the results. We measured the spatial variability of the multi centric structur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ulti centralization process has been continued up to recently in Busan Metropolitan City. As population potential is concentrated on sub centers, Hadan, Gupo and Haeundae areas were playing an increasingly powerful role as the center of the respective district, and Sasang and Dongrae had been losing their role as the center of their respective districts since 2000 and 1990, respectively. Additionally, in all the multi centric districts except Haeundae was observed the increase of oblongity, which is the change of spatial structure in an unbalanced way toward a specific area or direction.
Keywords
Multi-Centric Structure; Population Potential; Bachi Measurement; Standard Deviational Ellipse; Spatial Vari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B. Hillier, 1995,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 Press.
2 ESRI, ArcPlot Accessibility network.
3 J. F. McDonald, 1989, "Econometric studies of urban population density: a survey", Journal of Urban Economics, vol. 26, pp. 361-385.   DOI
4 P. Newman and J. Kenworthy, 1992, "Is there a role for physical planners?",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58, no. 3, pp. 353-362.   DOI
5 김광식, 1985, 도시형태측정기법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6 김광식, 1986, "서울시 도시형태측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21권, 제1호, pp. 91-118.
7 김상수, 한상현, 신영철, 김흥태, 2008. "대전광역시 중심시 위계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1권, 제3호, pp. 23-33.
8 김지숙, 김호용, 이성호, 2011, "지형요인에 의한 일조권 침해의 영향 분석",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9권, 제1호, pp. 21-28.
9 김철수, 2008, 현대도시계획, 기문당, p. 105.
10 김호용, 남광우, 2011, "인구잠재력을 이용한 부도 심권 영향력 분석: 19707-2010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69권, pp. 45-62.
11 남광우, 강인주, 임두현, 2009, "도심 인구구심력의 유효범위 변동성 측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2권, 제2호, pp. 120-131.
12 남광우, 이석환, 2004, "Network GIS 환경에서 센서스 데이터를 활용한 인구잠재력 측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39권, 제3호 , pp. 233-246.
13 부산광역시, 2004, 2020년 부산도시기본계획.
14 부산광역시, 2010, 2010년 부산광역시 부산통계, http://www.busan.go.kr.
15 이창무, 김진유, 2004, "박복매매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변화분석", 서울도시연구, 제5권, 제1호, pp. 163-176.
16 전명진, 1995, "다핵밀도경사모형을 이용한 서울대 도시권의 도시공간구조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 학회지"국토계획", 제30권, 제4호, pp. 285-294.
17 전명진, 2003, "비모수적 방법을 통한 서울의 고용 중심지 변화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31권, 제2호, pp.223-236.
18 정대영, 2009, "공간자기상관기법을 이용한 근린 상권의 공간특성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7권, 제1호, pp. 141-147.
19 주용진, 2011, "토지이용-교통 통합적 분석을 통한 도로 기반 도시 형태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9권, 제3호, pp. 63-72.
20 진원형, 이재하, 1998, "대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도시형태와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33권, 제2호, pp. 205-221.
21 채미옥, 1997, "서울시 지가의 공간적 분포특성과 지가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하창현, 2005, "공간적 자기상관분석을 이용한 연담도시권의 공간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황영우, 1998, "부산시 토지이용패턴의 종합적 분석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