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2672/ksis.2012.20.2.059

A Study on History-Tourism Information Service Using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Jung, Da-Woon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생활과)
Kang, Young-Ok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과교육과 지리전공)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smart phone has opened up infinite possibilities for the information retrieval. And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which has started getting attention to various fields has allowed us to get an information in an innovative way by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a real world before our ey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d to construct mobile application service which give history-tourism information efficiently based o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s a result of study, we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find the view point that the most accurat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s according to each contents such as maps, pictures, drawings etc. and to provide the function to the users which shows the view points information effici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whether the technology studied in private sector by us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smart phone can also be applied in public sector for the service of history tourism information. We expect that this study can be the basis for providing the more advanced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the near future.
Keywords
Mobile App; Augmented Reality; History-Tourism Information; Google Map; SmartPhon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P.Milgram and F. A. Kishino, 1994, "Taxonomy of mixed reality visual display", IECE Trans. on Information and Systems(Special Issue on Networked Reality) E77-D, No. 12, pp.1321-1329.
2 Dieter Schmalstiegl Daniel Wagner, 2007, "Experiences with Handheld Augmented Reality," ISMAR '07 Proceedings of the 2007 6th IEEE and ACM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xed and Augmented Reality, pp.3-18.
3 가트너 심포지움/ITxpo, 2011년 10월, http://blogs.gartner.com/symposium-live-orlando
4 구민재, 2010,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이용한 학습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사회교과 내용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재원, 2011, 스마트폰에서 위치기반 서비스에 관한 연구: 동물원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창환, 2011, 모바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기술 기반의 플랜트 배관시공 관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노경희․지형근․임석현, 2010,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몰입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1-13.
8 니케이커뮤니케이션편집부, 2010, 스마트폰과 웹의 혁명 증강현실의 모든 것. 멘토르.
9 데이코산업연구소, 2010, 급성장하는 위치기반서비스(LBS)와 증강현실 기술, 시장 및 사업 동향, 데이코산업연구소.
10 박화정, 2009,"증강현실 기반 E-Learning 기술동향,"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제10권, 제2호, pp. 12-22.
11 박화정․전준철, 2010,"안드로이드기반 문화재 Virtual Board의 구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대회, pp.501-504.
12 방송통신위원회 발표, 2011.11.01.
13 사진으로 보는 종로 http://tour.jongno.go.kr/
14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2, (사진으로 보는 서울) 개항이후 서울의 근대화와 그 시련: (1876-1910), 서울특별시.
15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2, (사진으로 보는 서울) 일제침략 아래서의 서울: (1910-1945), 서울특별시.
16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4, (사진으로 보는 서울)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출발: (1945-1961), 서울특별시.
17 신지민, 2004,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사례연구-증강현실 기법의 활용을 중심으로," 인포디자인 이슈 5호, pp.67-80.
18 엄기열․김규진․김문현, 2010, "증강현실 환경하에서 비마커 기반 객체 인식 및 추적 기술 동향," 정보과학회지, 제28권, 제8호, pp.54-66.
19 오세진․우운택, 2009, "스마트 공간에서의 맥락 인식 모바일 증강 현실 기술,"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제5권, 제1호, pp.15-23.
20 원강식, 2010, "증강현실을 이용한 복원영상의 박 물관 교육분야 활용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205-212.
21 이승아, 2010, 현장체험학습 지원시스템을 위한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완건, 2005, 서울의 역사성 표현을 위한 근대건축 보존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이현정, 2009,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강릉시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장문현, 2008, "문화재 GIS구축을 위한 문화유적 분포지도제작 연구, " 한국GIS학회지, 제 16권 제 3호, 303-315.
25 장영균․우운택․김동철․신춘성, 2010,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동향," 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제38권, 제1호, pp.41-52.
26 전종홍, 2007, 모바일 웹2.0과 모바일OK 표준화. 정보와 통신, 제24권 제11호, pp.58-65.
27 제갈병직, 2010, 스마트폰 시장과 모바일OS 동향, 반도체산업협회, 5/6월, pp.9-18.
28 조아라․강영옥, 2010, " GepRSS기능을 활용한 축제정보 사이트 구축," 한국공간정보학회 논문지, 제 19권, 제1호, PP.89-99.
29 정다운, 2012, 모바일 증강현실기반 역사관광정보제공 서비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