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2672/ksis.2012.20.1.019

The Effect of Reducing Carbon Emissions,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U-City System  

Jung, Tae-Woong (건국대학교 신기술융합학과)
Moon, Su-Jung (건국대학교 신기술융합학과)
Kim, Yoon-Kwan (이앤위즈(주))
Koo, Jee-Hee (건국대학교 신기술융합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Since $CO_2$ emissions are recognized as the biggest contribution to climate change, the needs and international efforts for $CO_2$ emissions reduction are increasing. The developed countries are driving strategies to boost green industry as a new growth engine. Following this global trend, based on the ongoing U-City project as a new city model, it is required to analyze the changes of $CO_2$ emissions in U-City to identify its potential for reducing carbon dioxide emissions.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potential and effects on $CO_2$ reduction by analyzing the level of $CO_2$ emissions before and after introducing U-City. Bundang-Gu, Seongnam-City & Ilsan-Gu, Goyang-City among Phase I new tow ns were selected as model cities before introducing U-City and Dongtan-Dong, Hwaseong-City as a model city after introducing U-City. The result showed 30% reduction of $CO_2$ emissions in the comparison of tw o models.
Keywords
U-City; Calculation of $CO_2$ Emissions; IPCC; Effects on $CO_2$ Redu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경기개발연구원, 2008, 경기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개발, 경기개발연구원.
2 경기개발연구원, 2008, 기후변화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적응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3 경기개발연구원, 2008, 탄소중립도시 구현을 위한 계획적 접근방안, 경기개발연구원.
4 경기개발연구원, 2009, 도시수목의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및 흡수효과 증진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5 경기도, 2009, 경기통계연보. 경기도.
6 고양시, 2008, 고양통계연보. 고양시.
7 국토연구원, 2008, 기후변화에 대응한 지속가능한 국토관리 전략(1), 국토연구원.
8 국토연구원, 2009, 영국 저탄소형 에코타운 조성 사례와 국내 적용가능성 연구, 국토연구원.
9 국토연구원, 저탄소 녹색도시의 녹색성장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오스틴을 중심으로, 2009.
10 김복환, 구지희, 곽인영, 2009, "지속가능한 U-City 운영을 위한 선순환 U-City모델의 개발 방향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1권, 제1호, pp. 145-156.
11 김태민, 송철철, 이우균, 손요환, 배상원, 김춘식, GIS 및 RS를 이용한 소나무림 식생탄소저장능력의 공간분포 특성규명, 한국GIS학회 2007 추계학술대회, 2007.
12 김홍배, 김재구, 2010, "도시내 탄소발생량 산정과 저탄소도시 개발의 핵심부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5권 제1호, pp. 36-45.
13 백천현, 유종훈, 김호균, 2009, "국가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기본절차(IPCC 지침)에 대한 조사 연구", 대한산업공학학회지, vol. 22, no.4, 2009, pp. 317-328.
14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9, 서울시 기후변화대응 성과분석 및 비전수립,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5 성남시, 2008, 성남통계연보. 성남시.
16 송병훈, 정지은, 신준호, 2009, "IT장비를 위한 스마트 탄소 미터링 기술", 한국통신학회지, 제26권 제9호, pp. 42-48.
17 안재호, 2011, "IPCC방법을 이용한 시화.반월 산업단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연구", Journal of the KIEAE vol. 11, no. 2, pp. 67-74
18 에너지경제연구원, 2001, 국내 GHG 감축을 위한 정책포트폴리오에 대한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19 에너지경제연구원, 2002, 에너지.환경.경제 통합 계량경제 시뮬레이션 모형에 의한 온실가스 저감 수단의 평가, 에너지경제연구원.
20 오상학, 김애욱, 류지원, 차재규, 정응호, 2011,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CO_2$인벤토리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4권, 2호, pp. 40-52.
21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 2011.8.4 법률 제11037호], 2010.
22 이재훈, 김기태, 정길섭, 유환희, 2010,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탄소배출과 토지이용변화 분석-전주시를 중심으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8권 제1호, pp. 129-134.
23 장은미, 김정락, 이인희, 연속지적도와 고해상도 영상의 $CO_2$ 배출모델에의 적용,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9 GIS 공동추계학술대회, pp. 238-241, 2009.
24 장희선, 조기성, 2007, "송탄 U-City의 성공적인 비즈니스모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11호, pp. 223-231.
25 한국환경공단, 2010,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지침 2010.한국환경공단.
26 최현아, 이우균, 곽한빈, 최성호, 변재균, 유성진, 2009, "시.공간정보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1권, 제3호, pp. 63-69.
27 충남발전연구원, 2010,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도시계획 통합모델, 충남발전연구원.
28 통계청, 2009, 사업체 기초통계조사 보고서 2008년 기준. 통계청.
29 화성동탄, 2009, U-City Story 홍보자료. 화성동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