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ubsurface Geology and Geologic Structure of the Euiseong Basin using Gravity, Magnetic, and Satellite Image Data  

Yu Sang Hoon (Dept. of Earth System Sciences, Yonsei University)
Hwang Jong Sun (Dept. of Earth System Sciences, Yonsei University)
Min Kyung Duck (Dept. of Earth System Sciences, Yonsei University)
Woo Ik (Dept. of Geoinformation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v.38, no.2, 2005 , pp. 143-15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Euiseong subbasin, included in the Kyungsang Basin, was created by the result of volcanic activity in the late Cretaceous, and contacts with Milyang and Youngyang subbasins by Palgongsan and Andong faults, respectively. In this study, geophysical survey is implemented fur investigating surface and subsurface geologic structure in Euiseong subbasin which composed with the complex of volcanic and plutonic rocks. To understand surface geologic feature, IRS satellite image and DEM(Digital Terrain Map) are used for analyzing lineament and its density. The numbers of lineaments show major trend in $N55^{\circ}\~65^{\circ}W$, and aspects of lineament lengths show major trend in $N55^{\circ}\~65^{\circ}W$ and N-S directions. 13 delineate subsurface density discontinuity; Power spectrum analysis was implemented for gravity anomaly data, resulting $4-5{\cal}km$ depth of basin basement and $0.5-0.6{\cal}km$ depth of shallow discontinuity. From the result of power spectrum analysis, 2.5-D modelings were implemented along two profiles of A-A' and B-B', and they show subsurface geology in detail. Analytic signal method for detecting boundaries of magnetic basements show 0.001-130 nT/m values, and high energy area show good correspondency with the boundaries of Palgongsan granite and caldera areas in Euiseong subbasin.
Keywords
Euiseong subbasin; lineaments; power spectrum; 2.5-D modelings; analytic signal method;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원균, 1999, 의성분지의 지질 및 지구조 연구. 연세대학교박사학위 논문
2 구성본, 이태섭, 김광은, 최종호, 박수영, 성낙훈, 1997, 예천, 안동, 예안지역 항공 방사능/자력탐사와 해남 및 경상분지 자료종합. 한국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 KR-97(C)-13, 84p
3 우익 (1993) 경북 의성군 금성산칼데라에 대한 중력 및 자력탐사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이천훈, 이도영 (1972) 경상분지 중력탐사보고서. 국립지질조사소, 지구물리 화학탐사보고, 제6권, p. 71-81
5 장기홍 (1988) 정상분지 백악기 층서와 고수류 해석. 지질 학회지 ,24권 3호, p 194-205
6 장기홍, 손진담 (1990) 경상분지 야외지질조사. 한국석유 개발공사, p. 29-47
7 황재하 (1994) 백악기초 이후 한반도 남동부에 작용한 고응력 복원. 한국지질학회지,30권, p. 27-34
8 Chang, Ki-Hong (1987) Cretaceous Strata, Geology of Korea(editor, Lee, Dai-Sung), p. 175-194
9 Hsu, Shu-Kun, Jean-Claude Sibuet, Chuen-Tien Shyu (1996) High-resolution detection of geologic boundaries from potential-field anomalies: An enhanced analytic signal technique. Geophysics, v. 61, p. 373-386   DOI
10 장기홍 (1978) 경상분지의 층서, 퇴적 및 지구조(II). 14권 ,p 120-135
11 조진동 (2003) 1:250,000 부게 중력이상도 안동도폭. 한국 지질지원연구원
12 장기홍, 박순옥 (1997) 경상분지 중앙부의 구조발달사와 화산활동사. 자원환경지질, 제30권 제2호, p. 143-151
13 황재하 (1992) 경상분지 고응력장 복원 및 구조운동사: 고령읍 부근의 경우. 지질학회지,28권, p. 471-482
14 김성균 (1995) 한반도의 지각구조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31권, p. 393-400
15 권병두, 권재현, 정호준 (1995) 의성지역 금성산칼데라와 그 부근의 지질구조와 중력특성. 지질학회지,31권, p. 125-137
16 최현일 (1985) 백악기 경상분지의 퇴적과 그의 층서분류 와의 연관성. 지질학회지, 21권, p. 26-37
17 Thurston, J. B. and Brown R. James (1994) Automated source-edge location with a new variable pass-band horizontal-gradient operator. Geophysics, v. 59, p. 546-554   DOI   ScienceOn
18 김인수, 이현구, 윤혜수, 강희철 (1993) 의성지역 백악기 암석에 대한 고자기연구. 광산지질, 26권, p. 403-420
19 전정수 (1995) 경상분지 남부지역(밀양소분지)의 지질구조 에 관한 지구물리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장기홍 (1977) 경상분지 상부중생계의 층서 , 퇴적 및 지구조. 지질학회지, 14권 p. 76-90
21 조진동, 최종호, 박인화, 고인세 (1996) 광역중력탐사연구 (한반도 남부). 한국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 KR-96(C)-5
22 Pedley, R. (1986) Nonlinear problems by linearization, Short course on geophysical inverse theory and application. Presented by Scripps Industrial Associates, Scripps Institute of Oceanography, La Jolla, California
23 유철 (1996) 경북 군위군 화산 칼데라에 대한 중력 및 자력탐사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4 이병주, 황재하 (1997) 경상분지 북동부에서의 가음단층과 양산단층의 관계. 지질학회지,33권, p. 1-8
25 이병주, 강필종, 황재하, 송교영, 조민조 (1993) 상부 경상 누층군내에 발달하는 단층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 연구소 연구보고서 , KR-(93)-(B)-6, 46p
26 제일영 (1998) 중력자료를 이용한 의성분지의 지구조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7 손진담, 김중열, 구성본, 손병국, 권석기,1989, 경상누층군 의 퇴적상과 속성작용 및 암석물성의 관련성 연구. 한국동력지원연구소 연구보고서 , KR-(89)-(B)-37110p
28 민경덕, 정종대 (1985) 중력탐사에 의한 경상층군내 왜관 -포항간의 지히구조 연구. 광산지질, 18권, p. 321-329
29 최현일, 손진담, 오재호, 최영진, 윤현수, 선성천, 양문열, 김상길, 조동행, 오재호, 문창배, 민성식, 박영수 (1982) 의성지역 경상누층군에 대한 연구. 연구특보-28호, 한국동력자원연구소, p.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