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GIS based Estimation of Carbon Emission for a Local Government Unit  

Kim, Tae-Hoon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실)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v.19, no.4, 2011 , pp. 81-8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Low-carbon Green Growth is highlighted as the main issue from in and outof Korea. Recently Korean government and local goverment constructed a master plan and related database. Considering this as a starting point the carbon gross emission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ity planning and management of local goverment unit.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analysis of carbon gross emission and the environment of carbon occurrence using statistics and digital forest map for the Gyeonggi-do. Further research need to analysis the carbon absorption using satellite image for periodic database. These database will be available basic data for the policy making.
Keywords
local goverment unit; carbon emission; carbon absorption; carbon gross emission; G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기태, 2010,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탄소배출 추정, 2010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 산림청, 2005, 탄소흡수원 확충 기본계획.
3 안태원, 2010, 저탄소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녹지계획지표 수립 연구(춘천시를 대상으로).
4 어재훈, 김기태, 정길섭, 유환희, 2010,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탄소배출과 토지이용변화 분석(진주시를 중심으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8권 1호, pp.129-134.
5 원명수, 구교상, 이명보, 손영모, 2008, Landsat TM영상자료를 활용한 삼척 대형산불 피해지의 비 이산화탄소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제 10권 1호, pp.17-24.
6 이상화, 조영임 2009, 고해상 영상정보와 GIS를 활용한 산림자원 탄소배출량 추정 및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개발원 단행본.
7 장남정, 2009, 지자체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연구(전라북도 사례), 대한환경공학학회지 제31권 7호, pp. 565-572.
8 진상현, 황인창, 2009, 지수분해분석을 이용한 지자체의 에너지 소비특성에 관한연구, 자원환경경제연구지 제18 권 제4호, pp.557-586.
9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산정시스템, http://airemiss.nier.go.kr.
10 국립산림과학원 이산화탄소 흡수량 기준표, http://www.kfri.go.kr.
11 경기도 통계자료, http://stat.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