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15/KILA.2013.41.2.06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ction Based on Visitor's Satisfactions of the Du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Han, Bong-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Choi, Jin-Woo (Urban Ecology Research Center HUNECO)
Hur, Ji-Ye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Kim, Sun-Hee (Environment and Water Resources Committee, Seoul Metropolitan Council)
An, Kyung-Jin (School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Landscape, University of Newcastle)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41, no.2, 2013 , pp. 69-8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Du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in dispersing peak climbing hikers, characterize each section of Dulegil and suggest ideas of improv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completed by visitors in all 21 sections of Dulegil. After the construction of Dulegil, the number of visit to Dulegil grew and it was analyzed that Dulegil attracted new visitors given that the rate of young people(aged 19~30) who visited for the first time was quite high. Regarding the frequency of peak climbing, 7.6% of the respondents said "decreased" and 46.2% said "increased", showing that Dulegil's effect to disperse peak climbing hikers is nominal. Seven qualities were evaluated regarding Dulegil's level of satisfaction. Out of those seven, the quality of recreational place and taking a walk achieved high scores of 3.74 and 3.61 respectively. The quality of culture and history scored the lowest with 3.09.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 of each section of Dulegil, reason of visit, and the visitors' level of satisfaction showed that Dulegil is now regarded as a place where they can improve their health through light exercise and walking. In addition, a positive effect can be expected for a long time since there are different ways of utilizing the resources of the National Park, such as getting in touch with nature, preserving ecology, learning history and enjoying beautiful landscapes. If infrastructure and programs specific to each section of Dulegil were improved in a long-term perspective, it would be effective to encourage peak climbers and enjoy the lower parts of the mountain.
Keywords
Trail; Peak Climbing; Dispersing Visitors; Horizontal Hik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국립공원관리공단(2010) 북한산 둘레길 이용자 만족도 조사 보고서. 국립공원관리공단 보고서.
2 국립공원관리공단(2011)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효과분석 연구. 국립공원관리공단 보고서.
3 국립공원관리공단(2012) 2012 북한산국립공원 기본통계.
4 국립공원연구원(2011)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이용 분산효과 연구. 국립공원연구원 보고서.
5 권헌교, 심규원, 한상열(2012)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이용 분산효과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6(1): 115-120.
6 김기원(2009) 숲길 계획의 개념적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2): 11-24.
7 김상범, 최자운, 정대영, 김은자(2010) 지역 활성화를 위한 테마길 조성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7(3): 587-606.
8 김영환(2011) 도시민의 경관인식 및 도시 이미지에 관한 연구: 청주시민의 설문조사 및 인지지도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27(7):143-150.   과학기술학회마을
9 김정민(2011) 도시형 국립공원 둘레길 조성에 대한 시민 의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1): 102-110.
10 박봉우(2003) 도시 숲의 기능. 숲과 문화 12(3): 20-23.
11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2012) 북한산국립공원 업무계획서.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문서 자료.
12 서동익(2012) 북한산 국립공원 안내사인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성현찬, 민수현(2003) 도시녹지의 기능 및 효과제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1(2): 48-57.
14 손지원, 하시연(2012) 숲길 특성에 따른 이용객의 이용행태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101(2): 309-316.
15 손지원, 하시연, 김재준(2012) 숲길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용객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101(3): 469-479.
16 심규원(2011) 북한산 둘레길 이용에 따른 $CO_2$ 저감 미 경제적 효과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5(4): 29-32.
17 오현경, 한윤희, 조우(2012) 북한산 국립공원 주요 지역의 관속식물상:북한산둘레길, 진관내동습지, 북한동철거지를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5(1): 35-51.
18 유기준, 한봉호, 최진우, 허지연(2012)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조성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1): 113-124.   과학기술학회마을
19 이명우, 김용식, 권영선(1987) 북한산 국립공원의 이용 행태특성 및 등산패턴.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 66-82.
20 이민영(2013)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자연경관 평가 및 관리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연희, 김기원, 변우혁(2009) 도시숲으로서 북한산 국립공원의 탐방객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1): 53-61.
22 임승빈(1986) 환경심리․행태론. 보성문화사.
23 조우, 김지석, 김종엽, 이경재(2009) 북한산국립공원 우이령길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탐방로 조성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2): 111-114.
24 조우현, 윤희재, 임승빈(2011) 북한산 둘레길 이용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9(4): 60-73.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5 조우현, 임승빈(2013) 북한산 둘레길 경관선호도와 이용만족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1(1): 1-11.
26 조현제(2003) 도시숲의 기능과 역할. 숲과 문화 12(3): 10-19.
27 한봉호, 최진우, 유기준, 노태환(2010)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조성계획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 193-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