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15/KILA.2012.40.4.036

Rationalizing Strategies for Children's Activity Spaces and Facilities  

Park, Mi-Ok (Center of Eco & Green, Korea Nazarene University)
Koo, Bon-Ha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ang Myu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40, no.4, 2012 , pp. 36-5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contradiction factors on laws for children's activity spaces and facilities and to suggest the rational options to control and manage those spaces and facilities by environmental and landscape planning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jor law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safety for children's activity spaces are "Environmental Health Act (ERA)" for managing the environmental safety of children's activity spaces; "Safety Supervision Law of Children's Play Facilities(SSLCPF)" for the inspection and management for safety of children's play facilities; "Quality Management and Industrial Products Safety Management Law(QMIPSML)" for managing safety certification on children's play equipments. 2. The interior space such as "living room" by the Children's Welfare Law(CWL), "Children Park" by the Act on Urban Parks and Green Spaces(AUPGS), "classroom" o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by the Act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Private Lesson and Training(AEOPLT) and "nursing room" of child care center smaller than $430m^2$ are needed to be managed as an activity space. 3. In order to reduce industrial burden in the production, establishment, construction, and operation and to minimize unwilling extra burden in the administration effort due to legally double regulate, it is necessary to mitigate the inspections on the equipment certificate from QMIPSML and overlapped or different factors and standards must be unified. With this study, the landscape domain could he enlarged from producing, import of play equipment and establishment,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play facilities for a comprehensive range of activity spaces, and the landscape industry such as engineering industry, academic research, management, etc.
Keywords
Play Equipment; Environmental Safety; Inspection; Certification; Landscape Industr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Neira, M.(2008) Childhood Environmental Health. WHO.
2 USEPA(2008)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2008 Highlights : Environment, Health, And a Focuson Children. USEPA.
3 WHO(2006) Principles for Evaluating Health Risks in Children Associated with Exposure to Chemicals.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237. WHO.
4 http://www.law.go.kr
5 http://www.cpsc.gov
6 김은주, 정덕희(2008) 어린이 놀이터 놀이시설 안전실태 조사. 보육정책 연구 4(2): 23-38.
7 김종호(2009) 어린이놀이시설 안전성 평가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호현, 임영욱, 양지연(2010) 어린이 활동공간의 유해물질 다경로 위해성 평가. 한국환경독성학회(2010) 추계 학술대회 연제집. pp. 63-64.
9 보건복지부(2010) 2009년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10 손석정(2009)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법규 고찰. 스포츠와 법 12(1): 85-104.
11 송민경(2010) 어린이 놀이활동 중 노출가능 특정유해물질의 통합위해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신병철(2000) 어린이놀이시설의 안전성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27(5): 120-129.
13 안근영, 정민영, 주신하(2008) 어린이 놀이시설의 소재에 따른 만족도 및 친환경성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1(1): 52-61.
14 윤재철(1991) 어린이놀이시설 안전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양지연, 김호현, 양수희, 김선덕, 전준민, 신동청, 임영욱(2010) 어린이 주요 활동 공간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노출로 인한 건강 위해성 평가 -보육시설 및 실내놀이터 중심으로-. 환경독성보건학회지 25(1): 57-68.
16 오경록(2006) 한국 조경놀이시설물 안전검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윤강호(2005) 한국 어린이놀이터 위험 실태조사와 국제 안전규정 시스템을 통한 비교 분석.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경영지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상석(2009)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법규의 개선방향. 한국조경학회지 37(2): 47-61.
19 임승빈(2007)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서울:보문당.
20 임영홍, 김세천(2009)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 실태 조사 분석 및 개선 방안 : 전주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2009)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27-30.
21 최일홍(1990) 주거단지내 어린이놀이시설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홍윤미, 김지수, 변대중(2008) 상업시설 내 어린이 놀이공간의 안전관리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 서울지역 대형 유통매장 5곳을 대상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7(4): 66-74.
23 홍지숙(2007) 아파트 단지 내 어린이놀이터의 실태조사를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환경부(2008) 50인 이하 보육시설 현황. 환경부(미발간).
25 환경부(2009) 어린이놀이터 바닥재 환경유해인자 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환경부 보고서.
26 환경부(2010a) 어린이 활동공간 위해성평가 사업: 학교, 학원 및 주거, 교통, 공공시설 중심. 환경부 보고서.
27 환경부(2010b) 인조잔디와 탄성포장재의 유해물질 위해성 평가 및 관리대책 마련. 환경부 보고서.
28 환경부(2010c) 어린이 실내활동공간 실태조사 및 관리대책 용역. 환경부 보고서.
29 황정식(2008) 어린이놀이터 놀이시설물에 관한 연구. 부산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