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15/KILA.2012.40.2.049

The Influence of Landscape Paintings in Joseon Dynasty on the Styles of Landscape Garden  

Kim, Han-Ba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40, no.2, 2012 , pp. 49-6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opular landscape paintings in Jaseon Dynasty had become the prototypes of the paradise of people and played the essential role in making the typical types of garden in those times. The representative types of the paintings include , , and etc. They made ways to produce the typical types of Joseon landscape gardens such as 'Dowon Type Gardens', 'Gugok Type Gardens', 'Prospect Type Gardens' and 'Gilji Type Gardens' etc. The types of garden above showed their landscape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with the types of painting respectively. The 'Dowon Type Gardens' mostly located at the mountain valley showed enclosed landscape suited for refuge it corresponds with the composition of . The 'Gugok Type Gardens' mostly located at the long and winding valley composed of sequential sceneries with open and enclosed views corresponding with the composition of . The 'Prospect Type Gardens' located mostly m the hilly sites holds open views contrasting with the earlier types, and activated with the influence of . The 'Gilji Type Gardens' influenced by extended their territory beyond the main garden and made the vicinity areas, including the whole village, a paradise in respect with feng shui. Most of the garden types in Joseon Dynasty have alternated the bipolar characteristics of Prospect and Refuge in time and area respectively.
Keywords
Mongyudowondo; Dowon Type Gardens; Jinkyung Sansuhwa; Prospect Type Gardens; Prospect and Refug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허용(2006) 조선시대 도원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彭一剛저, 김종태 역(1989) 중국고대정원림의 분석. 서울: 문화재관리국.
3 樋口忠彦(1982) 日本の景觀. 東京: 春秋社.
4 Appleton, Jay(1975) The Experience of Landscape. London: John Wiley & Sons.
5 Cheng, Fransis (1994) Empty and Full-The Language of Chinese Painting. Boston and London: Shambhala.
6 Kim, Sung-Kyun(2010) Principles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 "Nujeongwon". 2010 International Symposium Identity of Traditional Asian Landscapes. pp. 19-30.
7 Wu, Jiahua(1995) A Comparative Study of Landscape Aesthetics. Lewiston: The Edwin Mellen Press.
8 강영조(2002)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조망행동. 한국조경학회지 30(5): 1-15.
9 김용기, 이재근(1992) 조선시대 정자원림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0(1): 15-31.
10 고연희(2007) 조선시대 산수화. 서울: 돌베개.
11 김한배(2010a) 동양그림의 경관관이 작정원리에 미친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7(6): 85-95.
12 김한배(2010b) 서촌의 산수경관과 원림문화. 서촌: 역사, 경관, 도시조직의 변화. 서울역사박물관. pp. 168-189.
13 김한배, 박찬용(2002) 닭실마을의 경관조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3): 1-14.
14 노재현(2008) 중국 무이구곡의 장소미학과 하천형태학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1-11.
15 민경현(1982) 서석지를 중심으로 한 석문임천정원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1): 4-27.
16 박병오, 양병이(2003) 조선중기 영남사림의 원림조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4): 14-26.
17 백윤수(2005) 원림론에 미친 화론의 영향. 미학 제 41집: 1-33.
18 안계복, 오태호(2010) 경남지방 별서의 경관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4): 28-35.
19 안휘준(2000) 한국회화사연구. 서울: 시공사.
20 안휘준, 이병한(1991) 안견과 몽유도원도. 서울: 예경산업사.
21 역사경관연구회 편(2008) 한국정원답사수첩. 서울: 도서출판 동녘.
22 유병림, 황기원, 박종화(1989) 조선조 정원의 원형에 관한 연구. 서울: 서울대환경대학원 부설 환경계획연구소.
23 유준영, 이종호, 윤진영(2010) 권력과 은둔. 서울: 북코리아.
24 유홍준(1998) 조선시대 화론연구. 서울: 학고재.
25 유홍준(2001) 화인열전1. 서울: 역사비평사.
26 윤국병(1982) 고려시대 정원용어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1): 28-40.
27 이상주(2006) 조선후기 산수평론에 대한 일고찰. 한문학보 14: 215-244.
28 윤진영(1997) 朝鮮時代九曲圖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29 이규목(1990a) 한국의 유토피아. 한국의 도시연구. 문운당.
30 이규목(1990b) 한국전통경관 속의 물-방지와 계류. 건축문화 1990(7): 84-90.
31 이상주(2008) 화양구곡. 선유구곡의 완성과정과 화양구곡도. 한문학보 제 18집. 우리한문학회: 525-555.
32 이의철(2006) 안견의 <몽유도원도>에 대한 연구. 온지논총 14: 423-444.
33 이종묵(2006a) 조선의 문화공간1. 서울: 휴머니스트.
34 이종묵(2006b) 조선의 문화공간3. 서울: 휴머니스트.
35 장경연(2003) 桃園圖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정동오(1986) 전통적인 정자원림의 입지특성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 25-38.
37 정봉구, 한동수(2007) 조선후기 한양의 원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10): 93-104.
38 조규희(2007) 사대부의 원림과 회화. 그림에게 물은 사대부의 생활과 풍류.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편. pp. 86-143.
39 조규희(2008) 家園眺望圖와 조선후기 借景에 대한 인식. 미술사학연구 257: 105-139.
40 주남철(2009) 한국의 정원.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41 최기수(2004) 자연에서 얻는 삶과 지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133-138.
42 최완수(1998) 진경시대1, 2. 서울: 돌베개.
43 최종현(2007) 원림건축 형식으로서의 한국전통산수화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13-36.
44 최효석, 강신애(2005) 조선시대 실경산수화의 시공간적 분포와 그 의미. 민족문화연구 42: 243-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