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15/KILA.2012.40.1.092

Site Selection of Wildlife Passage for Leopard Cat in Urban Area using Space Syntax  

Park, Jong-Jun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Woo, Dong-Geol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Oh, Dae-Hyu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ark, Chong-Hwa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40, no.1, 2012 , pp. 92-9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Many wildlife habitats have been destroyed and fragmented during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rocess in Korea. It is essential to connect these fragmented habitats to reduce road-kill of many types of endangered urban wildlife. The site selection for wildlife passages must take into account the behavior of the wildlife species for safe crossing utilizing many artificial barriers in urban area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potential wildlife passage sites for the endangered and protected leopard cats of Gangseo Ecological Park in Seoul, Korea. A space syntax analysis, an analytical technique to objectively evaluate the spatial configurations related to passage selection, found that the integration value represents the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of spaces. In this paper, this means that the bigger the integration value, the more frequently the leopard cat passes through. The leopard cats were captured and radio-tracked for 72 hours once a month from March to June of 2009. The ArcGIS and Animal Movement of Hawth Tools were used to analyze the home range and movement paths, and Axwoman 4.0 was used to analyze space syntax. The daily average movement distance was $2.099{\pm}1.08km$.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leopard cats crossed over an urban expressway more than 20 times, running the risk of road-kill. The range of global integration values was 0.458~1.834, while that of the local integration was 0.210~6.061. Five sites that met across the leopard cats' movement routes and roads were selected to measure the local and global integrate values. Among these sites, the higher the integration value, the higher the road-kill possibility. Thus, two of five sites with high global and local integration values were suggested as potential wildlife passage sites for the leopard cats. Now, three tunnel passages are under construction at the suggested sites for which local integration value was highest (LI=4.369). Further studies are scheduled to verify these potential sites as suitable wildlife passages.
Keywords
Wildlife Movement; Road Kill; Wildlife Vehicle Collision; Eco-Bridg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최재필, 최현철, 조영진, 조형규, 김민석(2005) 공간분석 통합 소프트 웨어 개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10).
2 최태영, 이용욱, 황기영, 김선명, 박문선, 박그림, 조범준, 박종화, 이명우(2006) 야생동물의 도로 횡단특성 분석: 도로횡단구조물 상의 눈 위 발자국 조사를 통하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 340-344.
3 최태영(2007) 포유류 도로횡단 특성과 행동권 분석에 따른 로드킬 저감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최태영, 박종화(2009) 농촌지역의 삵 행동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 대회논문집 19(1): 56-58.
5 환경부(2011a) 전국 생태통로 설치 운영․현황. 환경부 보고서.
6 환경부(2011b) 생태통로 설치 지침. 환경부 보고서.
7 Batty, M.(2004) A New Theory of Space Syntax. CASA Working Paper 75,C entre for Advanced Spatial Analysis, University College London.
8 Jiang, B.and C. Claramunt(2002) Integration of space syntax into GIS: New perspectives for urban morphology.Transactions in GIS 6(3):295-309.   DOI
9 Etter, D. R., K. M. Hollis, T. R. Van Deelen, D. R. Ludwig, J. E. Chelsvig, C. L. Anchor, and R. E. Warner(2002) Survival and movement of white-tailed deer in suburban Chicago, Illinois.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66(2): 500-510.   DOI
10 Gustafson, E. J. and R. H. Gardner(1996) The effect of landscape heterogeneity on he probability of patch colonization. Ecology 77: 94-107.   DOI
11 Hillier, B., A. Leaman, P. Stansalland M. Bedford(1976) Space syntax. Environment and Planning B 3:147-185.   DOI
12 Hillier, B.(1996)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Keller, V. and H. P. Pfister(1995) Wildlife Passages as a Means of Mitigating Effects of Habitats Fragmentation by Roads and Railway Lines. Swiss Ornithological Institute.
14 Nakanishi, N., M.Okamura, S. Watanabe, M. IzawaandT. Doi (2005) The effect of habitat on home range size in the Iriomote cat. Mammal Study 30:1-10.   DOI
15 White, G. C. and R. A. Garrott(1990) Analysis of Wildlife Radiotracking Data. Academic Press.
16 http://hangang.seoul.go.kr/park_ganseo/
17 김명수(2005) 생태통로 식재수종의 현황 및 문제점 고찰. 한국환경복원 녹화기술학회지 8(1):17-26.   과학기술학회마을
18 강혜순, 김진영, 박경(2005) 야생동물의 행동권을 고려한 설악산 국립공원과 오대산 국립공원간 서식지 연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150-161.   과학기술학회마을
19 권혁수(2006) 너구리 로드킬 원인과 저감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김동실(2006)서울의 시가지 확대와 지형적 배경.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1):1-15.   과학기술학회마을
21 김귀곤, 최준영(1998) 분절된 서식처의 연결을 위한 생태통로에 관한 이론적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2): 293-307.
22 김귀곤, 최준영, 손삼기(2000) 단편화된 서식처의 연결을 위한 야생동물 이동통로의 조성:대상지 선정 및 조성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1): 70-82.   과학기술학회마을
23 김승제(1988) SpaceSyntax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3): 149-155.
24 사공정희, 나정화, 정옥식(2011) 야생동물 출현지점의 토지이용형태를 고려한 "우선보전연결구간" 선정. 한국조경학회지 39(1): 106-116.   과학기술학회마을
25 김태호(2008) 지속가능한 보행환경을 위한 보행자 서비스 질 평가지표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김태호, 박주원, 고영선, 박제진(2009) SpaceSyntax를 이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연결성 변화연구: 청계천복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11(2): 55-66.
27 박지희, 유헌석, 박미영(2009) 생태통로 우선 설치지역의 평가항목 중요도 분석. 환경영향평가 18(5): 301-312.   과학기술학회마을
28 송병화(1996) 안양천 생태통로 기본계획: 안양천 유역을 대상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신수안, 안동만(2008) 고속도로 생태통로 위치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2): 19-22.   과학기술학회마을
30 안종복(2003) Axwoman을 이용한 도로기능분류에 관한 연구. 경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우동걸(2010) 서울 강서습지생태공원에 서식하는 삵과 너구리의 서식지 보전계획.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동근, 송원경(2008) 삵의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위한 분석단위 설정 및 보전지역 선정: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5):64-72.   과학기술학회마을
33 이진영, 노백호, 이장원(2010) AHP기법을 활용한 야생동물 이동통로의 기능 개선을 위한 평가항목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6): 763-771.
34 이병욱, 이승재(2005) SpaceSyntax를 이용한 서울시 버스개편의 접근성 효과분석. 대한교통학회지 23(8):163-170.
35 이용욱, 이명우(2006) 목표종 생태통로의 위치선정 -포유로 Road-kill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3): 51-58.   과학기술학회마을
36 조동길(2005) 야생동물 이동통로에 관한 소고 1. 조경수 84:34-37.   과학기술학회마을
37 최영석(2008) 관광공간계획을 위한 스페이스 신텍스 활용방안. 관광연구논총 20(1): 117-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