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15/KILA.2011.39.3.051

Evaluation of Seasonal Landscape Images and Preference of Streetscapes - Focusing on Street of Prunus Species -  

Shin, Jae-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Jung, Sung-G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im, Kyung-Tae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ee, Woo-S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Urban Planning, Texas A&M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39, no.3, 2011 , pp. 51-6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landscape image that considers the selection of techniques that can enhance landscape reproduction in streetscape evaluation using 3 dimensional simulations and to evaluate ways to verify similarities and the psychological changes on the part of users by season. In the comparison of technique, the Low(apply normal map) technique was selected for the natural representation of trees in a near and middle view and the Plane technique was selected for the distant view. As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all indicators of physical similarity were evaluated over 4.50 points and most indicators of psychological similarity were found to have no difference except for indicators of 'disordered orderly' and 'dirty - clea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andscape simulation by season, images of 'bright', 'beautiful', and 'static', etc., were evaluated high for the spring streetscape. The images of 'open', 'refresh', and 'animate' appeared high in summer and images of 'warm' and 'dark' were found to be high in fall. On the other hand, all images were evaluated as low except for the 'orderly' image. In the preference of streetscape by season, summer and spring were highly preferred at 5.01 and 4.98 with winter as the lowest at 3.48.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preference factor, the spring streetscape was found to be a major influence in preference by 0.540 in 'aesthetics'. In the case of summer, 'order' was found to be high at 0.417 while influences in preference included 'variety' and 'aesthetics' in fall and 'variety', 'aesthetics', and 'order' in winter. A determination of suitable spatial planning us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various city streets will be enabled through the methods of this study.
Keywords
Streetscape; Landscape 3D Simulation; Landscape Evaluation; Preferences of Seasonal Landscap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재원(2004) 가로경관의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56: 135-146.
2 임승빈(2009) 경관분석론.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3 주신하(2003) 도시경관 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선정 및 적용 연구: 과천, 약수 지구단위계획구역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최임주(2003) CGSimulation을 이용한 가로경관의 시지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서면'젊음의 거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10): 101-110.
5 한상욱(2000)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가로경관의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홍상희(2009) 한, 일 가로경관관련 현행법제도 비교에 의한 한국 가로공공물디자인과 가로경관디자인의 과제 도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4):590-599.
7 황세현(2001) 보행자 시점에 따른 가로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Honjo, T. and E. M. Lim(2001) Visualization of landscape by VRML system.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5:175-183.   DOI   ScienceOn
9 Jacobs, J.(1994)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2nd ed.). New York: Vintage Books.
10 Lynch, K.(1992) The Image of the City (21ed.). MIT Press.
11 Sheppard, S. R. J.(1986) Simulating Changesin the Landscape-Foundations for Visual Project Analysis, eds., R. C. Smardon, J. E. Palmer and J. P. Felleman.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p.188.
12 Zacharisa, J.(1999) Preferences for view corridors through the urban environmen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3(2):217-225.   DOI
13 伊藤里樹(2006) 街路空間の景観における地域住民の意識に関する研究 -その2 SD法の有用性に関して-. 日本建築学会九川支部硏究報吿 45: 429-432.
14 김지희(2010) 보행자가 인식하는 어메니티 측면에서의 보행공간 디자인 연구: 가로수의 계절별 색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5 김지희, 이명훈(2008) 지각․ 이지특성을 고려한 가로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3(3):21-36.
16 류승택(2005) GPU프로그래밍 기반 노말 매핑.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7:5-11.
17 김충식, 이인성(1999)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가로경관의 평가기법 연구: 정적 및 동적 시뮬레이션의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26(4):1-13.
18 김한수, 김성호, 김재흥(2000) 생활가로 유형별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환경과학논집 5(1):119-133.
19 노현진, 고일두(2002) 도시경관 시뮬레이션 기법 비교. 서울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영우(2011) 게임 캐릭터 텍스쳐 제작 공정 개선 방안.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배현진, 박영기(1999) 가로변 건축물과 광고, 간판류를 중심으로 한가로경관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5(7):85-96.
22 서주환, 박태희, 허준(2004) 도시가로 경관에 있어 환경조형물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2(1):57-68.
23 오덕성, 한상욱(1999)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가로경관의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지역개발논문집 11:147-169.
24 우상기(2009) 보행자 중심의 도시가로경관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연구 10(2):275-284.
25 이인성, 서정한(2003) 가로경관 분석에서의 반구투영법의 효용성 검토. 한국조경학회지 31(2):58-69.
26 김세희(2007) 보행자의 가로 이미지에 의한 보행가로 경관 특성 분석: 서울시 보행환경기본계획 사업 가로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김동찬, 박경모(2006) 가로식재유형이 보행경관평가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4(5):14-23.
28 김수연(2010) 인사동길에 대한 가로경관의 중요도 및 만족도 평가. 한양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