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15/KILA.2011.39.1.035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Landscape Height Based on View and Topographical Features - Focusing on the Maximum Height Regulation District around Bukhan Mountain National Park -  

Chang, In-Young (Dongho Co., Ltd.)
Shin, Ji-H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ersity)
Cho, Woo-Hyun (Dept. of Green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Shin, Young-Sun (Dept. of Green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Eon-Gyung (Dept. of Green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Kwon, Yoon-Ku (Dept. of Green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Im, Seung-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39, no.1, 2011 , pp. 35-4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landscape of Seoul was dynamically changed and developed with the rapid post-war economic growth. Seoul city designated a height regulation district to preserve and manage the city landscape and protect it from haphazard construction. The designation of a maximum height regulation district has obvious purpose and simple regulations which makes the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easy to apply yet the altitude restriction lacks an objective basis for its enforcement. Many studies have been done and the current uniform height regulation requires more objective and logical guidelines. This study selected the Bukhan Mountain area, a National Park designated to protect the environment, to present a new landscape height guideline to minimize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to harmonize the artificial and natural landscapes of the area. Document research was done to identify the regulation types(absolute height regulation, view line regulation, oblique line restriction regulation) and principles for height regulation district establishment, acknowledge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Bukhan Mountain area's maximum height regulation district. Gangbuk-Gu was chosen as the site and survey was conducted on outstanding view points and view corridors of residents. From document research, an appropriate landscape height guideline was selected and applied to Gangbuk-Gu. According to the guideline, suitable heights for buildings were suggested. These were then applied to three-dimensional simulations and a final guideline was suggested.
Keywords
City Landscape; Landscape Height Guideline; Absolute Height Regulation; View Line Regulation; Oblique Line Restriction Regul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http://encyber.com
2 http://www.frdb.wo.to/
3 http://www.junggu.seoul.kr/namsan/
4 목정훈(2005b) 한국 도시의 조망경관 관리를 위한 미국 도시 조망경관 관리기법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3(1): 58-70.
5 문정희, 박재용(1997) 도시공원 접경지역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남산인접 최고고도지구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10: 173-193.
6 서성희(2004) 구릉지경관지의 고도제한과 일반주거지역 세분화에 의한 경관형성에 관한 연구: 마산시 구릉지를 대상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서울대학교(1999) 서울대학교 캠퍼스 자연경관보전 및 경관형성연구.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7) 서울시 도시경관 관리방안 연구(III).
9 서울특별시(1998) 조망가로조성사업계획.
10 서울특별시(2005) 서울시 경관관리 기본계획.
11 안재락(2000) 조망경관 보호를 위한 건축물 높이제한의 쟁점과 준거기준설정방안: 진주성주변 고도지구를 중심으로. 생산기술연구소논문집 16: 59-70.
12 오인환(1993) 도시경관을 고려한 건축물 고도제한 설정방법(II): 진주 도심부의 건축물 고도제한 방법. 생산기술연구소논문집 9: 17-32.
13 오인환, 주유일(1993) 도시경관을 고려한 건축물 고도제한 설정방법(I): 고도제한을 위한 요인별 계획방법. 생산기술연구소논문집 9: 5-16.
14 이정형(2004) 일본 요코하마시 도시디자인 컨트롤수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3): 149-158.
15 이춘석(1998) 역사경관 보전을 위한 진주시 고도규제의 물리적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진주성을 대상으로 한 이용자 경관인식을 중심으로. 진주산업대논문집 37: 61-69.
16 이춘석, 강호철, 류남형(1999) 가시층 분석 기법을 이용한 경관고도규제계획에 관한 연구: 진주시 역사경관 보존을 중심으로.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6: 385-392.
17 임승빈(1998) 조경이 만드는 도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8 임승빈(2008) 도시경관계획론: 경관 계획.형성 기준 연구. 서울: 집문당.
19 임승빈, 변재상(2002)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스카이라인 형성기법에 관한 연구: 미국 주요 도시의 스카이라인 형성요인과 기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6(1): 19-24.
20 전주시(1995) 공원보호를 위한 주변 주거지역 용도세분 및 고도지구지정(안) 에 관한 연구.
21 정성국(2008) 도시관리수단으로서의 고도지구에 관한 연구: 서울시 최고고도지구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http://www.development.seoul.go.kr/new_2006/index_main.html
23 김도년, 정재용, 정상혁(2003) 삼차원적 도시관리 수법으로서의 건축물 높이기준 설정방향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3): 169-176.
24 구자훈(2001) 도시조망권과 경관관리: 외국도시의 조망권 확보 사례. 도시문제 36(395): 34-48.
25 군산시(1993) 월명공원 보전을 위한 공원주변의 용도지구 설정 및 도시설계.
26 금기반, 여홍구(2005)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규제수준의 합리적인 조정방안 도출을 위한 사례연구: 대전광역시 최고고도지구 규제내용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0(3): 141-157.
27 김홍진(1998) 고도조정을 통한 도시 경관관리 방안: 진주시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목정훈(2005a) 서울의 도시경관에 대한 시민인식과 정책적 시사점. 서울시정개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