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ypes and Historical Transition of Korean Traditional Seokgasan  

Yoon, Young-J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Yoon, Young-Hwa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38, no.3, 2010 , pp. 83-9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Seokgasan which is artificial rock mountain had been developed into one of the axes of traditional rock landscape of Goryo period and Joseon period as the central component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ing, but the legacy was cut off at the present. In the middle of the Goryo period, the Seokgasan made by piling rocks which were started from replicating miniature landscape has been developed into presenting the symbol and Seokgasan so it faced the new transition period of traditional rock garden culture. Seokgasan so it as small knoll, the Korean traditional Seokgasan was made differently the the surrounding landscape with big Seokgasan in China which overwhelms so it harmonize the surrounding landscape to build Korean style of the Seokgasan. This study is the objective investigation based on the old literature and the field remains, so it aims to so it comprehend the type of Seokgasan and developmental forms. At the result of investigation, 5 types of Seokgasan such as rocks piling on a pond, piling rocks, rocks in a pond, rocks on a ground, rock in a pot etc. has been developing in addition to the rocks which the oddly shaped rock is piled up as the basic framework. Among those, the piling rocks on a pond of Seokgasan which means water flows in Seokgasan is the representative Seokgasan which has been continued since the middle of the Goryo period until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foundation which will succeed to legacy of Seokgasan tradition which was cut off and to develop by recovering historical landscaping value and identity of Seokgasan.
Keywords
Artificial Mountain; Piling Rock(疊石); Pond; Po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보경문화사(1983) 임원경제지(영인본). 서유구 저.
2 삼봉정도전선생기념사업회(2009) 삼봉집(영인본). 정도전 저.
3 세종대왕기념사업회(1976) 국조보감(영인본). 신숙주 등 저.
4 심우경, 이창호, 심현남 역(2008) 중국의 전통조정문화. 장지아지 저. 서울: 문운당.
5 아세아문화사(1976) 용재집(영인본) 이행 저.
6 정동오(1986) 한국의 정원문화, 서울: 민음당.
7 완도군(1981) 보길도 윤고산 유적 답사보고서. p.46.
8 유병림, 황기원, 박종화(1989) 조선조 정원의 원형,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부설 환경계획연구실: 38-39.
9 유영봉 역주(2004) 안평대군에게 바친 시(원제 비해당사십팔영). 서울: 도서출판 다운샘.
10 윤국병(1982) 문수원 정원의 시대적 배경. 한국정원학회 1(1): 77-83.
11 윤국병(1983) 지형의 변화를 얻기 위한 석가산. 계간 조경 제2호: 96-98.
12 윤영활(2009) 고려시대 석가산의 사원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0-18.
13 이병훈 역(2005) 양화소록. 강희안 저. 서울: 을유문화사.
14 이은창(1983) 조선시대 별서정원: 우규동의 소한정을 중심으로. 효성 여자대학교 논문집 제27집: 217-260.
15 이종묵(2005) 한국 한문학 연구의 새 지평-집안으로 끌어들인 산수. 서울: 소명출판사.
16 저초생, 진장덕 편저(1988) 원림조경도설. 상해: 상해과학기술출판사.
17 정동오(1990) 동양조경문화사. 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
18 정재훈(1990) 보길도지(영인본). 윤선도 저. 보길도 부용동 원림. 서울: 영화당.
19 정재훈(2000) 소쇄원. 서울: 대원사.
20 정재훈(2005) 한국전통조경. 서울: 도서출판 조경.
21 조동원, 김대식, 이경록, 이상국, 홍기표 역(2005) 고려도경. 서긍 저. 서울: 항소자리출사.
22 한국고전영인대보(1982) 동국이상국전집(영인본). 이규보 저. 서울: 명문당.
23 한국국학진흥원(간사미상) 응와집(영인본). 이원조 저. http://www.koreastudy.or.kr.
24 한태동(1763) 시와유고(영인본). 조선총독부고서분류표. 국립중앙도서관 고조46.
25 민족문화추진회(1989a) 뇌계집(영인본). 유호인 저. 한국문집총간.
26 민족문화추진회(1989b) 보한재집(영인본). 신숙주 저. 한국문집총간.
27 민족문화추진회(1989c) 성근보집(영인본). 성상문 저. 한국문집총간.
28 민족문화추진회(1989d) 사가집(영인본). 서거정 저. 한국문집총간
29 민족문화추진회(1989e) 식우집(영인본). 김수온 저. 한국문집총간.
30 민족문화추진회(1989f) 이요정집(영인본). 신용개 저. 한국문집총간.
31 민족문화추진회(1989g) 점필재집(영인본). 깅종직 저. 한국문집총간.
32 민족문화추진회(1989h) 정필재집(영인본). 김종직 저. 한국문집총간.
33 민족문화추진회(1989i) 추강집(영인본). 남효온 저. 한국문집총간.
34 민족문화추진회(1989j) 희락당고(영인본). 김안로 저. 한국문집총간.
35 민족문화추진회(1989k) 허백당집(영인본). 성현 저. 한국문집총간.
36 민족문화추진회(1990) 첨모당문집(영인본). 임운 저. 한국문집총간.
37 민족문화추진회(1991a) 노애집(영인본). 유도원 저. 한국문집총간.
38 민족문화추진회(1991b) 동강집(영인본). 김우옹 저. 한국문집총간.
39 민족문화추진회(1991c) 심전고(영인본). 박사호 저. 한국문집총간.
40 민족문화추진회(1991d) 태천집(영인본). 민인백 저. 한국문집총간.
41 민족문화추진회(1996) 해동역사(영인본). 한치윤 저. 한국문집총간.
42 민족문화추진회(1999a) 입재집(영인본). 정종로 저. 한국문집총간.
43 민족문화추진회(1997) 나재집(영인본). 채수 저. 한국문집총간.
44 민족문회추진회(1998a) 남당집(영인본). 한원진 저. 한국문집총간.
45 민족문화추진회(1998b) 저촌유고(영인본). 심육 저. 한국문집총간.
46 민족문화추진회(1999b) 해좌집(영인본). 정범조 저. 한국문집총간.
47 민족문화추진회(2000) 근재집(영인본). 안축 저. 한국문집총간.
48 민족문화추진회(2002) 풍고집(영인본). 김조순 저. 한국문집총간.
49 민족문화추진회(2005) 이이엄집(영인본). 장혼 저. 한국문집총간.
50 박경자(2008) 조선시대 석가산 연구. 서울: 학연문화사.
51 국사편찬위원회(국역) 조선왕조실록. 관찬.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
52 국립중앙도서관(1958) 일용재집(영인본). 김시침 저. 고3648-10-373.
53 국립중앙도서관(1961) 비목헌집(영인본). 나중경 저. 조선총독부고서 분류표 고조46.
54 국립중앙도서관(1996) 동문선(영인본). 서거정 등 저. 고1-1999-310.
55 국립중앙도서관(1998) 호주집(영인본). 채유후 저.M고1-1998-302
56 국립국립중앙도서관(간사년미상) 기언별집(영인본). 허목 저. 고3648-91-9.
57 대양서적(1973) 목은집시고(영인본). 이색 저. 서울: 대양서적.
58 김성우, 안대희 역(1993) 원야. 계성 저. 서울: 도서출판 예경.
59 김영빈 역(1987) 중국정원론. 강대로 저. 대구: 중문출판사.
60 대동문화연구원(1960) 연행기(영인본). 서호수 저.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61 동국대학교출판부(1989) 풍계집(영인본). 명찰 저.
62 리화선(1989) 조선건축사.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63 문헌편찬위원회(1960) 정다산전서(영인본) 정약용 저.
64 민족문화추친회(1976a) 동문선(국역). 김연 저. 청연각기. 한국문집총간.
65 민족문화추친회(1976b) 동문선(국역). 박인량 저. 한국문집총간.
66 민족문화추친회(1977) 동사강목(영인본). 안정복 저. 한국문집총간.
67 민족문화추친회(1983) 다산시문집(영인본). 정약용 저. 한국문집총간.
68 민족문화추친회(1985) 고려사절요(영인본). 김종서 등 저. 한국문집총간.
69 아세아문화사(1981) 증보산림경제(영인본). 유중림 저. 농서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