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District in Freiburg, Germany - Focusing on Identity as a Historical City as related to the Waterscape and Paving Environments -  

Hong, Youn-S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38, no.2, 2010 , pp. 64-7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Freiburg, as the German Capital of the Environment, is well known to Koreans, and relationships with Korean cities are deeply extended. This study attempts to grasp the feature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Freiburg's old town center pedestrian district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historical value of environmental elements and the way they are transmitted along with the components of city identity. Through the literature studies confirms that. The main canal in Freiburg, called Gewerbeknale, is valued both for its existence during the city construction period and for being an infrastructure to supply water to the Bachle(small urban canal) and Brunnen(fountain). In spite of a recipient environment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e traditional mosaic pavement has a new value as an mediator between citizens and the environment through the adaptations that have occurred in the city. This study has verified the dialectical repetition of crisis and conquest through the historical succession of environmental elements. The historical continuance of environmental elements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acquisition of sameness and Individuality in city identity factors. The result of this study recommends the historical value of environmental elements that have survived in the urban environment, and verifies the necessity of a concrete strategy for preservation and related practical efforts.
Keywords
Historical City; Historical Value; City Identity; Sameness; Individua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Sigfried Giedion(1973) Space. Time and Architecture. Harvard University Press.
2 Marianne, Willim. and Rudiger Buhl(2005) Pflastermosaiken in Freiburg. Freiburg: Promo Verlag GmbH.
3 http://www.citv.kyoto.jp
4 임양빈(2008) 생태주거단지의 지속가능성 및 상호 관련성 연구.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8): 313-321.
5 중앙선데이(2008년 12월 28일자) 21세기 대안의 삶을 찾아서 7-독일 프라이부르크의 보봉마을.
6 중앙선데이(2009년 1월 18일자) 독일 '환경수도' 프라이부르크의 실험-인구 21만 도시. 녹색 일자리 9,400개 만들었다.
7 차미숙(2003) 독일의 환경수도. 프라이부르크. 국토 (257): 74-80.
8 최기수(1991) 역사경관의 구조와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19(2): 99-103.
9 최동혁, 김진균, 이금진(2005) 역사환경으로서의 도시조직의 가치: 서울 남촌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1(1): 181-188.
10 최정은, 서동구, 오덕성(2008) 지속가능한 개발관점에서 본 독일 및 네델란드 생태주거단지의 계획요소 및 국내 적용가능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4(12): 27-38.
11 한국일보(2009년 6월 13일차) 독일 차 없는 마을 살맛나요.
12 홍윤순(2009a) 독일의 환경.문화도시 프라이부르크 이야기(1): 키워드를 통해 본 프라이부르크의 중층성. 조경생태시공 (6): 154-165.
13 홍윤순(2010b) 녹색문화도시 프라이부르크 읽기: 환경, 문화, 장소라는 키워드로 본 독일의 환경수도. 서울: 나무도시.
14 홍윤순(2009b) 독일의 환경.문화도시 프라이부르크 이야기(2): 도시를 움직이는 소프트웨어와 결과론적 경관. 조경생태시공 (9): 168-179.
15 홍윤순(2009c) 독일의 환경.문화도시 프라이부르크 이야기(3): 도시의 오픈스페이스와 장소들. 조경생태시공 (12): 156-165.
16 홍윤순(2010a) 독일의 환경.문화도시 프라이부르크 이야기(4): 근교의 공원녹지와 흑림 속 마을. 조경생태시공 (3): 158-167.
17 황기원(2009) 도시락 맛보기. 서울: 다빈치.
18 Freiburg im Breisgau(2007) Freiburg Official Guide(31th ed.). Freiburg: Promo Verlag GmbH.
19 FWTM(2008) Bachle, Brunnen und Kanale: Wasserstadtplan der Freiburger Innenstadt. Freiburg: Promo Verlag GmbH.
20 Scheck, Joachim and Magdalena Zeller(2008) Das Freiburger Bachle-buch-Spaziergange zur Geschichte der Freiburger Bachle und Runzen. Freiburg: Promo Verlag GmbH.
21 Calchthaler, Peter(2008) City Guide Freiburg im Breisgau(English Eition), Foto-Edition Raach. Augsburg: Himmer AG.
22 Renate Heyberger and Hans-Albert Stechl(2004) Let's see Freiburg-The Guide to the Heart of the City. Foto-Edition Raach. Kappel-Grafenhausen: Himmer AG.
23 김민경(2007) 현대건축의 장소적 진정성 구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3(8): 159-168.
24 강동진(1999) 근대역사환경 보전의 패러다임 모색.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34(1): 127-143.
25 계기석, 강신겸, 김규원, 김보성, 문원식, 진영효(2001) 도시정체성과 도시발전. 도시정보 229: 3-15
26 곽숙희(2000) 독일 프라이부르크와 서비스 정신. 너울vol.88. 한국문화관광연구원(http://www.kcti.re.kr/web_main.dmw?method=view&contentSeq=1796)
27 김수병(2006) 햇볕이 든 자리, 희망이 싹트다. 한계레 21(638): 56-59.
28 김해창(2003) 환경수도. 프라이부르크에서 배운다. 서울: 이후.
29 민창기, 권영덕, 최선주(1996) 도시의 역사성 보존. 도시정보 pp. 3-12.
30 박훈, 정재용(2009a) 역사도시의 도시조직 특성과 가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5): 249-260.
31 박훈, 정재용(2009b) 도시공간정치학적 측면에서 역사도시의 가치설정 방법론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8): 301-312.
32 반영운, 이재준, 김정곤, 오용선, 설영선, 최정석(2008)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토 및 도시개발전략. 도시문제 (9): 2-25.
33 세계일보(2009년 5월 17일자) 해외판 자동차 없는 도시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