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xploring the Theoretical Trends of an Integrated Environmental Design  

Ahn, Myung-June (Dept. of Interdisciplinery Program of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Pae, Jeong-Han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37, no.2, 2009 , pp. 14-2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We live in an age which is exponentially growing as the knowledge paradigm is changing. New sites are subject to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function as "fields" in which this hybrid aspect is both actively practiced and becoming a catalyst for change in the area of landscape architecture. With this as its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s to deal with how the aspect of integration in environmental design is manifested. For this purpose, the tendencies for the discussion of integration in various fields of practice were examined: planning theories, urban theories, architecture, public environment, engineer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As yet, the discussions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which occur in practice in these respective fields, mainly tend to be oriented toward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merits of other related fields. Seen from these examples of practice, integrated design approaches can be foun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design objects, respective professional areas, and methodologies of approaches and design. In terms of design objects, the positions of individual design subjects present themselves as most obvious, and integration or combination of the physical targets that come to exist through design can be easily seen. Most examples of integration turn out to be this, in almost every case of which the theme and the target of expression are integrated via a small number of certain methods. In terms of professional areas, what can be mainly evidenced is how the individual subject acts when the subject designs. The strong points of professionals from each field seem to create synergy, achieving through integration optimum results. In terms of methodologies of approaches and design, there are attempts to create integrated approaches as ways of effective decision-making, in which case the integration of all of the interest parties is of primary concern. As yet, few instances have been found in which integrated design has had enough strength to be seen as a concrete design methodology based on practical examples. However, it is encouraging that theoretical approaches and the necessity for integrated design have been identified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that a practical movement such as landscape urbanism has come into active being. The authors of this study find this point in time to be ripe for discussions on integrated practices in terms of environmental design, on the basis of the synthetic approaches mentioned above.
Keywords
Integrated Design; Design Theory; Interdisciplinary; Consilience; Design Practi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호철(2003) 한국조경학회지 게재논문 조경식물 분야의 연구경향. 한국조경학회지 31(5): 130-138
2 건축도시공간연구소(2008) 지속가능한 공간환경디자인 토론회 자료집. 2008년 6월 23일
3 김영대(2004) 한국조경학회지 게재논문 조경설계 분야의 연구경향. 한국조경학회지 31(6): 107-119
4 김용석(2002) 깊이와 넓이 4막 16장. 서울: 휴머니스트
5 박인석(2008) 공간환경 만들기에서의 민간전문가의 역할 및 활용 방안. 지속가능한 공간환경디자인 토론회 자료집. 건축도시공간연구소
6 배정한(2007) 조경의 시대 조경을 넘어. 파주: 도서출판 조경
7 안명준(2006) 현대 경관의 매체적 특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유영수(2004) 인프라스트럭처를 통한 도시 건축의 통합 양상과 그 공공 영역적 의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이경환. 안건혁(2007) 협력적 계획을 통한 도시계획 합의 과정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2(2): 7-15
10 조세환(2003) 한국조경학회지 조경소재.시공 분야의 연구경향. 한국조경학회지 31(5): 139-145   과학기술학회마을
11 황영삼(1995) 설계통합화를 위한 통합건물모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7): 3-12
12 Capra, F., D. Steindl-Rast and T. Matus(1992) Belonging to the Universe: Explorations on the Frontiers of Science and Spirituality. 김재희(역), 신과학과 영성의 시대. 서울: 범양사 출판부. 1997
13 Weller, R.(2006) An Art of Instrumentality: Thinking through Landscape Urbanism. in The Landscape Urbanism Reader. Charles Waldheim ed. 김영민(역),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파주: 도서출판 조경. 2007
14 김한배(2004) 조경학회지 게재논문 경관분야의 연구경향. 한국조경학회지 31(6): 120-128   과학기술학회마을
15 조성오(1999) 건축계획에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공동설계의 운영과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18: 9-15
16 Brown, J.(2007) Landscapes as Complex Adaptive Systems. Harvard Design Magazine, fall 2007/winter 2008. 77-79
17 권영걸(2008) 공공디자인 산책 - 55 Topics in public design. 서울: 사미헌
18 김재익, 김정환, 김철수, 윤병구, 김한수(2002) 도시계획 패러다임 변화 -네트워크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11(1): 5-26
19 배정한(2004) 현대 조경설계의 이론과 쟁점. 성남: 도서출판 조경
20 전상인(2007) 계획이론의 탈근대적 전환에 대한 비판적 성찰. 국토계획 42(6): 7-24
21 박종광, 백기영, 윤두원, 김상문, 홍성덕, 김창석(2007) 행정중심복합도시 총괄관리체계 운영진단.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 63-72
22 건축기본법(법률 제8783호 신규제정 2007. 12. 21. 법률 제8852호
23 이명우(2004) 지속 가능한 개발 및 생태조경분야의 연구경향과 과제. 한국조경학회지 32(1): 139-156   과학기술학회마을
24 이희정, 황재훈, 박성근(2008) 디자인과 도시 경쟁력: 도시디자인과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도시정보 312: 3-15
25 한선아(2005) 가로시설물의 디자인 통합에 의한 가로경관 개선에 관한 연구 -송파구 올림픽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 22-28
26 이영경(2004) 한국조경학회지 게재논문 환경심리분야의 연구경향. 한국조경학회지 32(1): 157-169
27 윤희정(2006) 녹색관광마을의 이미지 차별화를 위한 CI 통합계획. 한국조경학회지 34(2): 72-89
28 Rush, R. D. and AIA(1991) The Building Systems Integration Handbook. 이상진, 조종수, 홍광근(역), 건축디자인 통합론. 대가. 2007
29 Ellin, N.(2006) Integral Urbanism. New York: Routledge
30 이규석(2004) 한국조경학회지 게재논문 경관생태학과 GIS 분야의 연구경향. 한국조경학회지 31(6): 129-135   과학기술학회마을
31 신상섭(2003) 한국조경학회지 게재논문 조경사 분야의 연구경향. 한국조경학회지 31(5): 146-154
32 임용순, 정례화, 김억(1996) 통합설계를 위한 아파트 건축정보구축과 표현에 관한 연구 -벽체의 접합부 표현과 시방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16(1): 9-12
33 Wilson, Edward O.(1996)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최재천, 장대익(역), 통섭: 지식의 대통합. 서울: 사이언스북스. 2005
34 배정한(2006) 건축의 조경화. 봄, 조경 사회 디자인. 조경비평 봄 편. 파주: 도서출판 조경
35 조성학(2008) 택지와 주거단지 통합설계 계획체계 정립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전재열, 오승준(2003) 건축설계 단계별 협력설계 의사결정 지원 프로세스 구축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11): 713-180
37 박윤진(2006) 조경 탈영역의 세가지 기재: 미학, 협업, 자연관. 한국조경학회지 34(1): 48-58
38 신예경(2005) 구조-외피의 통합으로 나타나는 공간구축의 효과에 관한 연구 - 20세기 말 이후의 현대 건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Maas, W.(2003), Architecture is a Device. in Reading MVRDV. V'eronique Patteeuw ed. 최학종(역), MVRDV 건축읽기. 서울: Spacetime. 2004
40 김대수(2003) 도시경관의 통합적 개선을 위한 색채관리 제도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1(4): 25-38
41 Frampton, K.(1995) Toward an Urban Landscape. Columbia Documents of Architecture and Theory 1(4).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8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