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Research on Cultural Scenic Landscape in Jingyeong Sansuhwa - Centering around Gyeomjae Jeongseon's Works -  

Yoo, Ka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 Jong-S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37, no.1, 2009 , pp. 87-9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n introductory study that hopes to interpret the cultural scenic landscape by analyzing Korea's mountains, streams, topography, color, light, human behavior, and more based on real landscape paintings. It places its purpose on understanding our intrinsic cultural scenic landscape by investigating the changed topography and the differing life patterns caused bythe active national land development after the modern era. With Seoul, which is now difficult to find images of its past, and the surrounding areas of the Han riverbed, the interpretation related to its original topography, landscape, climate, weather, and human behaviors was observed while the main focus was placed on the climate of the perception held by people regarding Mt. Geumgang and other ranges which are not fully opened to the public yet. In order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figures of features and appearing landscapes including color, light, and more, it was described through the concept called climate. Hereupon, the real landscape paintings by Gyunjae(Jeong-Seon), mainly bearing features of existing Korean mountains, wereutilized as visual historical material. However, not having all his works, other pieces with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were utilized such as "Gyeong-Gyo-Myeong-Seung-Chup(a painting with picturesque sceneries around old Seoul)" and "Hae-Ak-Jeon-Shin-Chup(a landscape painting including even the spirits of the seas and mountains)" which contain the regions' distinct scenery. As a result, the old cultural scenic landscapes of Korea are regarded as containing diverse mountains and where the conceptions of the treatment of mountains were reflected.
Keywords
Natural Phenomena; Landscape; Original Land-Form; Interpret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권용우 역(2001). A History of Geographical Thoughts, 서울: 도서출판 한울
2 김재호 역(2008) 풍경학입문. 나카무라 요시오. 서울: 도서출판 문중
3 김주경 역(2002) 대지에서 인간으로 산다는 것. 오귀스탱 베르크, 서울: 미다스북스
4 노재현, 신상섭, 조찬문(2007) 八景구조분석을 통해 본 전통문화경관 조망권역에 대한 실증적 연구 -임실군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11-23
5 박건주 역(1993) 풍토와 인간. 와쓰지 데쓰로우. 서울: 장승
6 소현수(2008)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해석 도구 추출 -생명사상과 전통사상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9-17
7 송희경(2008) 조선후기 아회도. 서울: 다할미디어
8 오세창 편저(1998) 근역서화징. 서울: 시공사
9 이관희(2003) 역사문화경관의 반복체험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1): 48-52
10 이재헌, 김기덕(1996) 동양화를 통해서 본 정자건축의 입지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 16(1): 125-127
11 최기수(1989) 현대 경관의미에서 조명해 본 한국의 전통경관 -곡과 경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7(2): 55-68
12 최완수(1993) 겸재 정선 진경산수화. 파주: 범우사
13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2008) 지명의 지리학. 서울: 푸른
14 황기원(1984) 文化景觀論에 의한 都市景觀의 解釋理論및 技法. 환경논총 15. 서울대학교환경 대학원
15 허영환(1978) 겸재 정선. 서울: 열화당
16 강명수(2001) 진경산수화 분석을 통한 산지 구릉 경관유형의 분류 및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29(4): 12-23
17 김영기 감수(1980) 개자원화전. 서울: 능성출판사
18 고연희(2007) 조선시대 산수화.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파주: 돌베개
19 정갑주(1992)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관한 연구: 준법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전영옥(2004) 조선시대 怪石의 특성과 산수화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전통조경학회지 22(2): 1-12
21 혼다 세이로쿠(本多靜六)(1922) 일본의 지력 쇠퇴와 적송. 동양학예잡
22 류상번(1990) 鄭敾(謙齋)의 繪畵에 나타난 준의 연구: 鄭敾의 眞景山水畵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신복룡 역(1999) 은자의 나라 한국, W. E. 그리피스. 파주: 집문당
24 강영조 역(2007) 풍경의 쾌락. 나카무라 요시오. 파주: 효형출판
25 정장호(1982) 동아세계대백과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26 김상호(1997) 한반도는 어떤 땅인가. '한국의 자연과 인간'. 서울: 우리교육
27 김정식, 김재식, 김정문(2008) 칠광도(七狂圖)에 표현된 경관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30-37
28 김경인(1998) 풍토조건이 색채감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감성과학회 추계학술대회. 2(1): 183-188
29 곽행구(2006) 나주시 읍성공간 역사문화경관의 정비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4): 62-70
30 권혁재(2004) 남기고 싶은 우리 지리. 서울: 산악문화
31 김기임(1996) 예술분야에 나타난 조선시대 정원의 구성요소와 구성원리: 시조와 산수화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16(2): 181-185
32 이상필, 이재헌(2005) 도상 자료에 나타난 한국 전통원지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고분벽화 및 옛 그림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2): 73-89
33 최완수(2004) 겸재의 한양진경. 서울: 동아일보사
34 김규원, 김수진, 안병철, 심우경(2008) 보성 강골마을의 공간적 특성과 생태 . 문화경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54-65
35 황기원(1989) 景觀의 多檥性에 관한 考察. 한국조경학회지 17(1)
36 이동주(1981) 겸제일파의 진경산수화. '우리나라의 옛그림'. 서울: 박영사
37 중화민국 63년(1975). 山水技法. 台北市. 藝術圖書公司
38 이민부(2008) '풍토(風土)에 대하여'. 대한지리학회 지리포럼
39 전은혜(2003) 겸재 정선의 준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강영조 (2008) 풍경에 다가서기. 파주: 효형출판
41 윤미영(2006) 산수화의 준법연구: 겸재 회화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황기원(2005) 경관의 해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강의자료
43 최완수(1999) 겸재를 따라가는 금강산 여행. 서울: 대원사
44 권동희(2006) 한국의 지형, 파주: 한울아카데미
45 노재현, 신상섭, 박율진(2008) '茶山圖'에 표현된 茶山草堂한의 原型景觀探索.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31-41
46 유가현(2007) (사)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 pp. 125-132
47 와쓰지데쓰로우(1935) 風土: 人間學的考察. 東京: s.n
48 이창석, 유영한(2001) 한국의 문화경관, 그 실체, 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한 가치 평가. 한국생태학회지 24(5): 323-332   과학기술학회마을
49 이행렬(2006) 한산팔영(韓山八詠)에 나타난 문화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3): 23-38
50 변영섭(1993) 鄭敾의 소나무 그림. 태동고전연구. 제10집
51 이태호(199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선. 서울: 학고재
52 정민(2002) 16 . 17세기 조선 문인지식인층의 江南熱과 西湖圖. 고전문학연구 22권. 기획논문. 한국고전문학회 pp. 281-306
53 최정호(1993) 산과 한국인의 삶. 서울: 나남출판
54 김동성(1997) 겸재 정선의 준법연구: 진경산수를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최경락(1992) 산수화의 준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 신복룡 역(2000) 조선과 그 이웃나라들, I. B. 비숍, 파주: 집문당
57 강영조와 배미경(2002)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조망행동. 한국조경학회지 30(5): 1-15
58 김인환(2003) '예술성의 氣'의 관점에서 본 동양예술이론. 서울: (주) 안그라픽스
59 변우일(2001) A Study on Environmental Design Thinking by Analyzing Pre-modern Oriental Landscape. 도쿄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