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Criteria and Trends in Selecting Viewpoint  

Bang, Jae-Sung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Song, Byeong-Hwa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Yang, Byoung-E (The Graduates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36, no.1, 2008 , pp. 70-7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fundamental data for setting a valid viewpoint as the base of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practices. To do this, we analyzed the preceding dissertations and landscape plan reports which presented the selection criteria of viewpoint. 37 research samples containing the criteria of viewpoint were investigated. The selection criteria and trends of viewpoint were analyzed as follows : Firstly, by analyzing the preceding researches we were able to grasp the criteria that had been used to set viewpoint. Secondly,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criteria of selecting the viewpoint according to the research type, research time and view object. Finally, we analyzed the trends of viewpoint selection criteria and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criteria of viewpoint based on an overview of the research conten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riteria of viewpoint are intimately linked to the view object, the purpose and role of viewpoint which is related to the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practices. According to this study, we can find that the selection criteria and trends of viewpoint have been used in the research related to the view plane following the 1990's. Hereafter, additional research and the comparisons with researches abroad is necessary to set the objective selection criteria of viewpoint.
Keywords
View Object; Landscape Control Point; Landscape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경기개발연구원(1998) 도시경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 부천시(1995) 시범가로경관형성연구 및 기본계획
3 서울특별시(2003b) 서울의 주요 산 주변 조망경관 보전계획
4 인천광역시(2005) 인천시 수변경관 관리방안
5 임승빈, 오규식, 윤인규, 박창석(1993). 도시 스카이라인 보존관리 기법에 관한 연구(1). 한국조경학회지 21(3): 77-88
6 서울특별시(2003a) 서울의 주요 하천변 경관개선 방안 연구
7 이규봉, 김성곤(1999) 경사지 고층아파트 단지의 경관특성에 관한 시지각적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5(5): 97-108
8 제주시(1995) 신제주 생활권 경관고도규제계획
9 최윤, 조동섭(1994) 도시주변 능선녹지를 배경으로 하는 아파트 경관의 시각적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2(2): 81-103
10 황국웅, 이규완(1998) 생태 및 시각특성을 기초로 한 무등산도립공원의 경관평가. 환경생태학회지 12(1): 14-21
11 과천시(2003) 과천시 경관관리 기본계획
12 김세천, 노재현, 박재철, 허준(1996) 마이산도립공원의 조망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2): 74-85
13 서울특별시(1998) 조망가로조성 사업계획
14 박경자, 이관규, 양병이(2001) 안압지 호안 건물지의 조망경관구조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9(2): 14-21
15 대구광역시(2002) 대구광역시 도시경관 기본계획
16 서울특별시(2000) 서울의 주요 산 경관풍치 보전계획
17 임승빈, 박창석, 김성준(1994), 도시 스카이라인 보존관리기법에 관한 연구(2) 한국조경학회지 22(3): 105-120
18 경기지방공사(2002) 용인 구갈3지구 경관형성계획
19 채병선, 서종주(1998) 중소도시의 도시공간특성에 다른 경관관리방안에 관한연구(2). 국토계획 33(3): 265-277
20 황재훈, 류경무, 이장원(2004) 청주시 우암산 중심의 조망경관 특성 분석. 국토계획 39(2): 223-233
21 서울특별시(1991) 남산경관관리를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연구
22 한국조경학회(2004) 도시경관계획 및 관리. 서울 : 문운당
23 화성시(2005) 화성시 경관관리 기본계획
24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4) 한강연접지역 경관관리방안 연구
25 부산광역시(1998) 부산광역시 도시경관 보전계획(주요산지부 주변지역의 고도지구 지정계획 연구)
26 용인시(2001) 용인시 경관형성 기본계획
27 군산시(1993) 월명공원 보전을 위한 공원주변의 용도지구 설정 및 도시설계
28 조시현, 진양교(1997)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남대문 및 주변 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3): 12-24
29 제주시(2004) 제주시 도시경관 기본계획
30 남제주군(1996) 송악산 관광지구 경관고도 규제계획
31 김한수,김기호(2004) 도로에서 본 산 조망경관의 관리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4(11): 62-69
32 서울특별시(2001) 서울의 주요산 경관풍치 보전을 위한 우면산 경관시뮬레이션
33 김포시(1999) 김포시 도시경관 기본계획
34 이일, 임승빈(2005) 장소적 특성을 고려한 도심부 문화재 주변의 역사경관 관리 계획안.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5 (11): 62-72
35 임승빈(1990) 고층건물의 경관영향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2): 153-161
36 김동식, 김태영(1997) 주요조망지점에서 바라본 청주 우암산 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17(2): 601-605
37 서귀포시(1996) 서귀포시 경관고도규제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