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alysis on the Image and Visual Preference of Bridge Landscapes - A Focus on Background Landscape and Bridge Type -  

Jung, Sung-G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ae, So-J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im, Kyung-T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ee, Woo-S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ark, Kyung-Hun (Dept. of Environment Engineer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You, Ju-Han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35, no.5, 2007 , pp. 82-9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Currently, bridges are regarding as the structure with formative, scenic and environmental values more than their function as simple passageways. Because an attempt to work on the diversity of the bridge types and installation of the large structures on bridge are part of the project of the regional amenity enterprises, a study that harmonizes bridges with landscape is needed at this point in time. This background can influence the direction of bridge landscapes that considers local features by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s on a bridge simulated sce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nalyzing the change of the simulated landscape image, forest landscape are damaged by the input of a bridge which was natural, harmonic and intimate. On the other hand, when a bridge was inserted into the ocean landscape, it was thought to improve the ocean landscape, especially, upper part form of arch bridge various or suspension bridge were improved in polished and various image. The insertion of a bridge into an urban landscape change from a negative image to a beautiful, harmonic and attractive image. The intimate, harmonic and natural image of a rural landscape was damaged by inserting a bridge. As analysis result about change of landscape preference by input of bridge, there is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as input the bridge, and bridge influences as main object in the simulated scene. Visual preference was the highest in the ocean landscape, and the lowest in the suspension bridge in the rural landscape. The complicated shape of bridge follows on the background type difference certainly appear. Thee simulated scene preference except the urban landscape of the simulated scene fell generally Especially, fall of preference of girder bridge in the forest and ocean landscape, suspension bridge in the rural landscape appeared notedly.
Keywords
Simulation; Prospection; Landscape Plan; Adjectiv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대현(1994) 도시가로 보행자 공간의 만족요인분석에 관한 연구-대전시 도시가로 보행자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2(3): 29-40
2 김동찬, 박경모(2006) 가로식재유형이 보행경관 평가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4(5): 14-23   과학기술학회마을
3 목정훈(2005) 한국 도시의 조망경관 관리를 위한 미국 도시 조망경관 관리기법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3(1): 58-70   과학기술학회마을
4 서주환, 최현상, 김상범, 이철민(1999) 형태지수를 이용한 도로경관의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4): 87-93
5 이상엽(2001) 도시 교량경관의 계량적 평가에 관한 연구 5개의 한강 교량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인성, 김충식(2004)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한 도시 개발형태 및 경관의 변화예측. 한국조경학회지 32(3): 106-113
7 장문현(2005) Web GIS 기반의 3차원 도시경관 시뮬레이션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GIS학회지 13(1): 103-117
8 주신하(1998) 경관시뮬레이션 기법에 관한 연구 -현장음과 동화상의 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26(3): 312-320
9 최상수(1990) 미관을 고려하는 교량설계에 관한 연구고찰. 중앙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0 서주환, 최현상, 이준근(2002) 농촌경관 도입요소의 조작을 통한 경관 평가-농촌 문화마을을 대상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4): 1-7
11 임승빈(1987) 시각적 질의 계량적 측정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5(2): 91-100
12 김욱남(1985) 시지각특성을 고려한 성산대교의 경관도 측량기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대현(1991) 경관시뮬레이션 기법의 신뢰도와 타당성에 관한 연구 수정 사진기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송대호(2002) 가로변 고층아파트의 배치형태별 경관선호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3): 111-120
15 양승현(2001) 현수교의 경관설계 방법과 시점장. 한국조경학회지 29(2): 50-60
16 정성관, 이정(1994) 담장의 시각적 선호성 및 이미지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2(3): 65-78
17 변재상, 정수정, 임승빈(1999) 도시가로경관요소가 시각적 선호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2): 9-18
18 양승현, 塩見 弘幸(1998) 교량의 경관설계 방법과 구조형상의 시각적 안전성 평가. 한국구조물진단학회지 2(3): 235-244
19 배현미, 조동범, 김종하(1999) 경관계획의 기초와 실제. 서울: 대우출판사
20 김용수, 김수봉(1998) 도시 하천경관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3(6): 243-244
21 서주환, 이철민, 맹상빈(2001) 경관의 선호도 결정인자 모형. 한국조경학회지 29(1): 1-10
22 서주환, 진희성(1988) 올림픽대로의 경관향상을 위한 가로공간 구성요소의 물리량과 심리량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6(2): 23-41
23 조효남(1999) 교량공학. 서울: 구미서관
24 박광수(2000) 환경영향평가서의 경관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성관, 박영은, 박경훈, 유주한, 김경태, 이우성(2007) 경관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아치교량의 시각적 특성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5(4): 48-56   과학기술학회마을
26 황학주(1994) 최신 교량공학. 서울 동명사
27 정용문, 변재상(2005) 시민의식에 기초한 공주시 도시 이미지 분석 -도시와 랜드마크의 형용사 이미지 포지셔닝-. 한국조경학회지 33(3) : 18-30   과학기술학회마을
28 Daniel T. C. and R. s. Boster(1976) Measuring landscape esthetics: the scenic beauty estimation method.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RM-167
29 이은정(2001) 해양경관보전을 위한 시각적 차폐도 분석에 관한 연구 제주도 해안 일주도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주신하(2003) 도시경관 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선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김기호(1995) 게쉬탈트(gestalt)이론을 적용한 도시경관관리에 관한 연구 -산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31(3): 143-157
32 최재용, 박용하(2007) 사회경제적 특성과 전문성에 따른 농촌경관의 심미적 가치 평가의 차이.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2): 105-119
33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34 조용현(2006) 경관 시뮬레이션을 통한 가로 녹시율 증진방안 및 목표 수준 설정 -서울시를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34(2): 26-35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