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467/JKESS.2012.33.4.350

Review on the Korean Terms of Sediment Grain Size Demonstrated in the Textbooks  

Kim, Jeong-Yul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v.33, no.4, 2012 , pp. 350-35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Korean terms of sediment grain size demonstrated in the 30 textbook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university levels are compared and reviewed, and the problems of its use and alternative terms are proposed. The Korean terms of sediment grain size shown in the most textbooks are the translated terms of the Udden-Wentworth grade scale, and the different terms have been used in these textbooks. In the case of gravels, granule, cobble, and boulder have commonly been translated as wangmorae (king sand), janjagal (fine gravel), wangjagal (king gravel), and pyoryeog (drift gravel) or georyeog (large gravel), respectively. However, it is regarded to be reasonable that they are termed as janjagal, jungjagal (medium gravel), keunjagal (large gravel), and wangjagal, respectively. Adjectives such as 'maeu goun' (very fine), 'goun' (fine), 'junggan' (medium), 'gulgeun' (coarse), and 'maeu gulgeun' (very coarse), attached with each sediment name seem to be suitable to terms for sediments smaller than gravels. Silt has been commonly termed as misa (fine sand) in many textbooks, but it may be appropriate that silt is expressed as silt. Finally, mud, which is a mixture of silt and clay, should be named ito (mud) as shown in several textbooks including Dictionary of Korean Earth Science, though mud has been frequently termed as jinheug (slush or watery soil) in the most of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some high school and university textbooks.
Keywords
sediments; grain size; Korean terms; textbook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Blatt, H., Middleton, G., and Murray, R., 1980, Origin of Sedimentary Rocks. Prentice-Hall Inc., NJ, USA, 782 p.
2 Chamley, H., 1990, Sedimentology. Springer-Verlag, NY, USA, 285 p.
3 Friedman, G.M. and Sanders, J.E., 1978, Principles of Sedimentology. John Wiley & Sons, Inc., NY, USA, 792 p.
4 Garrels, R.M. and Mckenzie, F.T., 1971. Evolution of Sedimentary Rocks. Norton, NY, USA, 397 p.
5 Griffiths, J.C., 1967, Scientific Method in Analysis of Sediments. McGraw-Hill Book Co., NY, USA, 508 p.
6 Krumbein, W.C., 1938, Size frequency distributions of sediments and the normal phi curve.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8, 84-90.
7 Leeder, M.R., 1982, Sedimentology, Process and Product. George Allen & Unwin, London, UK, 344 p.
8 Pettijohn, E.J., 1975, Sedimentary Rocks. Happer & Row, Publishers, NY, USA, 628 p.
9 Prothero, D.R. and Schwab, F., 1996, Sedimentary Geology. Freeman and Company, NY, USA, 575 p.
10 Raymond, L.A., 2002, Petrology, the Study of Igneous, Sedimentary Rocks and Metamorphic Rocks. McGraw Hill, NY, USA, 397 p.
11 Tucker, M.E., 2001, Sedimentary Petrology. Blackwell Publishing, Oxford, UK, 262 p.
12 Udden, J.A., 1898, The mechanical composition of wind deposits. Augustana Library Publication, 1, 1-69.
13 Udden, J.A., 1914, The mechanical composition of clastic sediments. Bullet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25, 655-744.   DOI
14 Wentworth, C.K., 1922, A scale of grade and class terms for clastic sediments. Journal of Geology, 30, 377-392.   DOI
15 정공수, 김정률, 1999, 퇴적암석학. 시그마프레스, 서울, 313 p.
16 정진우, 정재구, 박희무, 2004, 한자로 된 지구과학 용어에 대한 고등학생의 이해 수준. 한국지구과학회지, 25, 303-314.
17 정창희, 1970, 신지질학개론. 박영사, 서울, 410 p.
18 조석주, 권성택, 김동주, 김형수, 도성재, 윤성택, 이미혜, 이영재, 이진한, 조호영, 최선규, 2009, 지구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서울, 710 p.
19 정창희, 1986, 지질학개론. 박영사, 서울, 642 p.
20 정창희, 김정률, 이용일, 2011, 지질학. 박영사, 서울, 550 p.
21 조성권, 이철우, 송영관, 황인걸, 1995, 퇴적학. 도서출판우성, 서울, 512 p.
22 최덕근, 2004, 지구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360 p.
23 최승언, 함동철, 유희원, 2010, 지구과학 I.II 교과서에 수록된 불일치 용어의 대안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31, 813-826.
24 추효상, 2009, 환경해양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남, 361 p.
25 한국지구과학회, 2003, 지구과학 학술용어집. 시그마프레스, 서울, 405 p.
26 한국지구과학회, 2005, 지구과학개론. 교학연구사, 서울, 818 p.
27 한국지구과학회, 2009, 지구과학 사전. 북스힐, 서울, 1234 p.
28 함세영, 김순오, 박은규, 서용석, 손문, 오창환, 우남칠, 이 찬희, 이현우, 조호영, 황진연, 2009, 지질환경과학. 시그마프레스, 서울, 504 p.
29 홍정민, 정영근, 2006, 북한 중등과정 지리 교과서 기상학 분야 용어에 대한 전남지역 고등학생들의 이해. 지구과학학회지, 27, 15-19.
30 Atterberg, R.A., 1905, Die rationelle Klassifikation der Sande und Kiesse. Chemisch Zeitschript, 29, 195-198.
31 Blair, T.C. and McPherson, J.G., 1999, Grain size and textural classification of coarse sedimentary particles.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69, 6-19.   DOI
32 Blatt, H. and Jones, R.L., 1975, Proportions of exposed igneous,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s. Bullet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86, 1085-1088.   DOI
33 김정률, 진영필, 1994, 생흔화석의 의미와 한국의 생흔화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논총, 10, 305-327.
34 박수인, 손영관, 안중호, 이동진, 장태우, 전승수, 정공수, 조봉곤, 황정, 1999, 생동하는 지구. 시그마프레스, 서울, 563 p.
35 김정률, 최근수, 2003, 남북한 지질학 용어의 비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4, 691-703.
36 김희수, 정남식, 신동원, 박정웅, 이정식, 한홍열, 박용선, 2003, 지구과학 II. (주)천재교육, 서울, 367 p.
37 대학지구과학연구모임, 2006, 지구과학의 이해. 청문각, 서울, 398 p.
38 박용안, 2000, 바다의 과학(해양학 원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417 p.
39 박택규, 장호완, 2004, 남북과학기술용어집(지질학).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808 p.
40 복완근, 오문환, 김덕현, 한덕주, 방태철, 황성용, 옥준석, 정상윤, 김병인, 정익현, 박병훈, 황원기, 2010, 중학교과학1. (주)지학사, 서울, 296 p.
41 양승영, 1998, 지질학사전. 교학연구사, 서울, 1091 p.
42 오수인, 리내융, 오술문, 1993, 영한지질사전. 지질출판사, 북경, 1170 p.
43 원종관, 이하영, 지정만, 박용안, 김정환, 김형식, 1998, 지질학원론. 도서출판 우성, 서울, 662 p.
44 유강민, 우경식, 2007, 퇴적암의 이해. 한국학술정보(주), 파주, 563 p.
45 이규석, 이창진, 김정률, 이용준, 강진철, 김재현, 2003, 지구과학 II. 대한교과서(주), 서울, 351 p.
46 이대형, 김미정, 이정은 외, 2010, 과학 4-2. (주)금성출판사, 서울, 160 p.
47 이문원, 전선용, 권석민, 진만식, 신석주, 임부철, 2003, 지구과학 II. 금성출판사, 서울, 391 p.
48 이용일, 1994, 퇴적암석학. 도서출판 우성, 서울, 333 p.
49 이준용, 노석호, 백종민, 남경식, 이복영, 강대훈, 김주성, 이용철, 황인신, 임태훈, 고현덕, 신미영, 2010, 중학교과학 I. 비유와 상징, 서울, 360 p.
50 이창진, 류춘렬, 조준오, 2011, 광물.암석 용어의 어원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2, 306-323.
51 이태욱, 박수민, 권석민, 김완섭, 이용준, 이혜경, 장헌영, 김병노, 2003, 지구과학 II. 교학사, 서울, 378 p.
52 고정선, 윤성효, 한정수, 2008, 고등학교 지구과학 I 교과서에서 화성암의 조직에 대한 용어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9, 305-314.
53 전동렬, 홍훈기, 전상학 외, 2010, 중학교 과학 1. (주)미래엔컬쳐그룹, 서울, 359 p.
54 강효진, 김대철, 이동섭, 이상룡, 이재철, 정익교, 허성화, 2002, 해양학. 시그마프레스, 서울, 537 p.
55 경재복, 윤일희, 이경훈, 김기룡, 황원기, 이기영, 2002, 지구과학 II.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서울, 347 p.
56 김경수, 김정률, 2006,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지질 시대관련 개념들에 대한 이해: 중등 교과서와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7, 32-48.
57 김정률, 2009, 척추동물 발자국과 보행렬 화석 관련 한글용어의 검토. 한국고생물학회지, 25, 223-228.
58 김규한, 2009, 행성지구학. 시그마프레스, 서울, 323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