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467/JKESS.2009.30.1.081

Analysis of Fieldtrip-related Perception and Attitudes of Science-talented Students: A Case of Winter School in Korea Earth Science Olympiad, 2007  

Ryu, Chun-Ryol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v.30, no.1, 2009 , pp. 81-9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to analyze the factors that enhance their learning achievement in a fieldtrip environment. For this academic goal, we analyzed a pattern of fieldtrip-related perception and attitudes of 19 science-talent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07 KESO winter school. As for the perception type,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 science-talented students understood a fieldtrip as an experimental inquiry from an inquiry perspective, and that their understanding about a fieldtrip was based on anthropocentrism, positivism and instrumentalism from a science philosophy perspective. Regarding theattitudes type,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purpose of the winter school was mainly to learn knowledge in earth science, a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tendency for the participating students to become a future scientist more eagerly than their parents expected. Students' fieldtrip-related academic self-concept was mostly positive while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Keywords
fieldtrip; science-talented student; perception; attitudes; affective domai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체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 357-369   과학기술학회마을
2 박선희, 2003, 지구과학 야외학습에 대한 지구과학 교사와 고등학생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6 p
3 박종규, 1987, 야외 학습 지도의 이론과 실제. 과학교육, 271, 41-48
4 유은정, 이선경, 김찬종, 2007, 야외지질답사 보고서에 나타난 과학영재학생들의 지구계 이해와 지구계 의미 생성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28, 671-683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5 한지숙, 1996,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 p
6 Solomon, J., 1999, Envisiorunent in practical work: Helping pupils to imagine concepts while carrying out experiments. In Leach, J. and Paulsen, A. (eds.), Practical work in science education: Recent research studies. Roskilde University Press, Derunark, 60-74
7 안순호, 1994, 야외지질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를 적용한 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9 p
8 윤성호, 장정일, 고정선, 2005, 고등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야회학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6, 611-623   과학기술학회마을
9 양일호, 조현준, 한인경, 2006, 초등과학교육에서 실험활동의 목적에 대한교사와 살생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 235-252
10 이정희, 2005, 과학영재의 정의적 특성 및 영재성 인식에 관한 연구: 과학이지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1 p
11 한국지구과학회, 2007a, 2006년도 한국지구과학 올림피아드 겨울학교 운영 결과보고서. 한국지구과학회, 56 p
12 한국지구과학회, 2007b, 제1회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 최종보고서. 한국지구과학회, 284 p
13 Gennann, PJ., Odom, A.L., Aram, R., and Burke, G, 1996b, Students perfonnance on asking questions, identifYing variables and fonnulating hypothes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6, 192-201   DOI
14 권홍진, 김찬종, 2007, 야외지질학숩에 대한 초임 지구과학교사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8, 14-23   DOI
15 권희숙, 2003, 중학생의 정서 지능과 과학과 관련된 태도 및 학업 성최도 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0 p
16 노형환, 1998, 공업계 고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0 p
17 장명덕, 홍상욱, 정진우, 2002, 중학교 2학년 과학영재들의 과학지식에 대한 과학철학적 관점과 이이 대한 토론 및 읽기 활동의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 397-405   과학기술학회마을
18 Wilson, J.T., 1974,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A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Education, 58, 127- 133   DOI
19 이문원, 1985,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서울 , 626 p
20 김민강, 2003, 수학영재의 신념, 태도 및 정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3 p
21 Marsh, H.W. and Parker, J.W., 1984, Detenninants of student self-concept: Is it better to be a relatively large fish in a small pond even if you dont't learn to swim as wel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213-231   DOI
22 조규성, 변흥룡, 김정빈, 2002,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 649-658   과학기술학회마을
23 Gennann, PJ., Aram, RA, and Burke, G, 1996a. IdentifYing patter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responses of seventh-grade students to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design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79-99   DOI
24 이광해, 1991, 자아개념증진 훈련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p
25 장석민, 1974, 학업성취와 자아개념간의 관계연구. 한국교육학회, 12. 6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