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Earth Science Content Relevance i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Lee, Yang-Rak (KICE)
Kwak, Young-Sun (KICE)
Kim, Dong-Young (KICE)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v.26, no.8, 2005 , pp. 759-77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arth science content relevance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For this purpose, we (1) analyzed science curriculum or content standards of Korea, California, England and Japan, (2) compared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3) conducted a nationwide survey to gather opinions from students, teachers, professors and textbook authors about the relevance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arth science content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were not appropriate in terms of the objectives of science curriculum and the needs of students and society. The main reasons include the equal division among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iack of connection due to fractionation of units, overly strict application of spiral curriculum, and redundant amount of activities and concepts to cover in the textbook. Major suggestions fir securing the relevance of Earth scienc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contents and the size of units at each grade level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not by equal portion rule. Second, the excessive overlapping and repetition of contents due to the spiral curriculum should be avoided. In addition, the number of activities should be reduced and the quality of required science activities should be improved. Third, to raise students' interest in Earth science, real-life applications and real-world Earth science contents should be emphasized including natural disasters, safety, universe and space exploration, and natural resources. Lastly, considering one of the relevance criteria is feasibility, supports for schools and science teachers are needed to realize the goal of the intended science curriculum.
Keywords
national curriculum; textbook; relevancy of earth science contents; evaluation of content releva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권치순, 장문수(2004). 한국과 북한의 초.중등학교 지구과학 내용 연계성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지구학회지, 25(7), 558-564
2 김희수 (2002). 웹기반 지구과학교육에서 가상 현실 기술의 활용. 한국지구학회지, 23(7), 531-543
3 박순경, 허경철, 이화진, 소경희 (2001). 제7차 교육과정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지원 요구 조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1-5-1. 273 p
4 이돈희, 곽병선, 최석진, 허경철, 조난심, 박순경, 홍후조, 김재춘 (1997).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교육과정개발 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 97-36. 147 p
5 최돈형, 손연아, 임희준 (2001). 제6.7차 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의 양 및 수준 비교 분석. 한국교육, 28(1), 181-203
6 홍미영, 정은영, 맹희주 (2002). 초등학교 과학과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2-18. 154 p
7 三浦 登 外 (平成 13年, 2001). 新訂 新しい 理科 3, 4 上, 4 下, 5 上, 5 下, 6 上, 6 下. 東京書籍
8 三浦 登 外 (平成 16年, 2004). 新訂 新しい 科學 1分野 上, 下. 東京書籍
9 김범기, 권재술, 김효남, 백성혜,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 (1997).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229 p
10 곽영순 (2002). 과학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좋은 수업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2-4-5. 291 p
11 박수경 (2002). 일기와 기후 다원의 웹 기반 수준별 학습자료 개발 및 효과. 한국지구학회지, 23(8), 666-675
12 김재춘(2003). 국가 교육과정 개정 담론의 비교 분석(I): 제4차에서 제7차에 걸친 '교육내용의 적정화'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제21권 2호, pp. 105-122
13 정미영 (2002). 초등학교 현장 교사의 관점에서 본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적용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제7차 교육과정 적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p. 432-443. 한국교원대학교 주최 교과교육공동연구 학술세미나 자료집. 699 p
14 서동욱 (2004). 야외 지질 학습장의 퇴적암과 지질 구종에 관한 초등학생의 관찰 및 가설 분석. 한국지구학회지, 25(7), 586-594
15 허경철, 김왕근, 김홍원, 박경미, 최돈형 (2000). 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의 과다 정도 및 난이도 분석 연구. 167 p
16 이용섭 (2004). 초등 과학수업에서 ICT 활용 수업 자료의 효과. 한국지구학회지, 25(7), 595-603
17 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 (2000). Science Content Standards for California Public Schools. Kindergarten through Grade Twelve. Available at [http://www.cde.ca.gov/be/st/ss/scmain.asp]
18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101 p
19 조규성, 황지현, 김정빈 (2003). '지각의 물질과 변화' 단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한국지구학회지, 24(3), 128-134
20 신동희, 이양락, 이기영, 이은아, 이규석 (2005). 지구환경을 고려한 미래지향적, 지구과학 교육과정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239-259
21 INCA(2004). England. Curricula (age 3-19) Available at [http://www.inca.org.uk/]
22 오강호, 고영구, 윤석태 (2004).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해양 영역에 관련된 용어 및 탐구의 연계성 분석. 한국지구학회지, 25(7), 576-585
23 조난심, 양종모, 유정애, 정미경, 장연자 (2001).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의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1-10. 637 p
24 교육인적자원부 (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6. 과학. 교육인적자원부. 244 p
25 文部省 (平成 10年-1998). 小學校學習指導要領, 中學校學習 指導要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