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 Analysis of 7th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by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 Objectives -Focusing on 7th grade-  

Kim Sang-Dal (Department of Earth Science, Busan National University)
Lee Yong-Seob (Department of Earth Science, Busan National University)
Choi Sung-Bong (Department of Earth Science, Busa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v.26, no.7, 2005 , pp. 640-65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ubject objectives of Middle school 7th grade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Korean 7th curriculum by using Klopfer’s taxonomic system and find out how much compatible they were with the requiring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Particularly, this study makes educational objectives for textbooks coherent wit the requiring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ng the problems. The results are follows. The Middle school science educational objective of the 7th curriculum sets up almost of the objectives through all of the domains of the Klopfer’s taxonomy system, except the operational function (Category G.0), and emphasizes on emotionable domain (Category $H.0\~I.0$) more. However, comparing with an encouragement objective rate of NSTA,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were published putting more importance in a cognitive domain, and the intention objective (Category I.0) was not mentioned.
Keywords
Klopfer; Education Objective; 7th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순자, 1993, 우리나라 고등학교 생물 영역 교과서와 BSCS녹판의 교육 목표 비교 분석. 한국 생물 교육 학회지, 21 (2), 205-216
2 고세환, 1990,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의한 초등학교 5학년 자연과 수업목표 분석. 과학교육연구, 13, 29-43
3 김덕만, 1993, 자연과 교육의 평가에 관한 연구(정의적, 심체적 영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 63-104
4 김은정, 1991, 고등학교 과학I중 지질단원의 목표와 성취도와의 관계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9 p
5 김효남, 1984, 화학수업 관찰을 통한 교육목표. 화학교육, 11 (2), 68-81
6 박봉상, 김윤우, 홍달식, 박문수, 정대영, 심국석, 심중섭, 최진복, 장정찬, 최병수, 진만식, 2001, 중학교 과학 1. 동화사 295 p
7 이강남, 1999, Klopfer의 과학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6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생물교육 목표 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0-64
8 천경숙, 1984, 한국고등학교 생물과 교육과정의 목표 변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46
9 최동형, 김동영, 김봉래, 김재영, 노석구, 신영준, 이기영, 이대형, 이면우, 이명제, 이상인, 전영석, 2001, 중학교 과학 1. 대일도서, 291 p
10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982, Science-technology-society Science education for the 80s, A position statement, Washington, DC: NSTA, 132-136
11 정범모, 1983, 교육과 교육학. 배영사, 서울, 12 p
12 Tyler, R. W., 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cago Press, 84 p
13 허 명, 1987, 바람직한 고등학교 생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과학교육, 24 (12), 38-43
14 구덕길과 이응호, 1993, 제5차 자연과 교육과정의 학습 목표 분석에 관한 연구(물리 영역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 41-62
15 안병균, 1985, Klopfer의 과학교육 목표분류 방법에 의한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 (2), 81-94
16 김찬종, 김희백, 박시진, 오차환, 양재철, 장흥식, 정진문, 조현수, 최후남, 한송희, 현종오, 홍격의, 김명수, 2001, 중학교 과학 1. 디딤돌, 297 p
17 Klopfer, L. E., 1971, Evaluation of learning in science. In Bloom, B. S., Hasting, J. T. and Madaus, G. F. (eds). Handsbook on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New York: MaGraw-Hill
18 교육부, 1997,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교육부, 7-8
19 김주훈과 이양락, 1984, 초등학교 자연과 평가의 원리와 실제. 한국교육개발원 개발연구 TR 84-7, 37-70
20 Blood, D. E. and Zalewski, L. J., 1990, Committe developed science objectives. School Science education. London, 6, 62-63
21 Gronlund, N. E., 1981, Stating Objectives for Classroom Instruction. Macmillan Publishing, New york, 23-29
22 서광록, 1985, Klopfer의 과학교육목표 분류방법에 의한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조사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p
23 이광만, 허동, 이경운, 정무호, 방태철, 이기성, 안태근, 정상윤, 복완근, 정익현, 박병훈, 박정일, 정수도, 김경수, 박지극, 송양호, 이천기, 2001, 중학교 과학 1. 지학사, 283 p
24 임정순, 1999, Klopfer의 과학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의한 제6차 화학교육과정과 고등학교 화학I 교과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44
25 고흥선, 1997, Klopfer의 과학교육 목표 분류방법에 의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조사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53
26 Clevenstine, R. F., 1987, A classification of the ISIS program using Bloom's cognitive taxonom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4 (8), 699-712   DOI
27 Mager, R. F., 1975, Preparing instructional objectives(2nd Ed.). San Francisco: Fearon Belmont, 170-171
28 고세환과 김효남, 1991, 관찰에 의한 국민학교 3, 5학년 자연과 수업의 목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 (1), 51-57
29 김영수와 윤세진, 1991,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고등학교 생물 교육과정의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9 (2), 126-138
30 강대훈, 1997,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의한 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8-70
31 이형수, 1992, 초등과학교육의 목표분석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5-57
32 McGarry, K. J., 1986, Educational objectives and curriculum design: a case study of an undergraduate degree in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for Information, 4 (3), 134-137
33 곽대오, 1995, Klopfer의 과학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중.고등학교 생물 교육 목표 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3 p
34 Gagne, R. M. and Briggis, L. J., 1977, The conditions of learning.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34-135
35 배영부, 1993, 제5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학습 목표 및 활동요소 분석(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과 수학교육 논문집, 19, 159-192
36 이성묵, 채광표, 김기대, 이문원, 권석민, 손영운, 노태희, 정지오, 서인호, 김영수, 김윤택, 이세영, 2001, 중학교 과학 1. 금성교과서, 299 p
37 김정률, 고현덕, 김재현, 김남일, 임용우, 동효관, 김선주, 남철주, 김영순, 이준용, 2001, 중학교 과학 1. 블랙박스, 288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