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9/KAIS.2019.28.1.18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Game Flow and Satisfaction in Mobile Game  

Lee, Jin Hyung (인하대학교 대학원 서비스경영공학)
Kim, Chul Soo (인하대학교 경영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v.28, no.1, 2019 , pp. 183-20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Research purpose is extrac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game flow and satisfaction in mobile game.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mobile game, the factors affecting game flow were classified into three parts: mobile game platform characteristics, user cognition characteristics, and us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rough previous studies for existing online game and mobile game. In the research we extracted the factors as follows: the connectivity, usability, network speed, pleasure, service quality, relatedness, proficiency, self-fulfillment, early adopter tendency, and competitive spirit. Using the factors, we established research model and tested hypotheses empirically. This survey was conducted five months targeting from teenagers to fifties with mobile game experience.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s of the present study or those newly developed by the game experts and total 56 items in the literature of Internet game, smartphone game, and mobile game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study respectively. Findi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ease of use, enjoyment, self - fulfillment and competitive spiri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user flow and also that service quality, proficiency and competitive spiri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in mobile games.
Keywords
Mobile Game; User Cognition Characteristics; User Flow; Self-fulfill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권두순, 김진화, 유철하, 김세준, "자기결정성요인이 스마트폰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6권, 제4호, 2011. pp. 197-220.   DOI
2 권혁인, 김만진,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모바일게임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14, 2008, pp. 23-35.
3 권혁인, 박정은, 최용석, "온라인 게임 피로도 시스템에 따른 몰입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제10권, 제5호, 2010. pp. 75-85.
4 김기석, 정형원, 장현주, "모바일 게임의 몰입, 지속적 이용의도에 대한 선행요인",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26(4), 2013, pp. 121-133.
5 김슬이, 정용국, 진메이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몰입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3(3), 2013, pp. 55-68.   DOI
6 김용준, 박승배, "PC 시스템 품질이 온라인 게임 수용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7권, 제3호, 2006, pp. 339-366.
7 김재현, 최서윤, 김현석, "모바일 퍼즐 SNG 순위경쟁상황에서 플레이어의 사회비교가 경쟁심과 도전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HCI학회 논문지, 제13권, 제3호, 2018, pp. 5-15.
8 김정열, "온라인게임 이용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17(11), 2012, pp. 163-171.
9 김주환, 진보래, 최승범, "관계적 자아 형성의 장으로서의 사회적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게임(SNAG)," 정보과학회지, 23(6), 2005, pp. 19-28.
10 김창수, 오은해, "모바일 비즈니스;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게임의 특성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논문집, 2005권, 1호, 2005, 225-234.
11 김혜빈, 박영일, "모바일 게임 중이용자 영향요인에 관한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6권 제3호, 2015, pp. 493-501.
12 김호영, 김진우, "모바일 인터넷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경영정보학연구, 제12권, 제3호, 2002, pp. 89-113.
13 배재권, 권두순, "소셜 게임 이용자의 자기결정성요인, 감정반응요인 및 만족도와의 구조적 관계", 한국로고스경영학회, 제11권, 제2호, 2013, pp. 55-80.
14 문현필, 옥석재, "모바일 서비스 사용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4권, 제2호, 2005년 12월, pp. 133-154.
15 박병국,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학교생활적용 및 자아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21호, 2004, pp. 633-644.
16 박상천, "재미와 성취감을 활용한 포켓몬고의 비즈니스 전략", 인문콘텐츠학회 (50), 2018, pp. 83-113.
17 백영석, 박성호, 김동욱, "모바일 캐주얼 게임의 특성이 몰입, 이용자의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2015 No.08, 2015, pp. 256-262.
18 백영석, 이호, 이동현, "모바일 캐주얼 게임 몰입이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제16권, 제4호, 2015, pp. 17-34.   DOI
19 손달호, 장경호, "온라인 게임사이트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20(4), 2011, pp. 73-101.
20 노기영, "체감형 헬스게임에서 사용자경험과 자기효능감이 게임 만족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 12, No. 2, 2012, pp. 15-29.   DOI
21 손위, 문영주, "소셜 네트워크 게임 특성이 몰입, 고객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전자상거래학회지, 13(1), 2012, pp. 87-113.
22 송붕, 이종호, 정병무, "스마트폰 게임 특성이 몰입, 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15(1), 2014, pp. 277-296.
23 유우경, "Online Game Characteristic On The Adolescent's Flow And Addiction of Online Game,"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4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18.
25 여환립, 김판수, "한국형 얼리어답터(이노베이터, 얼리어답터)들의 IT제품 구매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2008, pp. 1-6.
26 오은해, 김창수, "디지털게임의 몰입과 지각된 즐거움 그리고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디지털게임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9권, 제3호, 2009, pp. 133-166.
27 이민선, 박철, 이홍일, "모바일 게임의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산업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3.11., pp. 189-206.
28 이상철, 김남희, 서영호,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 몰입과 중독이 사용자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 연구, 제32권, 제 5호, 2003.10., pp. 1479-1501.
29 이진수, "인터넷 게임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18권, 제3호, 2005, pp. 1025-1045.
30 이한호, 김시성, 이민섭, "모바일 소셜네트워크 게임에서 콘텐츠요인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게임학회논문지, Vol 15(1), 2015, pp. 17-26.
31 임규홍, 이종호, "모바일 환경에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시스템연구, 제15권, 제4호, 2006.12, pp. 189-209.
32 최문기, 정현일, 한용진, 김지연, 정재범, "게임의 재미 요소가 주관적 시간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3권, 제21호. 2010, pp. 33-40.
33 하성호, 임광혁, 배현우,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온라인게임 이용자커뮤니티 간 비교", 한국콘텐츠학회, 제9권, 제8호, 2009, pp. 178-189.   DOI
34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 2018.
35 이명일, "모바일 게임 몰입과 중독이 사용자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36 Csikszentmihalyi, M.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Harper Perennial, New York, (41), 1990.
37 Anderson. J. and Gerbing. D.W.,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 103, No. 3, 1988, pp. 411-423.   DOI
38 Bagozzi, R. P. and Yi, Y., "On the evaluation of structual equation models", Jo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 16, No. 1, 1988, pp. 74-94.   DOI
39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Jossey-Bass, San Francisco, 1975.
40 Hair, J.F., Anderson, R.E., Tatham, R.L., and Black, W.C., Multivariate Data Analysis, Fifth-Edition, Prentice Hall, 1998.
41 Hoffman, D. and Novak, T.P.,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conceptual founda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66, 1996, pp. 50-68.   DOI
42 Lattin, J., Carroll, J. D., and Green, P. E., Analyzing multivariate Data, Pacific Grove, 2002.
43 Martyn Standage, Joan L. Duda, and Nikos Ntoumanis, "A model of contextual motivation in physical education : Using constructs from self-determination and achievement goal theories to predict physical activity intenti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95, No. 1, 2003, pp. 97-110.   DOI
44 Moon, J.W. and Kim, Y.G., "Extending the TAM for a World-Wide-Web Context", Information & Management, Vol.38, 2001, pp. 217-230.   DOI
45 Nielsen, J., Usability Engineering, Academic Press, New York, 1993.
46 Oliver, R. L.,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r, McGraw-Hill, 1997.
47 Rogers, E. M., Diffusion of Innovations, 4th Edition, Free Press, New York, 1995.
48 Radoff, J., Gamification & 소셜게임: 모든 비즈니스를 게임화하라.(Game on: energize your business with social media games), 박기성 옮김, 에이콘출판, 서울, 2011.
49 Fornell, C. and Bookstein, F.L., "Two structural equation models: LISREL and PLS applied to consumer exit-voice theor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9, 1982, pp.440-452.   DOI
50 Rau, P. P., Peng S., and Yang C., "Time Distortion for Expert and Novice Online Game Players", CyberPsychology & Behavior, 2006, 9(4), pp. 396-403.   DOI
51 네이버 제오니스의 블로그, 국민 95%가 스마트폰 사용...보급율 1위 국가는?, Retrieved March 27, 2019, Available: https://blog.naver.com/zeonis/221462143147.
52 Parasuraman, A., Zeithaml. V. A., and Berry. L. L.,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 Fall, 1985, pp. 41-50.   DOI
53 Venkatesh, A., "Computers and Other Interactive Technologies for the Home",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39, No. 12, December 1996, pp. 47-54.   DOI
54 미래한국 웹사이트, [시장분석] 모바일게임 산업의 특성과 시장 환경, Retrieved November 16, 2018, Available: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