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9/KAIS.2015.24.3.95

The Determinants of the Usage of Government Institutions' SNS  

Son, Dal-Ho (계명대학교 경영정보학과)
Yoo, Seong-Pil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정보통신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v.24, no.3, 2015 , pp. 95-11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ried to investigate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key impacting factors and usage in SNS of government institutions. It was designed to research the processing property of SNS, the emotional property of SNS, and the service property of SNS for the SNS usage. Based on the research framework from the relationships among intrinsic SNS characteristics,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attitude of government institutions' SNS, the empirical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Design/methodology/approach: Data for empirical study were collected from 453 of total distributed 500 by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with SNS users of government institutions. The analysis was performed from effective 432 data, and the sample was mainly consisted of men, the thirty-old, and salesmen. Finding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motional and service properties in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SNS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to the value perception and the security variable in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to the trust. Finally, the value perception has positive effects on both trust and use intention of government institutions' SNS. Meaning of these results is that intrinsic SNS characteristics,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attitude of government institutions' SN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NS usage.
Keywords
Government Institutions; SNS; SNS usag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가명호, 정대율,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의 e-고객충성도에 관한 실증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9권 제2호, 2010, pp. 1-21.
2 기소진, 이수영,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기효능감에 따른 SNS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페이스북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1호, 2013, pp. 81-110.
3 김대진, "SNS의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 사용을 위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 김상조, 정선미, "SNS에서의 외식정보전달자 특성과 정보가치가 이용자의 외식업체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4권, 제6호, pp. 127-146.
5 김용희, "공공행정정보 전달을 위한 SNS 활용방안: 강원도 트위터 계정의 네트워크 지표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6 김종기, 김진성, 뢰정첩.,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제21권 제3호, 2012, pp. 163-186.
7 김재현, 조성의, "소셜커머스에서 고객의 구매결정요인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4권 제1호, 2014, pp. 165-185.
8 김형아, 배광빈, 최봉, "서울시 트위터 네트워크의 구조 분석과 정책적 함의," 한국정책연구, 제11권 제2호, 2011, pp. 95-114.
9 김홍섭, 김윤경, "공공부문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술,"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제19권 제1호, 2011, pp. 125-126.
10 노미진, 이경탁, "소셜커머스 수용에 있어서 지각된 위험의 영향력: 집단주의 조절효과분석," 경영학연구, 제14권, 제1호, 2012, pp. 57-87.
11 박선주, 정원모, "공공 부문의 성공적인 소셜미디어 도입 및 활용 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pp. 1-31.
12 박영미, 김오우, 강성배, "행정기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4권 제4호, 2014, pp. 399-422.
13 서진완, 남기범, 김계원, "지방자치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 현황 분석과 의미," 한국행정학보, 제46권 제1호, 2012, pp. 131-155.
14 심혜영, 임걸, "SNS 이용동기가 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2011, pp. 383-390.
15 양재훈, "모바일 SNS의 서비스 품질이 지속적이용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3권 제4호, 2012, pp. 313-337.
16 우관란, 송희석, "SNS에서 대인신뢰의 영향요인: 트위터 사용자 경우,"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제19권 제2호, 2012, pp. 197-215.
17 이문봉, "SNS에서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2011, pp. 151-161.   DOI
18 장규원, 윤현석, "사이버 공간에서의 개인 정보보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제87권, 2011, pp. 105-137.
19 장재민, "SNS 검색서비스의 신뢰, 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국내포털 SNS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0 정원진, "모바일 쇼핑몰의 지각된 정보품질이 스마트폰 사용자의 쇼핑몰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제21권 제3호, 2012, pp. 71-97.
21 차영란, "정부정책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SNS 활용 PR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2013, pp. 103-116.   DOI
22 최봉, 변미리, 김형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서울시의 활용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2011.
23 최수정, "스마트폰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의 결정요인 연구: 기술적, 쾌락적, 사회적 특성을 중심으로,"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제19권 제4호, 2012, pp. 75-95.
24 최연진, 정연경,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4권 제4호, 2013, pp. 319-340.   DOI
25 허진희, 서진완, "소셜미디어 활용과 지방정부에 대한 태도,"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12, pp. 1-20.
26 Auer, M. R., "The policy sciences of social media," Policy Studies Journal, Vol. 39, No. 4, 2011, pp. 709-736.   DOI
27 Baek, Y. M., Cho, Y. K., and Kim, H. J., "Attachment style and its influence on the activities, motives, and consequences of SNS use,"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Vol. 58, No. 4, 2014, pp. 522-541.   DOI
28 Kwon, O. B., and Yixing, W., "An empirical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network service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6, No. 2, 2010, pp. 254-263.   DOI
29 Lin, K. Y., and Lu, H. P., "Why people use social networking sites: An empirical study integrating network externalities and motivation theor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7, No. 3, 2011, pp. 1152-1161.   DOI
30 Schierz, P. G., Schilke, O., and Wirtz, B. W., "Understanding consumer acceptance of mobile payment services: An empirical analysis,"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9, No. 3, 2010, pp. 209-216.   DOI
31 Sledgianowski, D., and Kulviwat, S., "Using social network sites: The effects of playfulness, critical mass and trust in a hedonic context," Journal of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Vol. 9, No. 4, 2009, pp. 74-83.
32 Wang, Y., and Haggerty, N., "Individual virtual competence and its influence on work outcome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 27, No. 4, 2011, pp. 299-333.   DOI   ScienceOn
33 Zhou, T., Li, H., and Liu, Yi., "The effect of flow experience on mobile SNS users loyalty," Industrial Management and Data Systems, Vol. 110, No. 6, 2010, pp. 930-946.   DOI   ScienceOn
34 Yu, J., Ha, I., Choi, M., and Rho, J., "Extending the TAM for a t-commerce,"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 42, No. 7, 2005, pp. 965-97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