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광역의회의 의정활동평가 -광주광역시 의회(1991-2001)를 중심으로-  

강인호
오재일
박혜자
민현정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 v.14, no.3, 2002 , pp. 5-1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Gwangju City Council's legislative activities during the past decade(1991∼2000). The legislative activities include to deliberate, decide budget, enact and revise regulations, inspect and investigate administrative affairs and reflect the opinion of the citizens. This study used to cross-sectional data by focusing on behavioral aspect. And the results and matters in Gwangju City Council were deduced from it. Generally speaking, this study shows that legislative activities of Gwangju City Council have been develop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ut, In regard to the total number of legislative activities, the number of resolutions, and budget deliberation which had been passed by Gwangju City Council established in 1998 are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council in 1991. Gwangju City Council has similar trends to other local councils at the upper-tier local governments on the overall. To strengthen legislative activities in Gwangju City Council, positive reflection of local councils has to be reinforced. At the same time, the mutual cooperation and diversion with NGO's have to be activated.
Keywords
local self-government; local council; activity of council; Gwangju citycouncil; evaluation of Council's legislative activit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조경호·김명수(1995), 한국 기초지방의회의 주민대표성과 입법전문성 평가. '한국행정학보', 29(1):231-259
2 최창호(2001), '지방자치학', 서울: 삼영사
3 김순은(1994), 개정 지방자치법의 평가와 의미. '지방자치연구', 20: 27-40
4 김순은(1995), 지방의회의 정책결정 보좌기능 개선에 관한 연구: 지방의회 사무처(국)의 기능에 관한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4(1): 111-127
5 김순은(1999b), 지방의회와 단체장과의 관계분석: 부산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3(2): 69-82
6 김연기. 김대질. 송건섭(1998), 대구광역시의회 활동에 대한 주민의 평가와 의정과제. '사회과학연구', 5(1): 63-86
7 김병준(1994), '한국지방자치론', 서울: 법문사
8 김생수(1994), 지방의회의 의정활동 평가와 발전적 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72-96
9 김순은(1992), 지방의회의 상임위원회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지방의회연구', 3: 55-83
10 김순은. 이재웅. 박영강(1993), 지방의회 2주년 평가를 위한 조사연구. '지방의회연구', 4: 119-165
11 송광태(1999), 지방의회의 의정활동분석과 의정활성화 방안: 경상남도의회의 안건처리를 중심으로. '중앙행정논집', 13(1): 1-25
12 심익섭·손경희(2000), 지방정부의 정책결정구조와 지방의회의 역할: 경상북도의 조례제정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2(3): 107-128
13 이상철. 송건섭(1998), 기초의회의 의정활동분석과 주민의 만족도 조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0(1):109-136
14 안성호(1993), 지방의회 사무기구의 개혁방향. '지방의회연구', 4: 37-70
15 오재일(1998), 지방의회의 역할과 과제. '지방자치':26-30
16 오재일(2001), 지방의원의 유급제에 관한 고찰. 자치의정, 4(1)
17 최봉기(1994), 대구직할시의회의 의정활동분석과 의회기능의 강화방안. '한국행정학보', 28(2):629-648
18 박종득. 임헌만(2001), 기초의회의 의원 전문성과 의정활동간 상관관계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2(3): 19-36
19 김성호(1996), '지방의회의 의정 효율성 제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20 김경애(1998), 여성의 정치세력화와 지방자치: 참여확대를 중심으로. 1998년 국제심포지움 “아시아 지방자치발전과 여성의 정치세력화” 자료집
21 육동일(1999), 지방자치 운영성과와 과제에 관한 연구: 민선자치 1기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1(4): 75-102
22 정준금(1995), 기초지방의회의 의정활동분석: 울산시의회의 활동실적 평가 및 발전방향. '한국행정논집', 7(2): 135-157
23 이재웅·서영조(1996), 행정사무감사의 실제와 개선전략. 지방의정, 35: 5-24
24 송광태(2001), 지방의회의 의정활동평가의 사례분석을 통한 교훈.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3(2):45-66
25 이종원(1998), '서울시의회 입법활동의 활성화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보고서
26 Hill, Kim Quaile, and Mladenka, Kenneth R(1992), Democratic Governance in American States and Cities, Pacific Grove: Brooks/Cole
27 김순은(2001c), 지방의회 의정활동(1991-2001)의 평가와 과제. '한국행정학회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 육동일(2001), 지방의회의 전문성 확보방안 연구. '21세기 지방의회 발전과제와 전망: 제28차 지방자치 정책세미나논문집', 한양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9 오을임(2001), 지방의원의 정책활동 활성화 방안: 광역의회 의원들의 의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3(4).: 117-131
30 김순은(1997a), 부산광역시정부의 정책결정 과정과 구조. '지방정부연구', 1: 99-120
31 심익섭(1997), 기초지방의회의 의정활동 활성화 방안: 구 의회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9(3):73-94
32 김광주. 최근열. 김상묵. 김영종. 오영석(1998), 지방의회의 의정활동 평가: 경상북도의회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10(1): 167-186
33 송광태·김현태(2000), 지방의회 의정활동 평가의 분석 틀과 적용. '도시행정학보', 13(1): 1-26
34 Abney, Glenn, and Lauth, Thomas P(1986), The politics of State and City Administration,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5 김순은(1997b), 제2기 광역지방의회의 특성과 의정활동. '지방자치연구', 9(3): 49-71
36 김순은(1999c), 제3대 지방의회의 발전방향: 지방의회의 정치경제학. '동의논집', 30: 518-533
37 Barron, Jacquelline, Crawley, G., & Wood, T(1991), Councillors in Crisis: The Public and Private Worlds of Local Councillors. Houndmills: Macmillan
38 광주광역시의회(2001), '의회보' 광주광역시의회사무처
39 김순은(1993), 지방의회의 예산심의 전략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의회를 중심으로. '지방의회연구', 4:5-36
40 김순은(1999a), 지방의회의 집행기관에 대한 견제 감시기능. '지방의회연구', 9: 107-126
41 한양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1992), '지방자치의 발전을 위한 국민의견조사'. 서울: 한양대학교 지방자치 연구소
42 Zimmerman, J. F(1986), State and Local Government. New York: Barnes and Noble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