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934/KJHE.2011.20.5.885

A Qualitative Study on Adult Children's Experiences of Parental Bereavement  

Kong, Su-Youn (Consumer & Child Studies Major, Inha University)
Yang, Sung-Eun (Consumer & Child Studies Major, Inha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20, no.5, 2011 , pp. 885-89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examine adult children's experiences with parental bereavement and the effect of the experiences on family relationships and their lives. In order to describe the subjects' experiences as they are and understand their meaning and essenc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laizzi method, an approach to phenomenolog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findings showed that subjects suffered from the loss of parents; however, they recovered from their conditions after an ancestor worshiping service. In addition, they took heavy responsibility for a survived parent after bereavement and experienced changes in the roles of family members. In conclusion, experience with parental bereavement caused adult children to reflect on themselves, to discuss the essence of life, and to change the attitudes of their life from a future-oriented perspective to a here-and-now perspective.
Keywords
parental bereavement; adult children; qualitative study; lo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Burnham, J. B. (1998). Family Therapy : First Steps Towards a Systemic Approach.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Vaile, R., & King, M.(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48-71. New York: Oxford University.
3 Creswell, J. W. (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 CA: Sage.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 지성 옮김 (200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 통. 서울: 학지사.
4 Hogan, N., & Schmidt, L. (2002). Testing the grief to personal growth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eath Studies, 26, 613-634.   DOI   ScienceOn
5 Horon, R. J. (1994). Family adjustment following the death of a parent. Doctoral Dissertation. Rosemead school of Psychology, Biola University.
6 Marwit, J. S., & Klass, D. (1996). Grief and the Role of the inner Repressentation of the Deceased, in Klass, D., Silverman, R. P., & Nickman, L. S.(Eds), Bond: New Understanding Grief 297-309. Washington: Taylor & Francis.
7 Moustakas, C. (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8 Murry, C. I. (1994). Death dying, and bereavement. In McKenry, P. C., & Price, S. J. (Eds.), Families and change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173-194. CA: Sage.
9 Padgett, D. K. (199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 Challenges and Rewards, CA: Sage. 유태균 옮김 (2001). 사회복지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나남.
10 Wolfelt, A. D. (1988). Death and grief : A guide for clergy. New York: Accelerated Development.
11 Zahavi, D. (2004). Husserl's Phenomenology. CA: Stanford University.
12 박효실. (2002). 부모사별 후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대처자원과 가족상황에 대한 인지적 평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손의성. (2007). 배우자 사별노인의 적응에 관한 연구: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1, 289-322.
14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2004).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5 신연순, 송정아. (2008). 부/모 사별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정서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5, 235-282.
16 신충식. (2009). 질적 연구방법과 현상학. 사회과학, 42(1), 85-112.
17 양성은. (2008). 부모 사별에 따른 대학생의 상실경험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39-49.   과학기술학회마을
18 이미라. (2007). 애도 개념개발: 배우자 사별과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37(7), 1119-1130.   과학기술학회마을
19 이원희, 황애란. (2003). 암으로 자녀와 사별한 어머니의 슬픔단계와 반응. 대한간호학회지, 33(6), 847-855.   과학기술학회마을
20 임승희. (2007). 사별가족과 사회적 지원서비스에 대한 연구. 간호학탐구, 16(1), 102-117.
21 통계청. (2007). 2007 고령자 통계. 대전: 통계청.
22 전길양, 김정옥. (2000). 배우자 사별노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1), 155-170.
23 전미영. (2000). 가족 사별 후의 슬픔 경험, 가족의 강인성 및 관리자원과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0(6), 1569-1579.   과학기술학회마을
24 정인순. (2008). 호스피스 환자 사별 가족의 사별 슬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한국갤럽. (2009). 한국인의 죽음과 장례. 서울: 한국갤럽.
26 홍현미라, 권지성, 장혜경, 이민영, 우아영. (2008).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의 실제. 서울: 학지사.
27 강인, 최혜경. (1998). 여성의 배우자 사별 스트레스 적응 과정에서 개인 내적 요인들의 중재적 역할. 대한가정학회지, 36(4), 95-107.   과학기술학회마을
28 김명자. (1998). 중년기 발달. 서울: 교문사.
29 김상우. (2003). 죽음으로 인한 일상적 삶의 위기와 파괴. 사회조사연구, 18, 133-157.
30 김상희. (2004). 성인 여성의 배우자 사별 체험. 고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김은경. (2002). 호스피스센터에서 암으로 사별한 가족의 애도와 대처양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김승연, 고선규, 권정혜. (2007). 노인 집단에서 배우자의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6(3), 573-596.
33 김영희. (1998). 결혼과 가족가치관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학생생활연구, 23, 21-45.
34 김오남. (2004).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과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 85-118.
35 김진영. (2010). 애도과정의 목회상담적 이해. 목회와 상담, 15, 122-149.
36 김태현. (1995). 노년학. 서울: 교문사.
37 김태현, 임선영. (2004). 가족이념, 생활교류가 부모자녀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중년세대와 성인세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85-109.
38 두현정. (2008). 사별가족의 슬픔 적응 경험.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