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934/KJHE.2011.20.2.299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Expressiveness, Marital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yle of Preschool Mothers  

Kim, Hye-Soo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20, no.2, 2011 , pp. 299-31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expressiveness, marital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yles of preschool mothe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58 mothers whose children, 4-6 years of age, are enrolled in 5 kindergartens in Gyounsang-do.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porting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marital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yles. Data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17.0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expressiveness, marital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yles of the mothers, respectively. Second, mothers' active coping style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ree facto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communication and conflict solving,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Third, mothers' passive coping style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ree factors: the expectations of their spouse's role, intimacy,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mothers to express their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actively and improve their marital satisfaction to cope with stress effectively.
Keywords
mother; emotional expressiveness; marital satisfaction; coping styl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Salovey, P., Brackett, M. A., & Mayer, J. D. (2004). Emotional Intelligence: Key Readings on the Mayer and Salovey Model. New York: National Professional Resources.
2 Stanton, A. L., Danoff-Burg, S., Cameron, C. L., & Ellis, A. P. (1994). Coping through emotional approach: Problems of conceptualization and confound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 350-362.   DOI   ScienceOn
3 Fowler, B. & Applegate, B. (1995). Do marital Conventionalization Scale Measure a social desirability response bia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 237-241.   DOI   ScienceOn
4 Halberstadt, A. G., Cassidy, J., Stifter, C. A., Parke, R. D., & Fox, N. A. (1995). Self-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contest; Psychometric support for a new measure. Psychological Assessment, 7, 93-103.   DOI   ScienceOn
5 Johnson, M. D., Cohan, C. L., Dvila, J., Lawrence, E., Rogge, R. D., Karney, B. R., Sullivan, K. T., & Bradbury, T. N. (2005). Problem-Solving Skills and affective Expressions as Predictors of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1), 15-27.   DOI   ScienceOn
6 Rini, C. M. (2001). Social support effectiveness, measurement, prediction, and relation to psychological health during pregnanc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7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process and depressiv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5, 102-113.
8 Lonigan C. J., Carey, M. P., & Finch, A. J. (1994). Anxiety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egative affectivity and the utility of self-repor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 1000-1008.   DOI   ScienceOn
9 Pitcher, S., & Meikle, S. (1980). The topography of assertive behavior in positive and negative situations. Behavior therapy, 11, 532-547.   DOI
10 Saarni, C. (1989). Children's understanding of strategic control of emotional expression in social transaction. In Saarni, C. & Harris, P. (Eds.).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pp. 181-20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Sabatelli, R. (1984). The marital comparison level index: A measure for assessing outcomes relative to expect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4 537-546.
12 황종귀. (2009).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에 관련된 요인. 한국생활과학회지, 18(4), 825-840.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13 Amato, P. R. (1991). Psychological distress and the recall of childhood family characteristic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6, 21-34.
14 Belsky, J., & Pensky, E. (1990). Developmental history, personality, and family relationships: toward an emergent family system. In Hinde, R. A. & Stenven-Hinde, J. (Eds.). Relationships within families, Oxford(pp. 93-217). England: Oxford.
15 Couillard, G. C. (1990). Differences in marital adjustment among couples with similar and dissimilar levels of emotional health in their family of origin.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2(2), 187-213.
16 Blackburn, R., Renwick, J. D., Donnelly, J. P., & Logan, C. (2004). Big five or big two? Superpredicate factors in the NEO five factor inventory and the antisocial personality questionnair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7, 957-970.   DOI   ScienceOn
17 Buck, R. (1989). Emotional communication in personal relationships; A developmental-interactional view. In Hendrick, C. (Ed.). Review of Personal and Social Psychology, 10, (pp. 144-163). Newbury Park, CA: Sage.
18 Cole, P. M., Teti, L. O., & Zahn-Waxler, C. (2003). Mutual emotion regulation and the stability of conduct problems between pre school and early school ag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5, 1-18.   DOI   ScienceOn
19 Dunn, L., Beach, S. A., & Kntos, S. (1994). Quality of literacy environment in day care and children's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9(1), 24-34.   DOI
20 Dunsmore, J. C., & Karn, M. A. (2001). Mothers' beliefs about feelings and children's emotional understanding.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2(1), 117-138.   DOI
21 오성희. (2010).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오지현, 조유진. (2009).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정서표현 양가성 및 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의 관계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내담아동 어머니 집단을 대상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25(3), 93-109.
23 윤경화. (1992). 유아의 자아개념과 부모의 양육태도 및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지현. (2006).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 유능성.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승미, 오경자. (2006). 정서인식불능,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정서표현성이 중년기혼여성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1), 113-128.
26 이정은, 이영호. (2000). 개인특성, 스트레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31-548.
27 이주일, 황석현, 한정원, 민경화. (1997).정서의 체험 및 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 (1), 117-140.
28 임미옥. (2005). 부모의 정서표현성 및 자녀에 대한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임주희, 최연실. (2006).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부모갈등, 부모관련 스트레스, 부모자녀간의 의소통의 영향 아동학회지, 27(4), 233-246.
30 정윤선. (1993).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행복.불행의 관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정현숙. (2001). 결혼만족도 연구와 척도의 고찰을 통한 새로운 연구방향과 척도의 모색, 대한가정학회지, 35(1). 191-204.
32 정현숙, 유계숙. (2001). 가족관계. 서울: 학지사.
33 조민영. (2004). 중.고등학생들의 학교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차윤희. (2004). 어머니의 정서표현에 관련된 변인과 유아의 정서능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김아신. (2009). 상위기분과 문제해결행동에 따른 결혼만족도. 인간이해, 30(1), 81-95.
36 김의향 (2010).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김정희, 이장호. (1985).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구성요인 및 우울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7(1), 127-138.
38 박새밀. (2004).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결혼만족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김현주, 김광웅. (2007). 아동상담자의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0(1), 35-46.
40 김혜원, 홍미애, (2007).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삶의 질 정도와 설명요인분석. 청소년학연구, 14(2), 269-297.
41 박성옥, 김정훈. (1995). 취업모의 가정생활과 일의 균형을 위한 방안 모색. 대한가정학회지, 33(4).   과학기술학회마을
42 박주영 (1995). A.B 성격유형.자아정체감.스트레스 대처간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박홍미. (2003).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따른 유아의 자아 존중 감의 차이.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백미애. (2001). 부모의 정서표현에 따른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과 감정조절 능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서혜린, 이영. (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 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2), 33-56.
46 송하나, 최경숙. (2010). 기질적 정서표현성의 안정성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아동의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기 종단 연구.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3(2), 93-107.
47 안명은. (2007). 부모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태도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양경화. (2000). 일반아동과 자폐아동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