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934/KJHE.2011.20.1.155

Mix & Match Fashion Trend Expressed in the Ready to Wear Collection - Focused on Alexander McQueen, Jean Paul Gaultier, Comme des Garçonson -  

Kim, Sun-Ah (Dept. of Fashion Design & Apparel Industry, Wonkwa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20, no.1, 2011 , pp. 155-16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Mix & Match fashion trend expressed in the Ready to Wear collections shown in 27 collections of 3 designers(Alexander McQueen, Jean Paul Gaultier, Comme des Gar$\c{c}$ons) over the past five years from 2007S/S to 2011S/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were a combination of past and modern, the past and past prominent fashions combined at a different time, these styles and details were seen in Alexander McQueen's collection. 2) The properties of combination were expressed as a clash of cultures, such as East and West or African and European. 3)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inations were expressed by differences in purpose, such as outer garments or underwear. 4) Artistic combinations of Mixing & Matching happen through a component confusion of art and garments. 5) The characteristics of Mixing & Matching fashion were expressed in images, especially in the case of Jean Paul Gaultier.
Keywords
ready to wear; mix and match fashion; Alexander McQueen; Jean Paul Gaultier; Comme des Gar$\c{c}$on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9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명은정. (2005). Mix & Match 스타일의 표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30.
2 안선경. (1994). 현대 복식에 표현된 추의 개념.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3 유희정. (2005). 현대패션에 나타난 Crossover Coordination에 관한 연구: 1996년부터 2004년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12-50.
4 윤수정. (2002). 패션 트렌드의 다중화, 복합화 현상에 대한 질적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5 이민정, 이인성. (2009). 현대 로맨티시즘 패션에서 나타난 믹스 앤 매치 스타일 분석. 복식문화연구, 17(4), 653-662.   과학기술학회마을
6 이미연. (2005). 티셔츠 원포인트그래픽에 나타난 Mix & Match시각이미지분석. 복식문화연구, 13(5), 777-789.   과학기술학회마을
7 임영자, 권진. (2002) 한국의 현대 패션에 나타난 Togetherness 현상에 관한 연구. 복식, 52(5), 217-229.   과학기술학회마을
8 엣센스영한사전. (2009). 서울: 민중서림, 1614.
9 정지현. (1994). 포스트모더니즘에 의한 패션의 양식 및 그 변화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교 석사학위논문, 26.
10 정현숙. (2009). 현대패션에 나타난 에스닉스타일 분석. 복식문화연구, 17(6), 1047-1058.   과학기술학회마을
11 조성희, 최인영. (2010). 실내디자인에서 'Mix & Match'의 속성 및 표현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9(1), 55-62.   과학기술학회마을
12 한숙연. (2004). Mix & Match 컨셉을 적용한 복합문화 공간 실내계획.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간문자. (1995). 저항패션이 모패션으로 전이된 현상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
14 권상구. (2002). 기초디자인. 서울: 미진사, 91
15 김민자. (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1). 복식, 37, 104   과학기술학회마을
16 김보영. (2005). 현대 패션에 나타난 믹스 앤 매치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17 김문숙, 김현주. (1997). 하위문화를 중심으로 현대패션에서 나타난 크로스오버.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 연구논문집, 158.
18 김소정. (2006). Mix & Match 스타일 소재 코디네이션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19 김양현. (2006). 스포티즘패션이 활용된 매치리스 스타일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13, 50-56.
20 김윤경. (2002). 퓨전 디자인의 속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21 김정애. (1996). 20세기 후반에 나타난 사이버 패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6.
22 김주연, 이효진. (2005). Alexander McQueen의 패션 작품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경향분석. 복식문화연구, 13(2), 112-113, 117-123.   과학기술학회마을
23 김칠순, 유희정. (2006). 1996년 이후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4(3), 457-468.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