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934/KJHE.2010.19.2.285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as a Function of Child Sex  

Lim, Youn-Jin (Dept. of Child Care & Education, Dong Seoul College)
Lee, Eun-Kyung (Dept. of Child Care & Education, Dong Seoul College)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19, no.2, 2010 , pp. 285-29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their emotion regulation. The subjects were 122 1st grade students selected from one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Teachers rated each child using the Emotion Regulation Scale (Lee, 1997) and School Adjustment Scale (Chi & Jung, 2006).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s. Th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were differed by sex of the child. The girls were assessed to be better adapted in emotion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than the boys. Th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th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predicted how well they would adjust to school life.
Keywords
school adjustment; emotion regulation; child's sex;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지숙. (2008). 아동의 기질, 정서조절 능력, 어머니의 양육 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이윤미. (2007). 부모의 정서표현 및 아동의 정서조절과 아동의 학교적응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정대현, 지성애. (2006).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 과정에 대한사례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0(1), 207-227.
4 최영자. (2008).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Cole, P. M., Michel, M., & Teti, L. (1994).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A clinical perspective. In N. A. Fox(Ed.).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s (pp. 53-72).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vol. 59, nos. 2-3, serial no. 240).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 김용래. (1993). 학업성취에 대한 기여변인의 영향력 분석.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민영순. (1995). 가정환경 및 학급 사회의 심리적 환경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배숙진. (1998). 청소년에게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개념, 학교적응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브론펜브르너, 유리. (1979). 인간발달 생태학. 이영 옮김(1992). 인간발달 생태학. 서울: 교육과학사.
10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4).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하우.
11 오희옥, 오선영, 김영희. (2007). 유아의 공격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훈육방식 및 유아의 정서조절력. 대한가정학회지, 45(2), 1-22.
12 유윤희. (1994). 학교적응, 불안, 학업성취 간의 관계 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윤종옥. (1997). 가정의 가정환경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윤지원. (2009).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병래. (1997). 부모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이인학, 최성열. (2009).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사회성이 학교적응에 대한 상대적 예측력, 아동교육, 18(4), 47-56.
17 강은화. (2009).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자기조절능력 및 학교적응 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진숙. (2004). 취학전 시기의 모-자녀 관계, 교사 및 또래 관계가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기종단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333-357.
19 임연진. (200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 110-124.
20 임정순. (1993). 아동의 의존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김경회, 황혜정. (1999). 교사의 평정에 의한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9(2), 141-156.
22 강지흔. (2003).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교육학사전 편찬위원회. (1965). 교육학사전.
24 권성은. (2003). 초등 학생의 정서지능과 학업 성취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2(2), 163-176.
25 정미영. (2007).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27 Saarni, C. (1990). Emotional intelligence: How emotions and relations become integrated. In Tompson, R.A.(Eds.). Socioemotional Development (pp. 115-182). Linc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8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58-211.
29 Salovey, P., & Mayer, J. D. (1996).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Salovey, P., & Sluyter, D.(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New York: Basic Books.
30 Thompson, R. A. (1994). Emotional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pp. 25-52).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vol. 59, nos. 2-3).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1 주현정. (1998).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지성애, 정대현. (2006). 초등학교 일학년용 학교적응 척도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7(1), 1-15.
33 차유림. (2001).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최옥희, 김용미. (2008). 아동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과 학업성취 차이에 대한 연구, 아동교육, 17(2), 275-285.
35 Calkins, S. D. (1994). Origin and outcom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In N. A. Fox(Ed.).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s (pp. 53-72).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vol. 59, nos. 2-3, serial no. 240).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