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Conservation of an Endangered Corylopsis coreana Uyeki in and ex situ and Development of Cooperative Model within Local Community - III. Populational Comparison Between Natural Groups and Deforestation Groups of Corylopsis coreana UYEKI  

Lim Dong-Ok (Dept. of Life Sciences, Honam Univ.)
Hwang In-Chon (Dept. of Biology, Graduate School, Honam Univ.)
Choung Heung-Lak (Associate fellow of Korea Environmental Institute)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20, no.2, 2006 , pp. 227-23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comparison of Corylopsis coreana populations between natural groups and deforestation groups is carried in five regions such as Seungju, Woldeung, Hwangjeon in Suncheon, Myeongseok in Jinju and Mt. Baegun in Pocheon. The number of sprouting per both $100m^2$ and each individual stump were appeared more in deforestation than in natural groups. In contrast, the height and the diameter of individuals by the number of sprouting are higher and larger in the natural group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vegetation in the two groups of C. coreana populations was not appeared. Corylopsis coreana are propagated sprouting as well as seedling in deforestation groups located an opening area. Because of the powerful environmental adaptability through growth of the sprouting and the seedling in deforestation groups, the population of C. coreana are not extinction of species oneself, and on the contrary are showed expansion of C. coreana population after temporary disturbance.
Keywords
SPROUTING; INDIVIDUALS; FLORISTIC COMPOSITION; SEEDLING; ENVIRONMENTAL ADAPTABI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정환, 강호철, 안현철,조현서(1999) 한국특산 히어리 군락의 식생구조와 맹아지 동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3): 280-287
2 이지훈, 박태호(2002) 남해지역의 식생-망운산, 송등산, 금산, 대방산-. In : 제2차 자연환경 전국기초조사. 환경부, pp.52-78
3 이호준, 방제용(1997) 포천철원지역의 식생. In: 제2차 자연환경 전국기초조사. 환경부, pp. 1-53
4 임형탁, 홍행회(1998) 조계산(보성.순천)과 인근산지의 식물상. In: 제2차 자연환경 전국기초조사. 환경부, pp. 1-26
5 김철환, 한미경(1997) 희아산(전남 순천.곡성)의 식물상. In: 제2차 자연환경 전국기초조사. 환경부, pp.1-31
6 김인택, 김재진(2002) 산청.구례 지역의 식생-천왕봉, 왕등재, 1024고지, 웅석봉-. In : 제2차 자연환경 전국기초조사. 환경부, pp.118-174
7 심경구, 하유미, 이원한, 김영해, 김동수(2003) 한국특산 희귀식물 히어리의 분포 및 형태적 특성. 한국원예학회지 44(2):260-266
8 임동옥, 윤경원, 신정식, 박양규, 유윤미, 황인천(2003) 전주-광양간고속도로(구례-순천간)건설사업 계획 노선주변 히어리 분포실태 및 보존방안 조사보고서. 한국도로공사, 155쪽
9 노일(2004) 한국 특산식물 히어리 군락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쪽
10 임동옥, 정흥락, 김종홍, 황인천, 김철환, 이현우(2005b)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발. II. 순천(전남) 청소골지역 히어리 개체군의 분포특성 및 동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3): 269-278   과학기술학회마을
11 이창복(200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상권) 914p., (하권) 910p
12 임동옥, 황인천, 정흥락(2005a)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발. I.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162-176   과학기술학회마을
13 환경부(2005) http://www.me.go.kr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제2조 관련)
14 홍석표, 최한수(1997) 광덕산(포천.철원)과 인근산지의 식물상. In: 제2차 자연환경 전국기초조사. 환경부, pp.1-47
15 김휘, 강우창, 이길훈, 최윤자, 장진성(1998) 희귀식물, 히어리 생태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수목원 연구보고 18: 4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