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alysis of the Change of the Flora and Vegetation Association of Ui Island Sand Dune  

Beon, Mu-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20, no.1, 2006 , pp. 41-5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flora of Ui Island sand dunes, consisting of 142 taxa; 52 families, 108 genera, 124 species, 15 varieties, and 3 forms. The total plants of floral region that were identified were 16 taxa; Elymus mollis, Salsola collina, and Farfugium japonicum in Class III; Ischaemum anthephephoroides, Carex kobomugi, Glehnia littoralis, Messerschmidia sibirica, Machilus thunbergii, Elaeagnus macrophylla, and Aster spathulifolius in Class I . Naturalized plants were 11 taxa; 7 families, 10 genera and the naturalization degree was 7.8%. On the Donmok seaside area, the coverage rate was about $20%{\sim}25%$ in 2002, but this time it had increased to more than three times or $65%{\sim}75%$. Also, on the Sungchon seaside area, the coverage rate was about $15%{\sim}20%$ in 2002, but this time it was $70%{\sim}75%$ as a result of the rapid increase of Zoysia macrostachya and Carex kobomugi. Pungseong sand dune area showed a monotonous state in variety and number, because of the strong wind and repetition of sand income and outcome.
Keywords
SPECIFIC PLANT SPECIES; COVERAGE; SAND PLANT; PUNGSEONG SAND DUN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철환(1999) 제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 지침-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포함한 식물상-. 환경부. 244쪽
2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184쪽
3 정태현, 이우철(1965) 한국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10:329-430
4 Dierschke, H.(1994) Pflanzensoziologie-rundlagenund Methoden-. Verlag Eugen Ulmer Stuttgart. 683pp
5 Pfadenhauer, J.(1993) Vegetations kologie-Ein Skriptum-. IHW-Verlag. 301pp
6 전남대학교 해양연구소(2000) 우이도 풍성사구의 형성과정 및 주변 해양환경 활용방안에 관한 학술연구. 신안군, 411쪽
7 양인석, 김원(1972) 한국남부도서에 대한 상록활엽수의 분포와 기후요인과의 관계. 식물분류학회지 4(1-2):11-18
8 환경부(2002) 해안사구보전.관리지침. 환경부, 50쪽
9 전승훈(1997) 특정식물종 평가 및 조사지침. 환경부, 216쪽
10 이일구(1981) 우이도 식물상의 생태학적 연구. 건국대학술지 25(2): 33-53
11 沼田眞(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 ライブラリ-13. 大日本圖書. 東京, 160쪽
12 Curtis,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v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476-496   DOI   ScienceOn
13 조영환, 곽행구(1996) 도시자연공원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목포시 유달산 도시자연공원을 사례로-. 한국정원학회지 14(1):79-96
14 김계환, 박종민(1998) 변산반도국립공원내 순비기나무군락의 생육환경 및 형태적 특성. 환경생태학회지 12(1):91-101
15 양인석, 김원(1971) 완도의 상록수에 대하여. 식물분류학회지 3(1-2):29-32
16 이창복(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17 오현경, 김영하, 변무섭, 박준모(2005) 신두리해안사구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1):37-48
18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der Vegetadion stunde. Wien. 865pp
19 변무섭, 박준모(2002) 우이도 사구의 식물상 및 비오톱보전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4): 93-101
20 김철수, 장윤석, 오장근(1987) 우이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 연안생물연구 4(1) 1-29
21 전라남도(1992)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식생. 전라남도, 101-114
22 서종철(1998) 한국의 사막 신두리 파괴 위험수위. 환경과 조경 117(1):80-85
23 양인석, 김원(1970) 남해군의 식물상. 식물분류학회지 2(1-2):1-10
24 오현경, 김용식, 고명희(2005) 경상남도 남해군 물건리.미조리 방풍림의 식물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3):246-257   과학기술학회마을
25 오장근, 김진식(1995) 고하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 연안생물연구 12:145-162
26 김삼식, 박광우, Kirkham, A.S.(1989) 남해도의 관속식물 분포 조사. 경상대학교 농업연구소보 23: 77-106
27 이일구(1979) 서해 도서지방의 상록활엽수의 분포와 보존상태에 관하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연구보고서 1:79-91
28 박선주, 박성준(2004) 소록도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4): 392-398
29 이창복, 이용보, 이창희(1980) 신안군 도서지역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종합학술조사보고서 16:3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