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Tolerance to the Soil Properties and Water Contents of Vitex rotundifolia Seedlings for Extension of Rehabilitation Plant  

Park Chong-Min (전북대학교 산림과학부)
Kim Do-Gyun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18, no.3, 2004 , pp. 316-32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usability of Vitex rotundifolia as an afforestation and landscaping plant on destroyed slopes, sandyhills of sea boards, and places in need of landscap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eedlings and rooted cuttings of Vitex rotundifolia in soils of varying properties and water content ere studied. In three test soils, with a water content of 5% each, the survival rate was more than 70ole for seedlings and more than 40% for rooted cuttings. This demonstrates that Vitex rotundifolia is a very strongly xeric tree species. The length of stem, the diameter of root stock, leaves, and the length of root increased in all the three types of soil as the quantity of soil water increased. The difference of the growth in response to the water content of the soil was most pronounced in the length of the stem. The growth of seedlings was most notable in the weathered granitic soil. The sea sand and the red silt loam came second and third,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major difference in the three test soils. Thus, Vitex rotundifolia appears well-suited to several soil properties and soil water quantities, which makes it very useful as an afforestation and landscaping plant in various sites.
Keywords
GROWTH; SOIL PROPERTY; SOIL WATER CONT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세천. 박종민 (1988) 암석황폐지의 녹화 및 경관보구를 위한 조경사방공학적 연구- 전북지방 채석장을 중심으로-. 전북대 논문집(자연과학편), 3: 141-154
2 김용식, 오구균, 김도균, 신현탁(1999) 수목의 가뭄극복을 위한 식재지 관리방안-광양지역을 중심으로-.자원문제연구 18(1): 8-13
3 박종민(1992) 절개지 토양의 수분조건이 등나무 유모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3쪽
4 박호건(1987) 사방시공법의 변천에 관한 연구(II) -사방조림 관계를 중심으로-. 충북대 농과연보 5(21): 31-71
5 우보명(1983) 도로비탈면의 경관안전을 위한 기본모델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61: 69-79
6 Sheldon, J.C.(1975) The reclamation of slate waste. Nature. 14(3): 159-168   DOI
7 김의영, 김남춘, 강진형, 배선우(2002) 급경사비탈면의 녹화공법 개발- 종자부착 리핑네트공법을 중심으로-.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4):61-69
8 강태호, 안영희, 박용환(2001) 생태적 절개비탈면 조성을 위한 녹화공법 개선방안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2): 26-35
9 김원(1977) 수분공조절에 있어서 아까시나무의 내건성과 생장에 관한 연구. 경북대 논문집. Vol.23,177-197쪽
10 농어촌진흥공사(1996) 한국의 간척. 농어촌진흥공사, 316-344쪽
11 구본학, 안건용(1993) 임해매립지내 조경수목의 하자요인에 인한 연구. 서울대학교. 농학연구지 18(2): 83
12 김도균(2000) 임해매립지의 조경수목 생장 특성 -광양만의 곰솔과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2쪽
13 김계환. 박종민 (1998) 변산반도국립공원내 순비기 나무 군락의 생육환경 및 형태적 특성. 환경생태학회지 12(1): 91-101
14 서병수, 김세천, 박종민, 이규완 (1988) 개발훼손지의 녹화 및 경관복구를 위한 조경사방공학적 연구 (I) -시공설계 관계요인 분석-. 도시및 환경연구 (전북대학교) 3: 105-123
15 이준우, 김남춘, 남상준, 박종민, 차두송(2003) 석회석 광산의 식생녹화공법에 관한 고찰- 일본 이부키광산과 부코우관산의 사례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6): 72-85
16 이호준, 김원, 이일구 (1975) 싸리나무에 있어서 수분공급량이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물학회지 18(4): 143-149
17 김원, 조영호(1984) 수분공급조절에 의한 박태기 나무의 내건성관 생장에 관한 연구. 경북대 논문집(자연과학), Vol.38, 163-169쪽
18 산림청(1989) 황폐지복구사, 9-13쪽
19 홍경혜, 김원 (1982) 수분공급조절에 의한 족제비싸리의 생장과 내건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5: 123-131
20 이천용(1986) 우리나라 황폐지 복구사업의 변화와 사방효과에 관한 연구. 자연보존 55: 24-30
21 Sheldon, J.C. and A.D. Bradshaw(1976) The reclamation of slate waste tips by tree planting. Landscape Design 113: 31-33
22 유의열(1990) 임해매립지의 조경수목 식재와 활착에 관한 연구 - 인천직할시 남동공업단지를 중심으로-.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47쪽
23 박종민, 박을수(2001) 해안사구 녹화식물 개발을 위한 순비기나무의 생장특성 및 번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1): 57-68
24 김세천, 서병수, 박종민, 이창헌, 이규완 (1990) 공원도로 비탈면의 유형별 안정녹화공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농대 논문집, 21: 93-106
25 김남춘, 윤중서, 배선우, 손원주, 정성철(2002) 비탈면 조깃수림화를 위한 녹화용 식물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6): 72-85
26 岩川乾夫(1978 )播種工における 緑化不良要因と 植被の保育. 林業技術 435:11-14
27 本間啓(1973) 綠地學硏究 東京大學農學部園藝第二 (綠化學)硏究室) 4: 107
28 김도균, 박종민(2004) 광양만 바다 준설 매립지 느티나무의 식재지반별 토양 이화학적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1(6):8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