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ctual Vegetation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 of the Baekdudaegan from the Namdeogyusan to the Sosagogae, Korea  

오구균 (호남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최송현 (밀양대학교 조경학)
박상규 (호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
김성현 (호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18, no.2, 2004 , pp. 167-17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tual vegetation and the DGN(Degree of Green Naturality) from Namdeogyusan of the Deogyusan National Park to Sosagogae in the Baekdudaegan in 2003. The actual vegetation of the surveyed site were classified into 14 plant communities and cropland, etc.; Natural forest were classified into 9 plant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mixed forest, deciduous broadleaf plant communities,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etc. And afforested lands were classified into 4 forest types; Larix leptolepis communities, Pinus rigida communities, etc. The DGN 9 was appeared the widest area as 57.97% and the DGN 8 was 26.80%. The DGN 1 and 2 were appeared as 5.18% at Sosagogae and Paejae district in outside of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eywords
DEOGYUSAN NATIONAL PARK; NATURAL FOREST; AFFORESTED LAN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4) 덕유산국립공원 자연보전지구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7(2): 164-171
2 박인협, 문광선, 최영철(1994) 덕유산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 부위에 따른 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7(2): 181-186
3 산림청(2002)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조사 및 관리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279쪽
4 산림청(2003) 백두대간의 관리범위 설정 및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252쪽
5 산림청(1996) 임상도 1/25,000( 거창,농산, 대덕, 무풍, 안의, 웅양,장기)
6 산림청(1998) 임상도 1/25,000(송계)
7 오구균, 최송현, 나경태(2003) 백두대간 만복대-복성이재 구간의 현존식생 및 녹지자연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1): 26-34
8 환경부 (2001b) 제 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 지침-식물상, 식생-, 129쪽
9 김갑태, 김준선, 추갑철, 진운학(1994) 덕유산국립공원 백련사 - 향적봉지구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7(2): 155-163
10 김갑태, 추갑철(1999)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구상나무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 70-77
11 산림청 (2000) 임상도 1/25,000(적상)
12 환경부 (2002)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관리범위 설정올 중심으로 (2차년도)-, 323쪽
13 산림청(2001)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보전 및 훼손지 복원 방안 조사 연구, 306쪽
14 산림청,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602쪽
15 오구균, 박석곤(2002)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44-343
16 이경재, 최송현, 조현서, 이윤원(1994) 덕유산 국립공원의 산림식생구조분석-백련사-금포탄 지역을 중심으로-. 응용생태연구 7(2): 135-154
17 환경부 (2001a)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관리범위 설정을 중심으로(1차년도)-, 86쪽
18 환경처(1993) 현존식생도 1/50,000 (무주, 무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