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846/JKOSMEE.2011.14.1.001

The Evaluation of the Water Quality in Coastal Boundary on Tidal flat  

Jun, Sue-Kyung (Jeollanamdo Marine-Bio Research institute)
Kim, Chong-Ki (Jeollanamdo Marine-Bio Research institute)
Kim, Yun (Jeollanamdo Marine-Bio Research institute)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v.14, no.1, 2011 , pp. 1-1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quality on the coastal boundary on tidal flat, field observations between 2008 and 2009 were undertaken twice a month at five coastal areas (Muan bay, Tando bay, Hampyeong bay, Shinan Jido and Yeongkwang coastal areas). Yearly water temperature difference was large with the range between $1.3^{\circ}C$ and $31.1^{\circ}C$. Salinity was about 32 but was the lower less than 20 for the heavy rainfall season. DO was high in winter and low in summer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pH represented the variation similar to DO. Suspended solid was averagely high over 100 mg/l in Yeongkwang coastal area, especially. COD did not revealed large variation with the value of about 1 mg/l. DIN and DIP concentration were high when freshwater was highly input in summer. DIN concentration was low for winter and early spring but DIP concentration did not show the seasonal variation with the continuous increase from July 2009 to December 2009. Chlorophyll a appeared high for spring with approximately $10\;{\mu}g/l$ and was higher for summer in Yeongkwang coastal area than other sites. The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nduct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observed in study areas showed the distinguishable features as follows. The freshwater input fluctuation appeared as the first factor in Muan and Tando bays, and the change of water temperature was the first factor in Shinan Jido and Yeongkwang coastal areas. The influence mixed with the variation of freshwater outflow and the change of water temperature in Hampyeong bay was to be the first factor.
Keywords
Coastal boundar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Tidal fla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진재율, 염기대, 오재경, 김종학, 1996,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의 해저퇴적상 변화에 관한 고찰", 한국해양환경공학회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95-101.
2 해양수산부, 2002, "해양환경공정시험법".
3 황선도, 임양재, 김용철, 차형기, 최승호, 1998, "서해 영광연안 수산자원 I.주목망 어획자원의 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Vol. 31, No. 5, 727-738.
4 이희준, 박은순, 이연규, 정갑식, 추용식, 2000, "만 입구에서 부유퇴적물 거동과 플럭스: 한반도 서해 남부 함평만의 여름철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ol. 5, No. 2, 105-118.
5 윤석태, 고영구, 류상옥, 1999, "함평만 표층퇴적물과 금속원소들의 분포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Vol. 8, No. 6, 677-684.
6 임동일, 정회수, 추용식, 박광순, 강시환, S-Y YANG, 2002, "한국 서해 남부 함평만의 해안선 변화 연구 I. 해안절벽의 침식과 후퇴",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ol. 7, No. 3, 148-156.
7 임주환, 문형태, 박래환, 최휴창, 전인성, 2005,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의 조간대 및 조하대 대형저서동물의 분포특성", 한국수산학회 춘계학술대회, 87-88.
8 정용훈, 김영태, 채윤주, 이충원, 고경란, 김소영, 정주영, 양재삼, 2005, "금강하구의 장기관측 자료 분석", 한국해양학회지, Vol. 10, No. 3, 139-144.
9 장진호, 김여상, 조영길, 1999, "해안침식이 우세한 반폐쇄적 조간대의 퇴적작용 : 한국 서해안의 함평만",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ol. 4, No. 2, 117-126.
10 전라남도, 2009, "해양수산통계수첩", pp.43.
11 조은섭, 최용규, 2005, "남서해역의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환경과학회지, Vol. 14, No. 2, 177-184.
12 조주환, 김백운, 임동일, 2001, "항공사진을 이용한 서남해 함평만의 해안선 변화 관측", 한국지구과학회지, Vol. 22, No. 4, 317-326.
13 류상옥, 유환수, 김주용, 이인곤, 김민지, 1999, "한국 서남부 탄도만의 표층퇴적물 분포와 동계동안 부유퇴적물의 운반양상", 한국지구과학회지.
14 임현식, 최진우, 2001, "한국 서남해역 함평만 조하대의 가을철 저서동물 군집구조", 한국수산학회지, Vol. 34, No. 4, 327-339.
15 은고요나, 2000, "영광 원자력 발전소 주변해역 표층퇴적물의 입도와 원소분포 특성", 자원환경지질, Vol. 33, No. 3, 195-204.
16 류상옥, 유환수, 김민지, 문병찬, 1998, "한국 서해 남부 함평만의 퇴적환경", 한국지구과학회지, Vol. 19, No. 3, 343-353.
17 류상옥, 유환수, 이종덕, 1999, "함평만 조간대의 표층퇴적물과 집적률의 계절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ol. 4, No. 2, 127-135.
18 류상옥, 장진호, 이희준, 조영조, 최옥인, 2009, "조석환경 변화에 의한 표층퇴적물의 시공간적 분포변화: 한국 서해안의 무안만",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ol. 14, No. 1, 10-21.
19 류상옥, 김주용, 유환수, 2000, "반폐쇄된 무안만에서 부유물질의 계절적 변동 및 운반양상", 한국지구과학회지, Vol. 21, No. 2, 128-136.
20 노일현, 오석진, 박종식, 안영규, 윤양호, 2010, "여수 엑스포 해역의 생물.화학적 해양환경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 13, No. 1, 1-11.
21 류상옥, 김주용, 장진호, 2001, "서해남부 무안만의 표층퇴적물의 분포와 조간대 퇴적률", 한국지구과학회지, Vol. 22, No. 1, 30-39.
22 김동선, 최상화, 김경희, 김철호, 2009,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부유물질과 입자성유기단소의 분포 특성 및 연간변화",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31, No. 2, 219-229.   DOI   ScienceOn
23 이대선, 조현서, 이규형, 이문옥, 2003, "무안반도 연안수질의 시.공간적 변동과 소규모 방조제의 영향",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 6, No. 2, 24-36.
24 Moon, C.H., 1990, "Studies on the Phytoplankton and Nutrients in the Yeosu Haeman", J. Kor. Fish. Soc., Vol. 22, 408-414.
25 Ryu, S.O., H.J. Lee and J.H. Chang, 2004, "Seasonal cycle of sedimentary process on mesotidal flats in the semienclosed Muan Bay", southern west coast of Korea: culminating summertime erosion. Continental Shlef Reserach, Vol. 24, No. 1, 137-147.   DOI   ScienceOn
26 권정노, 김종구, 유선재, 2000, "하계 금강하구 주변해역의 수질특성과 수질변동 요인분석",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 3, No. 4, 3-22.
27 조현서, 조천래, 박정채, 강원영, 2006, "영광주변해역 해양환경특성에 관한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회, 113-117.
28 이경식, 전수경, 2009, "서해 함평만의 해수 물성구조 및 조류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Vol. 30, No. 2, 247-256.
29 이학영, 2003, "가마미 해수욕장(전남 영광) 갯벌의 미세조류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Vol. 12, No. 7, 715-724.
30 류상옥, 유환수, 전승수, 1997, "한국 서해 남부 함평만 표층 퇴적물의 분포 및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Vol. 18, No. 5, 367-378.
31 박병노, 이제현, 오종민, 이승희, 한지희, 김유미, 서현희, 노열, 2007, "전남 무안 갯벌 퇴적물에 관한 광물학적 및 생지 화학적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Vol. 20, No. 1, 47-60.
32 박용우, 조양기, 1999, "서해안 함평만의 조석에 관한 수치 실험", 한국지구과학회지, Vol. 20, No. 4, 380-387.
33 나정열, 유승협, 서장원, 2000, "서해 제부도 해역의 간조시 갯벌 퇴적층내 지온 및 열수지의 계절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ol. 5, No. 1, 1-9.
34 김태완, 2005, "한국 남서해안 백수 조간대의 열수지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김여상, 장진호, 1998, "한국 남서해안 함평만 조간대의 퇴적작용과 형성과정", 한국지구과학회지., Vol. 19, No. 6, 664-674.
36 김영환, 허성회, 1998, "서해안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군집의 종조성과 생물량", 한국수산학회지, Vol. 31, No. 2, 186-194.
37 김정년, 최정화, 임양재, 최광호, 마채우, 2005, "서해 함평만 십각 갑각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Vol. 38, No. 1, 20-28.
38 Kim, S.H., Song, C.B., Kang, S.H. and Yang, D.B., 1988, "The distribution pattern of nutrients at the cultivation ground of laver in Kwangyang Bay, 1986", Ocean Res. Kor., Vol. 10,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