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emporal Dynamics of Water Quality in Junam Reservoir, as a Nest of Migratory Birds  

Lee, Eui-Haeng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 Kwang-Guk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and nutrient input (N, P) in Junam Reservoir, a nesting waterbody of migratory birds, over 10 years during 1998$\sim$2007 along with dynamic relations of trophic parameters using empirical models. Concentrations of COD averaged 7.8 mg $L^{-1}$ during the study, while TN and TP were $1.4\;mg\;L^{-1}$ and $83{\mu}g\;L^{-1}$, respectively, indicating an eutrophic-hypereutrophic state. Values of monthly COD had strong positive relations (r=0.669, p<0.001) with conductivity, indicating that summer rainfall resulted in an ionic dilution of the reservoir water by rainwater and contributed better water quality. One-way ANOVA tes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5.2{\sim}12.9$, p<0.05) in TN and TP between the before and after the bird migration. In other words, nutrient levels were greater in the absence of migratory birds than in the presence of the migratory birds, suggesting a no-effect on nutrient inputs by the birds. Also, one-way ANOVA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0.37{\sim}0.48$, p>0.05) in $NO_{3^-}N$ and $NH_{3^-}N$ between the before and after the birds migration. Linear empirical models using trophic parameters showed that algal biomass as CHL, had significant low correlations with TN ($R^2$=0.143, p<0.001, n=119) and TP ($R^2$=0.192, p<0.001, n=119).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fluences of nutrients on the CHL were evident, but the effect was weak. This fact was supported by analysis of Trophic State Index Deviation (TSID). Over 70% in the observed values of "TSI (CHL)-TSI (SD)" and "TSI (CHL)-TSI (TP)" were less than zero, suggesting a light limitation on the CHL by inorganic suspended solids.
Keywords
water quality; migratory bird; empirical model; Trophic State Index;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병국, 최종수. 2007. 주남저수지(동양 최대 철새 도래지 그생태 보고서). 지성사
2 김범철, 김윤희. 2004. 아시아 몬순지역의 대형댐(소양호)에서의 인순환과 2차원모델의 적용. 한국육수학회지 37: 205-212   과학기술학회마을
3 김범철, 전만식, 황순진, 김재옥. 1999. 소양호 동, 식물플랑크톤의 계절 변동. 환경연구 16: 292-299   PUBMED
4 농업기반공사. 2001.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 보고서
5 안광국, 신인철. 2005. 산간 계류성 하천의 계절적 수질변동에 대한 몬순강우의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8: 54-62   과학기술학회마을
6 이호원, 이상명, 강현무, 박시섭. 1997. 주남저수지산 인편성 황갈조류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20: 37-47
7 최광순, 김범철, 박주현, 허우명, 임병진, 황길순, 최종수. 2001. 국내 주요 호수의 육수학적 조사(4): 주암호. 한국육수학회지 34: 30-44
8 함규황, 김태좌. 2001. 경상남도 주남저수지에 도래하는 큰 고니 Cygnus cygnus와 고니 Cygnus columbianus의 도래현황. 한국조류학회지 8: 47-53
9 함규황, 손성원. 1998. 경상남도 창녕군 우포늪과 창원군 주남 저수지 일대의 조류분포. 경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12: 261-273
10 Carlson, R.E.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 Limnol. Oceanogr. 22: 361-369   DOI   ScienceOn
11 Fuhimoto, N. and R. Sudo. 1997. Nutrient-limited growth of Microcystis aeruginosa and Phormidium tenue and competition under various N : P supply ratios and temtemperatures. Limnol. Oceonogr. 42: 250-256
12 박희정, 안광국. 2007. 우리나라 대형 인공호에서 영양상태 평가 및 수질 변수를 이용한 경험적 모델 구축. 한국육수학회지 40: 14-30   과학기술학회마을
13 윤일병, 어성준, 김종인. 1989. 경상남도 소재 5개 늪지의 수서곤충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물학회지 7: 19-32   PUBMED
14 Forsberg, O. and S.O. Ryding. 1980. En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receiving lakes. Arch. Hydrobiol. 89: 189-207
15 국립환경연구원. 1999. 호소내 조류 대 발생에 대한 수면제어기술에 관한연구(II). 팔당호 수역을 중심으로 한 제어기술의 개발
16 김범철, 김동섭, 황길순, 최광순, 허우명, 박원규. 1996. 부영양한 낙동강수계에서 유기물오염에 대한 조류 1차생산의 기여도. 한국조류학회지 11: 231-237
17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2005. 효율적인 농업용 저수지 용수확보 및 이용방안 연구
18 안광국, 서진원, ,박석순. 2001. 대청호의 취수탑 주변의 이화학 적, 생물학적 상태에 대한 계절경강우의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4: 327-336
19 김진한, 박진영, 이정연, 유병호. 2001. 철새이동경로 및 도래서식조사. 국립환경연구원보 23: 569-581
20 김호섭, 최은미, 박주현, 황하선, 김범철, 공동수, 황순진. 2008. 농업용 저수지 수질과 경험적 인자들과의 관계. 수질보전 24: 333-339
21 An, K.G. and J.R. Jones. 2000. Factors regulating blue-green dominance in a reservoir directly influenced by the Asian monsoon. Hydrobiologia 432: 37-48   DOI   ScienceOn
22 An, K.G. 2000. Monsoon inflow as a major source of in-take phosphoru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3: 222-229
23 함규황, 김창숙, 김인규. 1999. 최근 10년(’89~’98)간 주남저수지 조류의 종수 및 개체수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조류학회지 6: 127-132
24 유재평, 함규황. 1994. 최근 5년간 주남저수지의 조류분포 연구. 한국조류학회지 1: 95-103
25 Kim, J.K. and W.H. Hong. 1992. studies on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analysi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Man-made lake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 Society 1: 49-57
26 Smith, V.H. 1983. Low nitrogen to phosphorus ratios favor dominance by blue-green algae in lake phytoplankton. Science 221: 669-671   DOI   PUBMED   ScienceOn
27 Carlson, R.E. 1991. Expanding the trophic state concept to identify non-nutrient limited lakes and reservoirs. Enhancing the States's Lake Management Programs. pp. 59-71
28 Mulamoottil, G., B.G. Warner and E.A. McBean. 1996. Wetlands: Environmental Gradients Boundaries, and Buffers. Lewis Publishers
29 구태회. 1994. 서낙동강의 조류. 한국조류학회지 1: 79-81
30 함규황. 2000. 최근 10년(1989~1998)간 주남저수지에 도래하는 조류의 변동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14: 73-84
31 향토문화연구회. 2002. 주남을 지키는 작은 생물. 향토문화연구회
32 박종근. 2005. 대청호의 수질 환경요인과 영양단계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8: 382-392   과학기술학회마을
33 Hwang, S.J., C.G. Yoon and S.K. Kweon. 2003. Water quality and limnology of Korean reservoirs. Paddy and Environment 1: 43-52   DOI   ScienceOn
34 Kratzer, C.R. and P.L. Brezonik. 1981. A Carlson-Type Trophic State Index for Nitrogen in Florida Lakes. Water Resources Bulletin 17: 713-715   DOI
35 박진영, 원병오. 1993. 주남저수지에 도래하는 큰기러기와 쇠기러기의 월동생태.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연구보고 4: 1-24
36 손명원, 전영권. 2003. 낙동강 하류 연안 자연습지의 자연지리적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 66-76
37 함규황, 손성원. 1995. 주남저수지의 저토질과 논우렁이의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생체조직내 중금속 함량의 분석.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환경연구 17: 5-17
38 허우명, 권상용, 이재일, 김동진, 김범철. 2004. 동해안 석호의 육수학적 조사(3): 화진포호. 한국육수학회지 37: 12-25   과학기술학회마을
39 권동희. 2006. 한국의 습지지형 연구 성과와 과제. 힌국지형학회지 13: 25-34
40 최홍근, 이상명. 1987. 주남저수지의 수생관속식물상과 현존량. 환경생물학회지 5: 39-50   PUBMED
41 김진한, 박진영, 이정연, 유병호, 이덕길. 2002. 철새이동경로 및 도래서식조사. 국립환경연구원보 24: 153-164
42 허위행, 이종남, 이인섭, 우용태. 1999. 낙동강 하구의 조류상과 중요 습지로서의 평가. 한국조류학회지 6: 47-56
43 강병국, 최종수. 2006. 한국의 늪. 지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