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249/eia.2012.21.5.715

Simulation of Water Temperature in the Downstream According to Withdrawal Types of Dam using EFDC Model  

Park, Jae-Chung (Miryang Regional Office, K-water)
Yoon, Jin-Hyuk (Human Planet Co.)
Jung, Yong-Moon (Water Resources Business Dept., K-water)
Son, Ji-Yeon (Miryang Regional Office, K-water)
Song, Young-Il (Korea Environmental Institute(KEI))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v.21, no.5, 2012 , pp. 715-72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study, we simulated water temperature in the downstream according to withdrawal types of dam using EFDC model. Three scenarios were assumed as water was released from the surface layer, the middle layer, and the bottom layer at intervals of 10m depth. In case of the surface layer withdrawal, the water temperature rose from March and lowered gradually after it reached a peak in August. The middle and the bottom layers effluence temperatures were lower than the surface layer temperature by maximum $15.9^{\circ}C$(in July), but after September, temperature inversion appeared. It was advantageous for the surface layer withdrawal to decrease cold damage and fog in downstream area and was possible to the middle and the bottom layers withdrawal from August to September. However, the reliability of model should be improved by accumulating the real-time information of water temperature.
Keywords
Cold Damage; EFDC; Selective Withdrawal; Water Temperatur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국토해양부, 2008, 한국수문조사연보.
2 국토해양부, 2012, 내성천 하천정비 기본계획.
3 권형준, 2008, 소양강댐의 레크레이션 편익,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575-582.
4 김유경, 정세웅, 2011, 용담댐 하류하천의 횡방향 평균 2차원 수리.탁수모델링,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7(5), 710-718.
5 김익수, 배경석, 1993, 수온변화 스트레스가 붕어의 무기수은 급성독성에 미치는 영향, 환경생물학회지, 11(2), 169-176.
6 노준우, 김상호, 신재기, 2010, 1차원 동적수질모델을 활용한 용담댐 하류 하천의 수온변동 모의,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6(2), 356-364.
7 농촌진흥청, 2012, 농업기술종합정보(www.rda.go.kr).
8 박재충, 박정원, 신재기, 2006, 안동호의 중층 저산소층 형성의 요인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9(1), 1-12.
9 박재충, 박정원, 신재기, 이희무, 2005, 인공호에서 몬순과 태풍 강우에 의한 고탁수층의 이동과 소멸특성, 한국육수학회지, 38(1), 105-117.
10 박재충, 최재훈, 송영일, 유경미, 강보승, 송상진, 2010, 건설 예정인 댐에서 유역유출과 취수형태에 따른 탁수의 거동 예측, 환경영향평가, 19(3), 247-257.
11 서동일, 서미진, 구명서, 우재균, 2009, EFDC-Hydro와 WASP7.2를 이용한 금강 하류의 수리-수질 연계 모델링, 상하수도학회지, 23(1), 15-22.
12 서동일, 윤종욱, 이재운, 2008, QUAL2E, QUAL2K 및 CAP 모델을 이용한 금강 하류 하천구간 정상상태 수질모델링 결과 비교 분석, 상하수도학회지, 22(1), 121-129.
13 소상영, 허준욱, 이정열, 2008, 수온변화에 따른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의 산소소비, 아가미 호흡수 및 헤모글로빈 변화, 한국어류학회지, 20(4), 239-247.
14 안종국, 1993, 냉수관개가 벼 생육, 수량 및 미질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38(6), 554-559.
15 안종호, 한대호, 2010, 기후변화에 따른 지표수의 수온 영향평가,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6(1), 133-139.
16 연규석, 최예환, 1977, 온수지에 의한 관개용수의 수온상승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농공학회지, 19(1), 4323-4337.
17 유환, 정세웅, 2008, 용담호 유입 하천수온 예측을 위한 단계별 회귀분석모델 개발,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2008년 공동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요약집, 520-521.
18 이승호, 1998, 충주호가 주변지역의 안개 특성에 미친 영향 -충주와 제천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3(2), 165-177.
19 전병일, 김일곤, 이영미, 2002, 낙동강 수계 중의 댐 건설에 의한 주변의 국지기상환경 변화; I. 댐 건설 전.후의 기상변화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11(3), 161-168.
20 정상옥, 오창준, 1999, 벼의 냉수피해 감소를 위한 관개수온 조사와 대책수립, 한국농공학회지, 41(1), 52-59.
21 한정호, 안광국, 2008, 인공댐과 그 영향을 받는 하류하천의 수질변동 역동성: 사례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41(3), 382-394.
22 K-water(한국수자원공사), 2009, 영주다목적댐 환경영향평가서, pp.1435.
23 Cole, T. and Buchak, E. M., 2003, CE-QUALW2: A two dimensional, Laterally averaged,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Version 3.2 user's manual, Instruction report EL-95-1, U.S Army Engineer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Vicksburg, MS.
24 Hamrick, J., 2007, EFDC technical memorandum- Bed Thermal Model
25 K-water(한국수자원공사), 2003, 보령댐 사후 환경영향조사-농작물 냉해조사, pp.44.
26 Morrill, J. C., Bales, R. C., Conklin, M. H., 2005, Estimating stream temperature from air temperature: Implications for future water qua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January, 139-146.
27 Raney, F. C., Hagan, R. M., Finfrock, D. C., 1957, Water temperature in irrigation, California Agriculture, April,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