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249/eia.2012.21.4.573

The Analysis of a Potential Solar Energy Resource Map  

Jeong, Jong-Chul (Dep. Geoinformatics Eng. Namseou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v.21, no.4, 2012 , pp. 573-57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Many countries have recently been expanding efforts for low-carbon global economy to solve the problem of global warming. Development and research for various types of new reusable energy is on the rise throughout the world. The most promising source of energy is the solar photovoltaic energy and the government take an initiative to establish both short-term and long-term policies to develop the solar energy potential resource map. The solar energy and industrialize area researched by GIS methods for optimum site for solar power transfer system. This study attempts to address the hot issue of the development and suitability of the solar photovoltaic energy site using GIS spatial analysis. We need to analyze and describe the solar technology, green energy policies and the energy market trend of the field.
Keywords
global warming; solar energy; potential resource map;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광득 등, 2006,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GIS기반의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및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26(2), 1-116.
2 김호근, 2008, 태양열 이용 및 태양광 발전기술, 한국과학기술연구원 http://www.reseat.re.kr.
3 나덕주, 2009, 일본의 태양광발전 기술개발형향 및 향후 발전전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 류근원 외, 2007, 3차원 GIS를 활용한 도시소음 시각화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9(3), 17-24.
5 조덕기, 강용혁, 2008, 국내 고집광 태양에너지 발전단지 건설을 위한 법선면 직달일사량 자원조사,한국태양에너지학회, 28(1), 209-214.
6 조덕기, 강용혁, 2008, 국내 법선면 직달일사량 자원조사(전일 분석을 중심으로),한국태양에너지학회, 28(2), 51-56.
7 조홍래, 정종철, 2006, GIS를 이용한 연안수질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GIS학회, pp.223-234.
8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2008, 신.재생에너지 R & D전략 2030 시리즈 9 태양광, 에너지관리공단, pp.57-64,
9 이준, 김지인, 2002, 비격자형 자료의 시각화를 위한 등치선도 생성 알고리즘, 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 및 이론, 29(2), 94-104.
10 염종민 등, 2008, MTSAT-1R 자료를 이용한 표면도달일사량 산출, 한국기상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pp.426-427.
11 오희갑, 남시도, 2006, 태양광 발전에 관한 기술동향분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http://www.reseat.re.kr.
12 유호천 외, 2007, FS 통계분석을 이용한 서울, 부산의 표준 일사량 산정,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눈문집, pp.957-960.
13 차주완 외, 1996, 구름 효과를 고려한 지표면 일사량 추정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 pp.147-150.
14 Johnston, K., Ver Hoef, J.M, Krivoruchko, K. Lucas, N., 2001, Using ArcGIS Spatial Analyst, ESRI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