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Analysis of Assessment Factors for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f Dam Project in Korea  

Koo, Jak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Lee, Much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v.13, no.6, 2004 , pp. 307-31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mong large developmental projects, those of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with the total budget of more than 50billion wons can be executed only when the feasibility of the project has been testified through the procedure of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Multi-purpose dams are public structures that can supply water, produce electricity, and control flood, they belong to large national projects that require legal evaluation procedures such as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The index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dam plan is the migration of residents in submerged district. The importance in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is 4.93 points(98.6 in the scale of 100 at maximum). Among the 12 assessment elements of the policy and economy in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the element of environment assessment is turned out to be 4.68 points in the assessment importance (93.5 in the scale of 100 at maximum), which is the second in the total ranking and the first in the field of policy, indicating that the element is very important in dam construction planning.
Keywords
dam project;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EIA; assessment factor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Barrow, C,J., 2000, Social Impact Assessmen-An Introduction, London: Arnorld.
2 양지청, 2003, 대규모 공공투자 사업이 국가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측정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8(4).
3 서병하, 1997, 대담의 환경영향과 평가방법 조사연구, 한국대댐학회, 105-127.
4 최해선, 1999,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진료재료 보험기준 인정을 위한 연구, 연세대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2003, 수자원(댐)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연구(제3판).
6 김광호, 2001, 수자원 개발. 관리의 정책 전환에 관한연구, 동의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황석만, 1999, 댐건설 반대 주민운동에 관한 연구: 인제의 내린천댐 건설 반대 주민운동을 대상으로, 서울대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 영, 김경환, 류태창, 2003,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응급의료시설의 공간 입지분석에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8(4).
9 김성현, 2003, 댐 건설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춘천 물포럼 2003 논문집, 춘천 물포럼 2003 조직위원회.
10 최승업, 2000, 수자원관리와 지방자치단체-수리권제도의 개념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강원개발연구원
11 임범교, 구자건, 2003, 댐 건설 환경의사결정 방법론 비교연구,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18-123.
12 Dunham, R.B., 1998, The Delphi Technique, University of Wisconsin in School ofBusiness(http://instruction.bus.wisc.edu/obdemo/readings/delphi.html)
13 이영진, 2000, 비자발적 이주민의 적응 전략에 관한 연구: 댐 수몰지구 이주민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김광묵, 이승복, 박재홍, 1995, 댐건설에 따른 경제성분석 기법연구, 국토개발연구원.
15 최승업, 2001, 댐 건설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강원발전연구원
16 오대규, 2001, 델파이기법을 이용한 신종 및 재출현 전염성 질환 관리에 관한 연구, 연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찬재, 1984, 충주댐 수몰이주민의 경제적 사회적 변화에 관한 연구 -1차 자유지주한 주민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Martino, J.P., 1993, Technological forecasting for decision making, New York: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