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369/skmc.2011.24.6.091

A Study on The Meaning of Mind(心) in The Four chapters of "Gwanja(管子)"  

Park, Hyun-Ae (Dept. of Oriental Medicine, General Graduate college, Kyunghee University)
Jeong, Chang-Hyun (Dept. of Oriental Medicine Class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Jang, Woo-Chang (Dept. of Oriental Medicine Class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Baik, You-Sang (Dept. of Oriental Medicine Class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v.24, no.6, 2011 , pp. 91-10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four chapters of "Gwanja(管子)" explains the concepts of Do(道), Deok(德), Junggi(精氣) philosophically. Because it contains thoughts about control of Mind(心), it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useful references of ancient chinese philosophy. In this respect, we can think about the connections between the four chapters of "Gwanja(管子)" and Oriental medicine in philosophical perspectives. In the investigating about Oriental medical philosophy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mind(心) is classified from various angles, for example, political, self-improvemental, and physiological. Espesially the physiological meaning of mind(心) may receive attention and meaningful consideration of Oriental medicine.
Keywords
Guanzi four chapters; mind; Daois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周桂鈿. 문재곤 외 역. 강좌 중국철학. 서울. 예문서원. 1992. pp.141-142.
2 박석준, 최승훈. 관자 4편 등에 나타난 정기설 고찰. 동의병리학회지. 1993. 8. pp.177-223.
3 김희정. 관자 4편의 구원론으로서 치신사상. 도교문화연구 제18집. 2003. pp.214-215, 223-224.
4 신정근. 전국시대 2단계 心 담론으로서의 관자 심학의 의의. 동양철학연구 제57집. 2009. pp.223-245.
5 김예호. 직하황노도가의 정치철학 연구 - 관자 4편과 황제사편 도론의 사회적 전개과정 비교 고찰. 중국학보. 2003. 48. pp.597-622.
6 김예호. 직하황노도가의 정치철학적 세계관 연구 - 管子4編의 도론 분석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2003. 33. pp.273-304.
7 박동인. 管子4編과 갈관자의 기화우주론. 철학연구. 2009. 86. pp.33-59.
8 심우섭. 관자 정치철학사상의 현대적 조명. 동양철학연구. 1999. 21. pp.237-271.
9 김광중, 지재동. 황제내경의 정기론 형성에 관한 황제사경의 영항. 동서의학. 2009. 34(3). pp.67-84.
10 양칭. 관자의 도론체계 연구에 대한 종합적 서술. 동서사상연구소논문집. 2010. 8(2). pp.211-224.
11 천인석. 유학사상과 한의학. 동서의학논문집. 2010. 21(2). pp.39-48.
12 정우진. 감응과 한의학. 의철학연구. 2010. 9. pp.19-43.
13 정우진. 상관적 사유의 비판적 고찰. 범한철학. 2010. 58. pp.1-25.
14 김수중. 노자와 황로사상. 동양철학연구. 2006. 47. pp.303-330.
15 김갑수. 황로학에 대한 오해와 진실. 시대와 철학. 1999. 10(1). pp.241-263.
16 정영수. 맹자의 도덕적 자기수양 - 사유능력(思)을 중심으로. 범한철학회. 2008. 48. pp.29-49.
17 김성지. 동중서의 양 중심사상으로의 전환에 대한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p.24, pp.26-30.
18 백유상, 정우진. 유비추리를 통해 본 한의학 이론구성의 과정.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6. 19(4). pp.202-211.
19 김필수, 고대혁, 장승구, 신창호. 管子. 서울. 소나무. 2006. p.16, p.446, p.506, p.508, pp.514-520, pp.523-524, pp.605-606, pp.612-614, p.645.
20 黎翔鳳. 管子校注. 中華書局.
21 야마다 게이지. 전상운 외 역. 중국의학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서울. 사이언스북스. 2002. pp.92-94, pp.107-112, pp.116-118.
22 유장림 지음. 조남호 외 역. 강설 황제내경. 서울. 청홍. 2009. pp.24-29, pp.228-229, pp.240-244.
23 앤거스 그레이엄. 나성 역. 도의 논쟁자들 : 중국 고대 철학 논쟁. 서울. 새물결 출판사. 2003. pp. 182-191.
24 김충열. 김충열 교수의 중국철학사 1 : 중국철학의 원류. 서울. 예문서원. 1994. pp.96-99, pp.240-285, pp.292-296.
25 F.W.모트. 김용헌 역. 중국의 철학적 기초. 서울. 서광사. 1994. pp.157-164.
26 김교빈 외. 동양철학 에세이. 서울. 동녘.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