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Acupuncture list of "Hangyakjipseongbang"  

Eom, Dong-Myung (Dept. of Class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Sim, Hyun-A (Dept. of Class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Song, Ji-Chung (Dept. of Class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v.23, no.6, 2010 , pp. 87-9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cupuncture list of "Hangyakjipseongbang" had written based on "Zhenjiuzishengjing". However, there are only 258 acupuncture points instead of 364 full points. In the text, there are 8 prohibited points for moxibustion and 7 prohibited points for acupuncture. Also there are rules about depth & period of acupuncturing, about careful selecting of points for children and the pregnants and about the methods of acupuncturing by using supplementation and draining.
Keywords
Hangyakjipseongbang; Acupuncture; Zhenjiuzishengj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王執中. 鍼灸資生經. 서울. 일중사 影印. 1991.
2 한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한의학대사전 의사문헌편. 서울. 동양의학연구원출판부. 1985.
3 이태호. 향약집성방. 서울. 행림출판사. 1977.
4 허봉희. 鄕藥集成方의 藥學的 硏究와 DATABASE化. 진단학보 87. 1999.
5 이태진. 향약집성방 편찬의 정치사상적 배경과 의의. 진단학보 87. 1999.
6 정면. 향약집성방의 편찬에 대한 소고. 대한원전의사학회지 5권. 1991.
7 김중권. 향약집성방의 인용문헌 분석. 서지학연구 35집. 2006.
8 出版科學綜合硏究所. 鍼灸資生經 一. 鍼灸醫學典籍大系 제8권. 大阪. コ一ディツク. 昭和54年.
9 김남일. 중국침뜸의학의 역사. 서울. 탐구당. 1997.
10 김두종. 한국의학사. 탐구당. p. 216 요약. 1981.
11 김호. 여말선초 향약론의 형성과 향약집성방. 진단학보 87. 1999.
12 남풍현. 향약집성방의 향명에 대하여. 진단학보 87. 1999.
13 이경미. 남북한 한의학 전문용어 비교 - 국역향약집성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4 김남일, 향약집성방의 인용문헌에 대한 연구, 진단학보 87. 1999.
15 강연석, 안상우, 향약집성방 중 상한문의 본초분석을 통해 본 조선시대 향약의학.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8권 2호. 2002.   과학기술학회마을
16 강연석, 안상우, 향약집성방 중 향약본초의 특성과 성취.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8권 1호. 2002.   과학기술학회마을
17 강연석, 안상우. 鄕藥集成方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원문의 전산처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7권 1호. 2001.
18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48기 졸업준비위원회. 새천년향약집성방. 서울. 정담.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