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Food Ingredients to Danbang prescription of "Dong-uibogam(東醫寶鑑)"  

Ji, Myoung-Soon (Dep. of Academic Research,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versity)
Yoon, Chang-Yeol (Dep. of Academic Research,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v.23, no.1, 2010 , pp. 279-30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Spices are used to enhance the taste of Korean food. The term "Yangnyeom" contains a wishful meaning that it would be as good for health as medicine when eaten. It is prescribed as a medicine to heal disease according to the ancient medical books. Fifteen spices in Korean food such as vinegar, liquor, honey, water, wheat-gluten, sesame, sesame oil, garlic, green onion, ginger, mustard, pepper, cinnamon, soy sauce, salt, cheoncho, and others are prescribed as medicine for internal and external uses for almost every disease. To examine these spices, the subjects were treated with either the spice-boiled water or spice-mixed water, or applied externally. It is suggested that spices that are produced through peculiar traditional cooking method, fermenting, and those that have long-growth period, grew i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like have efficacy as medicine. Spices can be sufficiently applied as emergency medicine, disease-treatment, subsidiary supplement, and preventive medicine.
Keywords
Danbang(單方); Dong-uibogam(東醫寶鑑); Yangnyeom; traditional cooking method;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손숙미, 박영숙외 3인. 24시간 소변분석과 음식 섭취 빈도지를 사용한 우리나라성인들의 나트륨 섭취량과 지역별. 음식군별 나트륨 섭취량의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7. 12. pp.545-558   과학기술학회마을
2 Entani E, Shibata k, Kawamura Y, Masai H. Microbicidal effect od awasezu. Nipp. 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1981. pp.387-392.
3 손무호, 이주연. 겨자 분말과 겨자유의 품질 향상을 위한 가공조건의 표준화. 한국조리학회. 2006. 12(4), pp.131-139.
4 윤희남. 식초의 종류별 화학성분의 특징. 한국식품과학회회지. 1999. 31(6). pp.1440-1446.
5 이윤경, 신현만. 마늘의 기능성 품질과 토양 성분 간의 관계. 한국식품과학회지. 2008. 40(1).pp.31-35.   과학기술학회마을
6 장지현. 식초의 역사. 한국식품과학회지. 1984. 17(1). pp.5-15.
7 이숙영, 이혜수. 향신료에 의한 생선 비린내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 ; 식초 및 생강의 효과에 관하여 한국식품과학회지. 1979. 11(2).pp.126-130.
8 서지우, 조정용외 5인. GC-MS에 의한 대파의 항상화 물질 동정. 한국식품과학회지. 2003.35(5). pp.988-993.   과학기술학회마을
9 이원정. 소금과 고혈압. 동아시아 식생활학회.1999. pp.378-385.
10 이득찬, 이상영외 3인. 강원도 토종꿀의 식품학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1997. 29(6).pp.1082-1088.
11 김영숙, 박영숙. 한약재를 첨가한 전통주개발에 관한 연구. 식품과학과 산업. 2007. 40(20). pp.83-89.
12 박정리, 채경연, 홍진숙. 쌀가루의 종류와 농도를 달리한 찐 흑임자 첨가 흑임자죽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7. 23(6). pp.919-929.   과학기술학회마을
13 김 호. 16世紀末-17世紀初 醫書編纂의 背景과 許浚의 東醫寶鑑.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 p.61.
14 안찬영, 현규환, 박근형. 검은깨의 항산화 활성물질. 한국식품과학회지. 1992. 24(1). pp.31-36.
15 류수노, 이정일외 2인. 참깨의 항산화 물질함량과 주요성분 및 종실특성간 상호 관계. 한국육종학회지. 1993. 24(4). pp.303-307.
16 김정숙, 고무석외 3인. 한국산 생강의 휘발성 향기성분. 한국식품과학회지. 1991. 23(2). pp.141-149.
17 박우포. 쌀가루와 쌀물엿 고추장의 숙성중 품질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1994. 26(1).pp.23-25.
18 허 준. 신편․대역 동의보감. 법인문화사. 2005. p.3335, 3341, 3342, 3419, 3465, 3479, 3572, 3628.
19 신현옥. 민간 체험으로 전래된 단방 요법. 한국노년학연구회지. 1994. pp.133-138.
20 김인락, 엄태원. 계피류의 효능에 대한 이론적 연구. 동의한의학연구소. 2003. pp.33-39.
21 윤서석. 한국음식의 용어. 서울. 민음사. 1991. p.18, 171, 320, 344, 349, 356, 358, 359, 382, 439.
22 황혜성. 조선왕조궁중음식. 서울. 궁중음식연구원. 2004. p.190.
23 신동화. 발효와 소금. 발효. 2006. 2(3). p.73.
24 김영주, 한영실. 전통주 이용 실태 및 활성화 방안.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6. 21(1).pp.31-41.   과학기술학회마을
25 김승진, 백지영외 2인. 한국 전통약주의 위보호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004. 36(5). pp.818-822.   과학기술학회마을
26 추주원저 임진석옮김. 본초소증. 서울. 대성의학사. 2001. p.359, 493, 193.
27 정지천. 하루 다섯 톨의 자신감 마늘. 서울. 웅진윙스. 2007. p.19.
28 조창숙외 19명. 한국음식 대관. 서울. 한림출판사. 1999년. p.109, 114, 122, 126, 127, 131.
29 정한진. 향신료 이야기. 서울. 살림. 2006. pp.64-65.
30 조종관. 마늘과 건강. 식품저장과 가공산업. 2008. 70(1). pp.1-8.
31 최춘언. 참기름 및 들기름의 역사와 과학. 한국식품조리과학회노트 (추계심포지움). 1998. p.446.
32 홍문화, 김재훈, 지형준. 한방처방의 통계적 연구(IV) 동의보감의 단방. 한국생약학회. 1977. p.178.
33 구본순. 대파 향미유의 원재료 부위별 향미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5. 12(5). pp.465-469.   과학기술학회마을
34 윤창렬 편역. 한중의학명가학설. 대전. 주민출판사. 2006. p.47.
35 정금주. 마늘의 힘. 서울. 중앙생활사. 2003. pp.19-21.
36 윤서석, 한국음식 역사와 조리, 수학사, 서울,1990. p.135.
37 하재호. 참깨의 볶음조건에 따른 참기름의 향기 성분의 변화.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p.92.
38 韓․中․日 국제소금세미나. 소금의 모든 것. 식생활 안전시민운동본부 2001. p.2.
39 빙허각 이씨 원저, 정양완역주. 서울 보진재. 1975. p.122.
40 안동장씨부인, 다시 보고 배우는 음식디미방, 서울, 궁중음식연구원, 2000, pp.118-145.
41 최춘언. 한국의 참깨 식문화. 식품과학과 산업. 1994. 27(3). pp.37-45.
42 금종인. 최신 양봉. 서울. 오성출판사. 1982. p.263.
43 김미리, 송효남. 현대인의 음식보감. 서울. 교문사. 2004. p.72.
44 당종해. 윤창렬, 이남구, 이선호 역. 본초문답. 대전. 주민출판사. 2004. p. 47, 104, 146, 223,
45 문범수, 이갑상. 식품재료학. 서울. 수학사. 1991. p.94.
46 정용진. 국내 식초 시장의 현황 및 전망. 식품과학과 산업. 2009. pp.52-59.   과학기술학회마을
47 정원철, 김만욱외 2인. 한국산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1984. 16(1) p.17.
48 지명순, 윤선미, 이병찬, 조성호. 한국조리. 서울. 대왕사. 2006. p.15, 17, 18, 21.
49 구관모. 옛날 식초 장수법. 서울. 태일출판사. 2003. p.35.
50 김규열, 최윤희. 약선식재료학개론. 서울 . 의성당. 2009. p.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