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alysis of Landslides Characteristics in Korean National Parks  

Ma, Ho-Seop (Division of Environment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l Univ. (Insti. of Agri. Llife Science))
Jeong, Won-Ok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v.96, no.6, 2007 , pp. 611-61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landslide characteristics and forest environment factors on the landslide area of 7 national parks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otal number of landslide occurrence was 44 areas. The average length of the landslides scar was 152 m, average width was 17 m. And the average area was $2,818m^2$. The factors influencing landslides were highly occurred in Metamorphic rock, mixed forest type. And also, $30{\sim}35^{\circ}$ in slope gradient, NE in slope aspect, slope higher than 1,000 m, concave (凹) type in vertical and cross slope, 0 ordered stream. The main factors affecting landslide area i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sheet type in landslided shape, NE in slope aspect, 2 ordered stream, SE in slope aspect, slope gradient and complex slope in cross slope type in order of regression coefficient.
Keywords
landslide characteristics; forest environment factors; national park;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국립공원관리공단. 2001. 국립공원 산사태지 복구대책 수립을 위한 조사
2 국립공원관리공단지리산사무소. 2003. 지리산국립공원 고 산지 경관변화모니터링
3 김명국. 1997. 경상지역의 산사태 문제 분석에 대한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마호섭. 2001. 주요 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특성과 복구 방향. 국립공원 제27호 17-21
5 산림청. 2003. 산사태 발생원인 및 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
6 이사로, 지광훈, 박노욱, 신진수. 2001 산사태와 지형공 간정보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장흥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4(2): 205-215
7 임업연구원 1996.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을 위한 환경 평가 기준 연구(III) 산사태 위험도 최종보고서
8 중앙재해대 책본부. 2002 태풍 루사 피해조사보고서
9 辰野良秋,堀内연夫,北澤秋司. 1974. 流域環境の務化と 土石流災害について. 新砂防 93: 13-18
10 Olivier, M. and Bell, F. 1994. The effect of rainfall on slope failure with example fram the Greater Durban area. proc. 7th Int. cong. IAEG. 3: 1629-1632
11 마호섭. 1994. 산지사면의 붕괴위험도 예측모델의 개발 및 실용화 방안, 한국임 학회지 83(2): 175-190
12 한국지질자윈연구원 2004 산사태 위험도 선정시스템 및 피해저감기술 개발
13 Brand, E.W. 1984. Landslide in Hongkong Special Lecture. The 8th Southeast Asian Geo. Conf. 1-15
14 水原邦夫,武居有恒. 1982, 扇狀における土砂災害の實態に關する研究 - 主として土石流による土砂の流出と 堆積の特性について. - 京都府立大學 學術硏報 34: 83-92
15 마호섭. 1990. 지라산지역의 산지붕괴와 토사유출에 관한 연구. 경상대 연습림연보 제l호13-25
16 최경. 1986 한국의 산사태 발생요인과 예지에 관한 연 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清水宏. 1982. 渓流における砂防計劃手法に關する研究. 北大論研報 40(1): 102-195
18 경상북도. 2006. 산사태 피해예방 조사연구
19 이수곤. 2002. 태풍 루사에 의한 피해현황 및 대책방안 (산사태). 대한토목학회지 50(10): 40-49
20 마호섭. 1992. 지리산지역의 산지붕괴와 토사유출에 관 한 연구(II) 경상대 연습림연보 저12호17-28
21 志水俊夫. 1977. 花崗岩地帯の危険の安定性に關する統計 的解析. 日林誌 59(5): 186-190
22 신은선. 1996.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보령 . 서천지역의 산사태 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3 우보명, 임경빈, 이수욱. 1978. 안양지역에 있어서 깅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에 관한 실태조사와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39: 1-34
24 이용준, 박근애, 김성준 2006 로지스틴 회귀분석 빛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26(5): 861-867
25 新谷融. 1971. 荒廢渓流における土石移動に關する基礎的研究. 北大論研報 28(2)・193 -264
26 강위평, 村井 宏, 大村 寛. 마호섭 1986. 수량화(II)에 의 한 산사태사면의 위험도 판별. 한국임학회지 75: 32-37
27 류택규. 1991 한국근세 과학기술 100년사(임업분야). 한국과학재단
28 이상희. 2005. GIS를 이용한 천층산사태 발생 예측은 위 한 수문물리모형의 적용.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Strahler, A.N. 1952. Dynamic Basis of Geomorpholog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l, Bulletin. 63: 923-938   DOI
30 박노욱, 지광훈, 장동호. 2004. 통계학적 공간통합 모델을 이용한 태풍 루사로 발생한 강릉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 한국지형학회지 11(4): 69-80
31 국립방재연구소. 2005. 8월 집중호우 피해조사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