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Growth, Photosynthetic Rate and Chlorophyll Content of Codonopsis Ianceolata by the Growing Sites  

Kim, Gap-Tae (College of Life Sci. & Nat. Resour.,Sangji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v.92, no.1, 2003 , pp. 27-3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o seek for proper forest-floor cultivation methods , Codonopsis lanceolata were cultivated on several growing sites . The growth, photosynthetic rate and chlorophyll content of C. lanceolata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growing sites. Total mean photosynthetic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light intensity from 10 to 1,500, but slightly decreased at 2.000 PPFD μmol m^-2s^-1. The number of leaves , vine length and photosynthetic rate of C. lanceolat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ut chlorophyll cont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wing sites. The number of leaves was the highest 59.0 at full-sunlight site on campus nursery, followed by P. densiflora sites, L. kaemferi sites, netted sites on campus nursery, Q. mongolica sites. The vine length of leaves was the highest 83.44cm at P. densiflora sites, followed by L. kaemferi site, full-sunlight site on campus nursery, netted sites co campus nursery, Q. mongolica sites. Photosynthetic rate was the highest 13.0μmol CO_2 m^-2s^-1 at full-sunlight site on campus nursery, followed by netted sites on campus nursery, L. kaemferi sites, Q. mongolica site, P. densiflora sites. Proper sites for C. lnceolata cultivation on forest floor might be sunny, less groundcovers, and wet condition.
Keywords
forest-floor cultivation; Pinus densiflora forest; Quercus mongolica forest; Larix kaemferi fores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갑태, 1998. 더덕의 種子發芽와 生長에 미치는 몇 衛種의 他感作用 效果. 상지대 생명자연과학논총 4 : 29-34
2 김갑태 · 엄태원. 1997. 혼농임업 가능성에 관한 연구(1)-더덕의 효과적인 종식방법과 임간재배 가능성에 대한 연구. 상지대 생명자연과학논총 1 : 79-88
3 김갑태 ·추갑철. 1991. Gibberelin처리와 토양이 더덕의 발아와 뿌리생장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 자연과학논총 5 : 1-10
4 박소흥 ·이용범. 1997. 관엽식물의 광합성활성에 미치는 광순화의 영향. 한국원예학회지38(1) : 71-76
5 김 상국 · 강동균 · 민기군 · 정상환 · 이송필 .1999. 표고에 따른 더덕의 향기성분과 정유함량. 한국약용작물학회지 7(1) : 58-62
6 김혜자. 1985. 자연산과 재배더덕의 일반성분및 아미노산 조성. 한국식품과학회지 17(1) :22-25
7 김판기 · 이은주. 2001. 광합성의 생리생태(2) -환경변화에 대한 광합성의 적응반응. 한국농림기상학회지 3(3) : 171-176
8 한은경 ·성인숙 ·문혜경 ·조수열. 1998. 더덕추출뭍이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휜쥐 체내 지질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27(5) : 940-944
9 김소영 ·김한수 ·서인숙 · 이호신 ·김회숙 ·정승용. 1993. 도라지 및 첨가식이가 흰쥐의혈청 및 간장의 지질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2(5): 517-523
10 박인현 ·이상래 ·정태현. 1985. 약초식물재배, 선진문화사, 서울. 309pp
11 최현섭 ·이혜정. 1995.단풍나무속 식물 4종에 대한 엽록소함량과 광합성율의 계절적 변화.한국생태학회지 18(1) : 137-146
12 강진호 ·심영도 ·정종일. 2001. 입묘율 향상을 위한 더덕종자의 처리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지 9(1) : 68-75
13 박상근 ·이동아 ·송기천. 1972. 더덕의 생육에 미치는 차광처리의 영향. 한국원예학회지.11 : 29-34
14 이승필 · 김상국 · 최부술 · 이상철 ·김길웅. 1995. 야생 및 재배더덕의 식재장소에 따른 생육 및 향기성분. 한국작물학회지 40(5) : 587-593
15 한은경 ·조수열. 1997. 더덕 추출물이 사염화 탄소를 투여한 흰쥐의 항상화계 효소활성도에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6) :1181-1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