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ffect of Temperature on Catches of Anchovy and Sea Mustard(Undaria pinnatifida) in Southern Part of East Sea of Korea  

Kim, Seong-Hyeon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Ocean Industri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im, Dong-Sun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and Development(RCOI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v.16, no.2, 2010 , pp. 153-15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looked into changes in catches of anchovy and production of sea mustard(Undaria pinnatifida) in Southern part of East Sea in Korea from 1990 to 2007 out of the fishing industry production statistics of Korea from 1969 to 2007, and then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s and the sea temperature. The production of sea mustard(Undaria pinnatifida) decreased whe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was high, as it adversely affected its production, while its production increased whe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was low, as this facilitated its growth.
Keywords
Southern part of East Sea; Sea temperature; Anchovy; Sea mustard(Undaria pinnatifida); Produ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임주열, 옥인숙(1977), 한국근해에 있어서 멸치 난․자치어의 출현 분포에 관한 연구,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 제16권, pp. 73-85.
2 조규대, 홍철훈, 이규형, 윤종휘, 양성기, 최용규, 김동선, 조광우, 김해동, 김상우(2005), 알기쉽게 풀어 쓴 물리해양학, 부경대학교 출판부, pp. 165-167.
3 추효상, 김동수(1998), 한국 남해의 대마난류 변동이 멸치난․자어의 연안역 수송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학회지, 제31권 제2호, pp. 226-244.
4 통계청(1969-2007), 어업생산통계시스템, 사회통계국 농업통계과. [http://fs.fips.go.kr/main.jsp]
5 해양수산부(2005), 연근해 주요 어업자원의 생태와 어장, 국립수산과학원, pp. 112-118.
6 Harding(1974), Sea Fisheries Research. Elek Science, London, pp. 55-66.
7 Lee, J. C. and J. Y. Na(1985), Structure of upwelling o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J. Oceanogr. Soc, Korea, Vol. 20, pp. 6-19.
8 김영식, 남기완(1997), 한국산 미역 배우체의 생장과 성숙에 대한 온도 및 광반응, 한국수산학회지, 제30권 제3호, pp. 505-510.
9 김진영(1983), 한국 남해 및 서해 연안 해역에서 멸치 난자어의 분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32.
10 김진영(1992), 韓國남해 멸치, Engraulis japonica의 初期生活史와 加入,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40.
11 김진영, 김주일(1991), 한국 남해안 멸치의 난․치어 밀도와 가입, 국립수산진흥원연구보고, p. 45.
12 박종화, 이주희(1991), 멸치 기선권현망의 어장형성과 어장변동에 관하여, 한국어업기술학회지, 제27권 제4호, pp. 238-246.
13 김진영, 최영민(1988), 멸치, Engraulis japonica 卵.稚魚의 鉛直分布, 한국수산학회지, 제21권 제3호, pp. 139-144.
14 김현주(2004), 한국남해동부해역에서 수온이 멸치와 김 생산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74.
15 김형근, 이숭복, 김영환, 손철현(1999), 고리 원자력발전소 주변 양식미역의 생장과 수확, 한국수산학회 1999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요지집. pp.275-276.
16 이금열, 손철현(1993), 同一養殖場에서 成長된 미역의 品種間形態的特性과 養殖効果, 한국수산학회지, 제6권 제2호, pp. 71-87.
17 국립수산과학원(1990-2007), 한국해양자료센터 정선 해양관측자료. [http://kodc.nfrdi.re.kr/home/kor/main/index.php]
18 김성철, 류호영, 박영조, 손용수(1999), 양식산 쇠미역, Costaria costata의 수심별 성장비교, 국립수산진흥원연구보고, 제56권, pp. 101-109.
19 국립수산진흥원(1988), 양식미역의 병충해실태와 대책(바늘구멍병 중심으로), 수산기술지, 제24권, pp. 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