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Consequences of Doses of Herbal Medicine Including Buja and Cheono on Electrocardiography  

Ahn, Su-yeun (Dep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Dong-Eui University)
Hwang, Won-deok (Dep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Dong-Eui University)
Kim, Won-ill (Dep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Dong-Eui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 v.36, no.4, 2015 , pp. 458-46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s: Buja and Cheono, containing aconitine known for its cardiotoxicity, are not commonly prescribed, but they are necessary for some clinical conditions. Hence, consequences for electrocardiography (EKG) after short- and long-term dosage of herbal medicine including Buja and Cheono are here reported.Methods: From September 2014 to April 2015, 36 patients belonging to the sixth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the Dong Eui Oriental Medicine Hospital took herbal medicine including Buja and Cheono, and after these doses, they underwent an EKG. Thirty-one patients who took the medicine for 7-8 days comprised the short-term group, and 18 patients taking the medicine for 17-106 days comprised the long-term group. The results of the EKGs for each group, before and after dosage with herbal medicine, are compared.Results: No significant changes in EKG appeared in either the short- or the long-term group after taking herbal medicine including Buja and Cheono.Conclusions: If Buja or Cheono are prescribed along with other suitable herbs by a doctor of Korean medicine, no cardiac trouble will occur on an EKG regardless of the term of the dosage.
Keywords
Buja; Cheono; aconitine poisoning; electrocardiography; arrhythmia;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장인수, 양창섭, 이선동, 한창호. 최근 독성 문제가 제기된 한약재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2007;28(1):1-10.
2 한의과대학 본초학 편찬위원회. 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 p. 372-5.
3 임진석. 본경소증. 서울:대성의학사; 2001, p. 391.
4 이형호, 류상종. 석곡의 지황, 부자의 사용에 대한 고찰. 소문학회지 2007;10(1):75-82.
5 한방약리학 교재편찬위원회. 한방약리학. 서울:신일상사; 2005, p. 430-6.
6 김우식, 임성식, 강흥선, 조정휘, 김권삼, 송정상, 등. 급성 Aconitine 중독에 의한 심혈관계 부작용에 관한 임상적 관찰. 대한순환기학회 2000; 30(7):855-60.
7 Chan TY. Aconite poisoning. Clin Toxicol (Phila) 2009;47:279-85.   DOI
8 Lin CC, Chan TY, Deng JF. 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of herb-induced aconitine poisoning. Ann Emerg Med 2004;43:574-9.   DOI
9 유승목, 손창환, 오범진, 김원, 임경수. 두 가지 항부정맥 약제를 병용 투여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심실빈맥이 동반된 부자중독 1례 보고. 대한임상독성학회지 2011;9(2):105-8.
10 Ono T, Hayashida M, Tezuka A, Hayakawa H, Ohno Y. Antagonistic Effects of Tetrodotoxin on Aconitien-induced Cardiac Toxicity. J Nippon Med Sch 2013;80(5):350-61.   DOI
11 Zhu YP. Chinese Materia Medica Chemistry,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The Netherlands:Harwood Academic Publishers; 1998, p. 345-52.
12 박상남, 김영활, 황경희. 임상 심전도학. 서울:고려의학; 2010, p. 127-58.
13 박한수, 김승희, 김부영, 장일무. 生附子와 修治附子에 관한 毒性연구 : 급성 및 아급성 독성과 Aconitine 알칼로이드 함량분석. 한국독성학회지 1990;6(1):41-9.
14 문정미, 이병국, 전병조, 윤한덕, 허탁, 민용일. 초오 중독 환자에서 심혈관계의 변화에 대한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2002;13(1):55-60.
15 박근용, 임태형. Aconitine 중독에 동반된 일시적 사지마비 및 저칼슘혈증 1예. 대한내과학회지 1998;55(6):1093-6.
16 최도일, 진영호. 초오가 포함된 단방약에 의한 Aconitine 중독. 대한응급의학회지 2002;13(2):175-80.
17 이영, 선왕주, 김교명, 전광선, 백한기, 이성연. 부자중독에 관한 임상적 관찰. 대한내과학회지 1976;19(3):240-7.
18 장자원, 김지윤, 민성순, 송수진, 김기탁, 황원덕. 附子및 川烏를 포함한 한약이 간 손상 수치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26(4):828-35.
19 송수진, 장자원, 황원덕. 附子및 川烏를 함유한 處方이 肝機能에 미치는 影響(Ⅱ).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2):407-15.
20 한현영, 황원덕. 附子및 川烏를 포함한 처방이 혈중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수치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9;24(4):87-93.
21 김종철, 김연숙, 박성호, 김이화, 고은희, 성현제, 등. 내관혈 침자극이 심전도 단극지유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2):522-7.
22 이영준, 김규곤, 황원덕, 이재욱, 정희진, 배수현. 간, 신장수치 이상환자에 附子배합 처방 투여가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11;19(2):179-89.
23 이익재, 김이화, 김순중. 神門穴침자극이 심전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경락경혈학회지 2005;22(3):17-26.
24 이정석, 박성호, 성현제, 김호현, 임강현, 김이화. 내관혈 침자극이 심전도 표준사지유도(1-3) 변화에 미치는 영향. 경락경혈학회지 2004;21(1):103-12.
25 박혜선, 김형순, 김경요, 원경숙, 배영춘. 凉膈散火湯이 심전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사상체질의학회지 2002;14(3):85-96.
26 배영춘, 이상민, 김경요, 김형순. 淸心蓮子湯이 심전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3;15(3):147-57.
27 張介賓原著; 類經飜譯推進會譯注. 譯注類經-第六冊. 서울: 해동의학사; 2001, p. 264-5.
28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수. 방제학. 서울: 영림사; 2008, p. 28-31.
29 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순환⋅신경내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10, p. 40-4.
30 Dale Dublin. 심전도 속성 판독법. 서울: 군자출판사; 2008, p. 71-256.
31 Surawicz B, Childers R, Deal BJ, Gettes LS, Bailey JJ, Gorgels A, et al. AHA/ACCF/HRS Recommendations for the standardiz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electrocardiogram, part III: Intraventricular Conduction Disturbance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Electrocardiography and Arrhythmias Committee, Council on Clinical Cardiology;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 and the Heart Rhythm Society. J Am Coll Cardiol 2009;53(11):976-81.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