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Attractive Items of Hanok in Urban Area focused on Preceding Studies  

Min, Sae-Rom (청주대 대학원)
Kim, Tai-Young (청주대 건축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v.14, no.3, 2012 , pp. 61-6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rive attractive items of 'Hanok' in order to preserve 'Hanok' in urban area, focused on the 13 preceding studies which have got in respect of image, satisfaction, preference, awareness and advantage of 'Hanok' in urban area revolved around the latest studies. This study is analysis of questionnaire items and results of 13 preceding studies. And attractive items are classified with general and overall survey items, advantage of 'Hanok' in urban area, and image of Hanok-density urban area. These can also be classified with 5 items which are space, health, material, form, and image of 'Hanok' in urban area. As a result, Space items are composed with 'use of a space', 'cosiness', 'garden' and 'floor and ondol(korean floor heating system). Health items are composed with 'lighting and ventialtion', 'a sense of the season' and 'natural material'. Material items are composed with 'natural beauty', 'wooden', 'changhoji(traditional Korean paper made from mulberry bark for doors and windows) and hanji(traditional Korean paper handmade from mulberry trees), 'rafter' and 'new materials'. Form items are composed with 'attractive appearance', 'simply decoration' and 'traditional elements'. Image items are composed with 'crowding', 'traditionality and historicity', 'dichroism' and 'warmth'.
Keywords
Traditional House 'Hanok' in Urban Area; Attractive Items; Questionnaire Surve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만호.정훈.주석중, 생활한옥 모형개발을 위한 한옥의 의장 요소 선호도 분석,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제11권 3호, 2009, 99-106쪽
2 김갑도, 전통한옥마을이 도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주한옥마을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 김준식, 도시주택지 녹환경에 대한 거주자의 인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4 김지민,.여미나, 대구시 도시형 한옥의 녹지공간 구성 및 이용실태, 응용과학연구논문집, 제6권 2호, 1998, 337-343쪽
5 도난주, 전통한옥지역의 도시 이미지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북촌한옥마을을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6 문형도, 서울도심 전통한옥 주거지 개발과 보존에 관한 연구 : 종로구 세종마을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7 박진준, 한옥건축의 활성화 방안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8 서길남, 생활한옥 모델 개발을 위한 한옥의 의장 요소 의식 분석 연구 :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지역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 윤재웅.여미나, 대구시 도시형 한옥의 녹지공간 구성 및 이용실태, 응용과학연구논문집, 제6권 2호, 1998, 337-343쪽
10 전병혜, 시민과 주민의식에 기초한 역사적 생활환경의 보전 가치 평가 : 서울시 한옥주거지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1 조연준 외, 전남지역 신축 농촌한옥 현황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제12권 4호, 2010. 11, pp.45-52.
12 차동성, 이용자 측면의 북촌 한옥마을 이미지 영향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3 최무현, 도시형한옥의 실내 환경에 대한 주거 만족도 분석,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13권 3호, 2011, pp.99-106.